2023.12.12 (화)

  • 맑음동두천 2.7℃
  • 맑음강릉 4.1℃
  • 서울 4.1℃
  • 흐림대전 6.5℃
  • 구름조금대구 9.2℃
  • 구름많음울산 8.9℃
  • 박무광주 10.8℃
  • 흐림부산 10.3℃
  • 구름많음고창 9.0℃
  • 흐림제주 11.7℃
  • 구름많음강화 3.4℃
  • 구름많음보은 8.6℃
  • 흐림금산 8.6℃
  • 구름많음강진군 10.5℃
  • 맑음경주시 7.7℃
  • 구름많음거제 11.8℃
기상청 제공

은행

KB국민은행, '한숨 돌렸다'...인니 1조6000억원 ‘손배소 리스크’ 해소

부코핀은행 이전 최대주주 보소와 그룹과 합의서 체결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인도네시아 부코핀은행 이전 최대 주주인 보소와 그룹이 KB국민은행을 상대로 제기한 1조6000억원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취하했다.

 

앞서 지난해 8월 KB국민은행은 부코핀 은행의 최대 주주에 오른 바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KB국민은행과 보소와 그룹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위치한 리츠칼튼 호텔에서 상호 발전을 위해 협의한다는 내용이 담긴 합의서를 체결했다.

 

보소와 그룹은 국민은행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을 지난 31일 취하했고, 최근 2심에서 패소한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 상대 행정소송 결과 역시 받아들이기로 했다.

 

KB국민은행은 조남훈 KB국민은행 글로벌사업그룹 대표를 현지 파견하는 등 보소와 그룹이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 해결을 위해 심혈을 기울여왔다. 결국 보소와 그룹 측에서 더 이상 소송을 진행하지 않겠다는 답변을 얻어냈다.

 

합의서를 통해 KB국민은행은 KB부코핀은행 정상화를 위해 최대한 노력한다고 약속했으며 보소와그룹도 KB부코핀은행 발전에 같이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지난해 8월 KB국민은행은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부코핀 은행의 지분 33.1%를 취득했다. 총 67%의 지분을 보유하게 된 KB국민은행은 보소와 그룹을 밀어내고 최대 주주로 올라섰다.

 

그런데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은 KB금융의 부코핀 인수에 앞서 보소와 그룹의 의결권을 제한했고, 8월에는 지배주주 재심사에서 탈락했다는 이유를 들어 보소와 그룹 측에 1년 내 보유지분 전량을 매각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자 보소와 그룹은 지배주주 재심사 결과에 불복하며 행정소송에 돌입했다. 올해 1월 행정소송 1심에서 승소하자, OJK와 KB국민은행을 대상으로 금전적 손해와 시간적 손실 등 비금전적 손해를 배상하라며 1조6000억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잇따라 청구했다.

 

하지만 보소와그룹이 OJK를 상대로 승소했던 행정소송은 이달 초 2심에서 뒤집어졌다.

 

보소와 그룹은 KB국민은행과의 합의에 따라 결과를 받아들이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대표는 보소와그룹과 합의서 체결 후 기자회견을 통해 “보소와그룹과 소송 문제가 잘 해결돼 상호 협력을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 보소와그룹은 모든 소송을 취하하고, 행정소송 결과에 승복해 더는 어떤 문제도 제기하지 않기로 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보소와그룹 측에서 KB국민은행에 대한 오해가 있었는데, 소통이 잘 이뤄져 해소가 됐다. KB국민은행은 KB부코핀은행 정상화에 매진할 것이고, 그런 과정을 통해 보소와가 가진 지분 가치가 정상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종규 칼럼] 국세청의 혁신세정 ‘명암’
(조세금융신문=김종규 본지 논설고문 겸 대기자) 과세권자와 납세자는 조세법적 채권, 채무 계약 관계다. 사유재산에 대한 세무 조사권 행사가 가능한 과세권자는, 그래서 세금 부과를 당하는 납세자와 서로 다르다. 받는 자와 내는 자가 뿌리 박힌 종속 관계를 형성해 온 세정사적 사실 때문일까. 과세권자가 세정현장에서 이른바 갑질을 자행하려는 경향이 짙었던 해묵은 ‘갑질 경험칙’을 말끔히 지우기에는 아직도 거리감을 남긴다. 수직관계가 더 익숙했던 세정관습을 지금껏 탈피 못 한 건지 긴가민가하다. 서로 다른 인식 차이가 빚은 오해와 진실은 세무조사 현장에서 종종 불거지는 다툼이다. 납세자는 사유재산을 어떻게든 지키려는 합법적 절세의 지략을 아끼지 않을 것이고, 과세권자는 재정조달이라는 대의명분과 공권력을 앞세워 공적인 세무조사권 강화를 주저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칼자루를 쥔 과세권자의 관료적인 군림과 권위주의적 작태가 어쩌면 만연했을 것이다. 세수 제일주의 시대의 추계과세 행정은 말 그대로 극치였기에, 아마도 그리했으리라고 어렵지 않게 짐작이 간다. 사실 납세자 중심 세정을 주창하고 실행에 옮긴 지는 꽤 오래다. 남덕우 재무부장관 재임 때다. 직제를 변경, 세정
[인터뷰] 정균태 한국청년세무사회장 '국제교류 방점 찍다'
(조세금융신문=김영기 기자) 한국청년세무사회(이하 한청세) 제4대 회장으로 취임한 정균태 회장이 취임 6개월을 지나 7개월을 맞이하고 있다. 그동안 불철주야 바쁜일정을 보내고 있는 정균태 회장을 어렵게 조찬 인터뷰를 통해 만나 봤다. 안녕하십니까? 회장님, 조찬 인터뷰에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우선, 회장 취임 후 어떻게 지내셨는지 근황이 궁금합니다. 지난 4월 말 취임 이후, 5월~6월 종합소득세 신고, 7월 사무실 워크숍에 휴가 등으로 시간이 금방 지나갔습니다. 특히 10월 베트남 국제교류(동라이세무당국, 코참) 준비로 시간이 더욱 빨리 지나간 듯 합니다. 베트남 국제교류는 처음 진행한 행사고, 베트남이 공산국가라 세무당국 허락 및 코참 청년기업가 협의회의 일정 및 의견교환이 녹록지는 않았습니다. 다행히 베트남 일정을 무사히 그리고 성대하게 대접받고 왔습니다. 따라서 계속적인 교류를 위해서 12월에도 소수 회장단만으로 다녀올 예정입니다. 그리고 제가 한국청년세무사회 회장직 뿐만 아니라, 김정훈 역삼지역세무사회 간사를 맡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빛처럼 빠르게 지나가고 있습니다. 집행부 면면을 소개해 주신다면. 한국청년세무사회(이하 ‘한청세’)의 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