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많음동두천 23.0℃
기상청 제공

LG유플러스, 美 PTC와 5G 기반 트랙터 원격진단 개발

사진 왼쪽부터 김상건 PTC코리아 지역영업총괄(전무)과 이해성 LG유플러스 미래기술개발그룹장(상무). [사진=LG유플러스]
▲ 사진 왼쪽부터 김상건 PTC코리아 지역영업총괄(전무)과 이해성 LG유플러스 미래기술개발그룹장(상무). [사진=LG유플러스]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LG유플러스는 미국 사물인터넷·증강현실 솔루션 기업 PTC와 스마트 농업 서비스 ‘트랙터 원격진단’을 개발한다고 25일 밝혔다.

 

양사는 트랙터에 설치한 IoT 센서를 통해 ▲차량·엔진·소모품 정보 ▲실시간 운행 데이터 ▲운행·정비·수리 이력 등을 수집하고 분석한다. 이를 통해 부품 고장 및 이상 발생 즉시 고객은 알림을 받을 수 있고 부품 및 소모품의 교체 시기 등을 사전에 확인 가능하다.

 

특히 트랙터의 부품이 AR로 구현돼 부품에서 이상징후가 발견되면 위치와 세부 내용을 스마트폰 앱에서 직관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또 AR로 트랙터 부품 및 소모품을 교체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어 본인이 직접 부품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LG유플러스 5G 기술과 PTC의 IoT, AR 기술을 융합해 구축한 디지털트윈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다.

 

디지털트윈 플랫폼은 향후 AR 글래스와 연동해 트랙터 정비를 위한 직원 교육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A/S 시뮬레이션 및 빅데이터 기반 고객 관리 등 고객 서비스 혁신의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이해성 LG유플러스 미래기술개발그룹장(상무)은 “5G 통신망 상용화 이후 다양한 영역의 선도 기업들이 새로운 사업기회를 발굴하고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디지털트윈 기술의 영역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보유한 PTC와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 농업의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상건 PTC코리아 지역영업총괄(전무)은 “디지털트윈 기술의 적용 범위가 산업 시장을 넘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며 “데이터를 활용해 농업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새로운 부가가치 서비스 기반의 혁신 사례를 선보이기 위해 LG유플러스와 긴밀하게 협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서울시 행정사무 민간위탁 조례 개정 논란에 대하여
(조세금융신문=이동기 한국세무사회 세무연수원장) 서울시의회는 지난 3월 7일 개최된 본회의에서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를 ‘회계감사’로 되돌리는 조례개정안을 직권상정해서 처리하였다. 이로 인해 회계사와 함께 세무사도 할 수 있게 되었던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가 회계감사를 할 수 있는 회계사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개정되기 전의 당초 ‘서울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민간위탁조례”)’에서는 수탁기관이 작성한 결산서를 서울시장이 지정한 회계사나 회계법인 등의 회계감사를 받도록 하고 있었는데, 서울시의회가 이 제도를 민간위탁사업비에 대한 집행 및 정산이 제대로 되었는지 검증하는 사업비 정산 검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면서 수탁기관의 불편과 비용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회계감사’를 ‘결산서 검사’로 바꾸고 회계사뿐만 아니라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2021년 12월 22일자로 조례를 개정했었다. 이렇게 개정된 조례에 대해 금융위원회에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는 공인회계사법상의 회계사 고유직무인 회계에 관한 ‘감사 및 증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서 개정 조례에 대한 재의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