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8.5℃
기상청 제공

주택종합저축공제, 올해 내 무주택확인서 금융기관 제출해야

납세자연맹, '12월에 꼭 알아야 하는 연말정산 세테크 10가지'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주택청약종합저축공제를 받으려면  반드시 올해 내 무주택확인서를 금융회사에 제출해야 한다 .

 

산후조리원 비용에 대해 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관련 영수증을 회사 등에 제출해야 한다.

 

한국납세자연맹은 10일 이러한 내용의 ‘12월에 꼭 알아야 하는 연말정산 세테크 10가지’를 발표했다.

 

간소화서비스에서 확인이 되지 않는 산후조리원 비용을 의료비로 적용받으려면, 산후조리원에서 직접 개별영수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항시 치료를 요하는 중증환자가 세법상 장애인 판단을 받으려면, 미리 장애인증명서 발급받아 제출해야 한다.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하고 무주택확인서를 제출하지 않았다면 12월까지 금융기관에 무주택확인서를 제출해야 간소화자료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반드시 올해 제출해야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올해 중도자가 근로소득공제나 인적공제 등 기본적인 소득공제만으로도 결정세액이 ‘0원’이 된다면 미리 납부한 원천징수된 세금을 전액 환급받을 수 있다.

 

연금저축상품의 경우 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금액을 뺀 결정세액이 있어야만 환급을 받을 수 있기에 광고내용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올해 결혼을 하고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12월 말까지 혼인신고를 해야 배우자공제를 받을 수 있다.

 

월세액공제를 받으려면 12월말까지 미리 주민등록을 옮기고 핸드폰 번호가 변경되었다면 홈택스 현금영수증 코너에서 미리 수정을 해두는 것이 편리하다.

 

김선택 납세자연맹 회장은 “소득세법에 따른 연말정산 공제 요건의 대부분이 12월 말을 기준으로 판단한다”며 “12월내에 미리 챙겨야 할 연말정산 내용을 숙지한다면 세테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