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많음동두천 23.0℃
기상청 제공

KT, ‘슈퍼 VR’ 출시…“5G 실감미디어 1위 목표”

자체 VR 플랫폼 구축…4K 콘텐츠 450여편 기본 제공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KT가 초고화질 VR(가상현실) 서비스를 통해 5G 시대 주력 서비스인 실감미디어 시장 선도에 나선다. 다양한 파트너와 협업해 차별화된 VR 콘텐츠를 제공하고 1등 사업자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다.

 

 

KT는 1일 서울 광화문 KT 스퀘어에서 간담회를 열고 4K 무선 VR 서비스인 ‘KT 슈퍼 VR’을 출시했다. 지난해 11월 모바일 VR IPTV를 내세우며 선보였던 ‘기가 라이브 TV’의 단말 사양을 업그레이드하고 콘텐츠 라인업을 강화한 것이다.

 

김훈배 KT 뉴미디어사업단장(상무)은 “KT는 VR 게임보다 미디어에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며 “슈퍼 VR을 출시하며 IPTV에 이어 5G 실감미디어 시장에서도 1등 사업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슈퍼 VR은 중국업체 피코(PICO)의 G2 단말을 사용했다. 일체형 단말로 스마트폰을 탈부착할 필요가 없어 편의성이 높고 해상도가 기존 3K에서 4K로 개선돼 VR 콘텐츠 몰입도가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렌즈를 개선해 눈부심 현상을 줄였으며 안경 착용자를 위해 글라스 서포터를 추가했다.

 

슈퍼 VR로 볼 수 있는 프리미엄 VR 영상고 게임 등 실감형 콘텐츠도 강화됐다. 4K 초고화질 콘텐츠 450여편이 기본으로 제공되며 스포츠, 슈팅, 공포, 리듬액션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 15종을 제공하는데 매월 2종씩 신규 게임을 추가할 예정이다.

 

와이드맥스(WideMax) 상영관에서는 기존 245편의 전용 콘텐츠에 매월 10편의 최신영화를 업데이트한다. 올레 tv 모바일 앱을 탑재해 100여개의 실시간 채널과 18만여편의 VOD 서비스도 즐길 수 있다.

 

KT는 다양한 파트너사와 제휴해 실감미디어 시장 생태계를 확장하고 콘텐츠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영화 ‘기생충’을 제작한 바른손이앤에이의 관계사 바른손과의 협력으로 VR 영화와 게임을 결합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말이 달라지는 ‘멀티엔딩 VR’ 콘텐츠를 선보인다.

 

또 ▲아프리카 TV와 협력한 e-스포츠 멀티뷰 중계 ▲네이버 브이라이브와 협력한 VR 전용 스타 콘텐츠 ▲이너테인먼트와 협력해 만든 아이돌 VR 팬미팅 콘텐츠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강화한다.

 

이밖에도 자체 VR 플랫폼 구축 및 운영에 이어 VR 콘텐츠 확보, 국내외 신규 VR 단말 국내 유통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 상무는 “현재는 VR 기기를 와이파이로 기본 이용하고 5G 단말과 테더링 해서 쓸 수 있다”며 “내년에는 5G 모듈을 부착한 기기도 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페이스북 등 글로벌 사업자는 자사 단말에서만 돌아가는 폐쇄형 VR 플랫폼을 운영 중이고 국내 타 통신사 등은 경쟁사 단일 앱과 콘텐츠가 기반”이라며 “KT는 오픈형 플랫폼을 통해 차원이 다른 실감미디어 서비스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VR 서비스 출시와 함께 VR 월정액 요금제인 ‘슈퍼 VR 패스(월 8800원)’를 내놨다. 단말과 슈퍼 VR 패스 6개월 이용권을 묶어 45만원에 판매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서울시 행정사무 민간위탁 조례 개정 논란에 대하여
(조세금융신문=이동기 한국세무사회 세무연수원장) 서울시의회는 지난 3월 7일 개최된 본회의에서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를 ‘회계감사’로 되돌리는 조례개정안을 직권상정해서 처리하였다. 이로 인해 회계사와 함께 세무사도 할 수 있게 되었던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가 회계감사를 할 수 있는 회계사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개정되기 전의 당초 ‘서울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민간위탁조례”)’에서는 수탁기관이 작성한 결산서를 서울시장이 지정한 회계사나 회계법인 등의 회계감사를 받도록 하고 있었는데, 서울시의회가 이 제도를 민간위탁사업비에 대한 집행 및 정산이 제대로 되었는지 검증하는 사업비 정산 검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면서 수탁기관의 불편과 비용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회계감사’를 ‘결산서 검사’로 바꾸고 회계사뿐만 아니라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2021년 12월 22일자로 조례를 개정했었다. 이렇게 개정된 조례에 대해 금융위원회에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는 공인회계사법상의 회계사 고유직무인 회계에 관한 ‘감사 및 증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서 개정 조례에 대한 재의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