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많음동두천 23.0℃
기상청 제공

SKT, 전국에 ‘5G 클러스터’ 조성…특구별 특화 서비스

10대 핵심상권 선정…5G 롤 파크·AR 동물원 등 구축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SK텔레콤이 전국 각지에 5G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특구별 특성에 맞춰 특화 서비스와 혜택을 제공한다. 5G가 전국적으로 구축되기 전에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중심으로 특화 서비스를 구현하고 이를 중심으로 5G 마케팅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은 18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5G 스마트오피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5G 서비스 ▲핵심상권 ▲썸머 ▲B2B 등 4대 영역 중심의 5G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지역 특색을 접목하겠다고 밝혔다.

 

5G 클러스터란 초(超)밀집 네트워크 기반으로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인공지능(AI) 등 New ICT 기술이 융합된 선도적 5G 환경을 의미한다는 게 SK텔레콤의 설명이다.

 

유영상 SK텔레콤 MNO사업부장은 “올해까지 5G 클러스터를 70개, 내년까지 300개 수준으로 늘리겠다”며 “5G 전국망 구축과 더불어 클러스터가 살아있는 5G 체험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우선 SK텔레콤은 고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전국 핵심상권 10개 지역과 5G 롤 파크, AR 동물원 등 5G 클러스터를 선정해 그 지역에서만 즐길 수 있는 차별화된 5G 서비스와 혜택을 선보인다.

 

핵심상권 10곳은 서울 강남, 광화문, 건대, 홍대, 잠실과 대구 동성로, 대전 둔산동, 광주 상무지구, 부산 남포동, 서면이다.

 

골목상권과 연계한 AR 멤버십 혜택도 선보인다. AR 멤버십은 각종 할인 혜택이 담긴 멤버십을 AR 기술을 통해 즐길 수 있는 서비스다.

 

5G 롤 파크, AR 동물원, 5G 스타디움 등 5G 부스트 파크도 개장한다. 부스트 파크는 고객이 SK텔레콤의 5G 속도와 서비스, 혜택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SK텔레콤 ‘5G 클러스터’ 개념도. [사진=SK텔레콤]
▲ SK텔레콤 ‘5G 클러스터’ 개념도. [사진=SK텔레콤]

또 25일에는 서울 종로에 위치한 LCK 경기장에 5G 롤 파크를 운영한다. 고객은 롤 파크에서 특정 지역을 향해 스마트폰을 비추면 전국의 팬들이 보내는 응원 메시지를 AR 응원필드를 통해 볼 수 있다. VR 현장중계, VR 리플레이 등도 제공한다.

 

내달부터는 올림픽공원, 여의도공원 등에서 AR 기술로 구현한 거대 고양이, 강아지, 알파카, 랫서팬더, 비룡 등을 만날 수 있는 AR 동물원도 개장한다.

 

이밖에도 B2B 영역에서는 5G 팩토리, 5G 스마트병원, 스마트 물류·유통, 스마트시티, 미디어, 공공안전, 스마트오피스, 국방 등 8대 5G B2B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SK텔레콤은 현재 SK하이닉스에 5G 망을 구축하고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기반의 5G 스마트팩토리를 추진 중이다. 양사는 5G를 통해 반도체 불량품 출하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생산·물류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더해 전국 주요 거점지역의 5G 네트워크망에 총 12개의 MEC를 구축할 계획이다. 제조, 미디어, 금융, 게임 등과 같이 보안과 초저지연 통신이 필요한 기업을 위한 산업별 5G 엣지 클라우드 전용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최일규 SK텔레콤 B2B 사업단장은 “SK하이닉스에 적용하는 5G 스마트팩토리 클러스터는 국내 제조업 전반에 확산할 수 있는 베스트 프랙티스로 만들 계획”이라며 “올해 말에는 제조 분야에 전파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 나올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연말까지 클러스터를 70개, 내년까지 300개 수준으로 늘리고 향후 28GHz 장비를 클러스터 중심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류정환 SK텔레콤 5GX 인프라그룹장은 “28㎓ 대역 통신장비는 광범위한 구축이 어렵기 때문에 5G 클러스터 중심으로 구축해 넓혀가겠다”며 “경쟁사에는 절대 뒤지지 않는 속도로 짧은 시간 내 전국망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유영상 MNO사업부장은 “클러스터 구축으로 전국 5G 망 롤아웃 속도를 줄이는 것은 아니다”며 “5G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고객에게 서비스와 즐거움을 선사해야 5G가 더 확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보조금, 리베이트 중심의 이통 시장 경쟁 패러다임을 서비스, 혜택 중심으로 바꾸고 지역별·산업별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서울시 행정사무 민간위탁 조례 개정 논란에 대하여
(조세금융신문=이동기 한국세무사회 세무연수원장) 서울시의회는 지난 3월 7일 개최된 본회의에서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를 ‘회계감사’로 되돌리는 조례개정안을 직권상정해서 처리하였다. 이로 인해 회계사와 함께 세무사도 할 수 있게 되었던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가 회계감사를 할 수 있는 회계사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개정되기 전의 당초 ‘서울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민간위탁조례”)’에서는 수탁기관이 작성한 결산서를 서울시장이 지정한 회계사나 회계법인 등의 회계감사를 받도록 하고 있었는데, 서울시의회가 이 제도를 민간위탁사업비에 대한 집행 및 정산이 제대로 되었는지 검증하는 사업비 정산 검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면서 수탁기관의 불편과 비용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회계감사’를 ‘결산서 검사’로 바꾸고 회계사뿐만 아니라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2021년 12월 22일자로 조례를 개정했었다. 이렇게 개정된 조례에 대해 금융위원회에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는 공인회계사법상의 회계사 고유직무인 회계에 관한 ‘감사 및 증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서 개정 조례에 대한 재의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