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조금강릉 20.8℃
기상청 제공

5G 가입자, 69일 만에 100만 돌파…생태계 활성화 기대

일 평균 약 1만7000명 증가…“연내 500만 돌파 가능할 듯”
추가 투자 부담·대규모 지원금에 수익 악화 우려 지적도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5G 이동통신이 지난 4월 초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지 69일만에 가입자 100만명을 돌파하자 국내 통신업계가 5G 생태계의 조기 활성화에 기대감을 내비쳤다.

 

1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5G 상용화가 이뤄진 4월 3일 이후 69일째인 지난 10일 가입자가 10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 2011년 9월 28일 출시된 LTE 스마트폰이 80여일 뒤인 12월 17일 100만명을 돌파한 것에 비해 증가 속도가 빠른 편이다. 영업일 기준으로는 5G 가입자가 하루 평균 약 1만7000명씩 증가한 셈이다.

 

통신사별로는 시장 지배적 사업자인 SK텔레콤이 5G 가입자의 40% 정도를 차지했고 KT와 LG유플러스가 각각 30% 안팎의 점유율을 보였다.

 

시장점유율 21% 수준이었던 LG유플러스가 상대적으로 선전했음을 보여준다. LG유플러스는 갤럭시 S10 5G가 출시된 4월 5일 이후 지난 11일까지 번호이동 고객인 1만745명 순증해 유일한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SK텔레콤과 KT는 각각 9727명과 1018명 감소해 5G 고객 상당수가 기기변경에 따른 것임을 반증했다.

 

LG유플러스는 5G 6대 핵심 서비스인 U+ 프로야구·골프·아이돌 라이브, VR·AR, 게임을 구분해 서비스하고 6100여편인 U+ 5G 전용 콘텐츠를 연말까지 1만5000여개로 늘리기로 한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했다.

 

업계는 최근 5G 가입자 증가 속도를 근거로 연말에는 가입자가 400만명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갤럭시 노트10과 갤럭시 폴드 등 새 5G 스마트폰이 등장하면 5G 가입자 속도가 빠르게 증가해 연내 500만을 넘어설 수 있다는 기대도 내놓고 있다.

 

그러나 5G 상용화 초기 가입자 유치 경쟁이 과열되면서 막대한 투자비와 공시지원금, 판매 장려금을 뿌린 탓에 가입자 증가가 ‘상처뿐인 영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난달 10일 LG V50 씽큐가 119만원대에 출시된 후 첫 주말 가격이 0원으로 떨어지고 일부 통신사에서는 고객에게 금액을 얹어주는 페이백까지 등장해 막대한 불법 보조금이 뿌려졌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새 5G 폰이 출시되더라도 이전 같이 막대한 공시지원금과 판매 장려금을 살포하며 고객 유치에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방 등에 여전히 5G가 개통되지 않은 지역이 많아 추가 투자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5G 가입자가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해 관련 콘텐츠 제작이 활발해지는 등 5G 생태계가 조기에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새 5G 폰 출시 때마다 일시적으로 시장이 과열됐지만 이내 소강상태를 보여 갤럭시 폴드가 출시되더라도 이런 기조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서울시 행정사무 민간위탁 조례 개정 논란에 대하여
(조세금융신문=이동기 한국세무사회 세무연수원장) 서울시의회는 지난 3월 7일 개최된 본회의에서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를 ‘회계감사’로 되돌리는 조례개정안을 직권상정해서 처리하였다. 이로 인해 회계사와 함께 세무사도 할 수 있게 되었던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가 회계감사를 할 수 있는 회계사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개정되기 전의 당초 ‘서울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민간위탁조례”)’에서는 수탁기관이 작성한 결산서를 서울시장이 지정한 회계사나 회계법인 등의 회계감사를 받도록 하고 있었는데, 서울시의회가 이 제도를 민간위탁사업비에 대한 집행 및 정산이 제대로 되었는지 검증하는 사업비 정산 검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면서 수탁기관의 불편과 비용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회계감사’를 ‘결산서 검사’로 바꾸고 회계사뿐만 아니라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2021년 12월 22일자로 조례를 개정했었다. 이렇게 개정된 조례에 대해 금융위원회에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는 공인회계사법상의 회계사 고유직무인 회계에 관한 ‘감사 및 증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서 개정 조례에 대한 재의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