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구름조금동두천 11.5℃
기상청 제공

HEALTH & BEAUTY

 

(조세금융신문=김지연 식품영양 전문기자·영양사) 7월, 슬슬 갈치를 먹어볼까요?

 

7월이면 갈치가 맛이 들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갈치는 8~9월에 산란하며 7~10월이 제철인 생선입니다. 어획방식과 지역에 따라 은갈치와 먹갈치로 나뉘는데 은갈치는 주로 제주에서 낚시로 잡아 펄의 손상이 적고 비늘막의 보호로 인해 선도가 좋습니다.

 

또 먹갈치는 깊은 바다에 있는 것을 그물을 이용하여 잡습니다. 때문에 펄의 손상이 있는 편이긴 하나 목포등지의 안강망을 이용한 방법은 비교적 상처도 적고 품질도 좋습니다. 둘 다 같은 종이지만 서식 환경과 먹잇감에 따라 맛이 차이도 있는데 먹갈치가 은갈치보다 고소한 맛이 더 난답니다.

 

구워먹을까, 졸여먹을까

 

살짝 소금간하여 살이 단단해지면 구워 먹어도 좋지만 그 어떤 생선보다 부드러운 갈치의 식감 그대로를 원한다면 뭐니뭐니해도 조림이 최고입니다. 밑에 감자와 무를 깔고 갈치와 함께 뭉근히 졸이면 갈치는 감칠맛, 무는 단맛에 입안에서 사르르 녹습니다.

 

불포화 지방산이 85%

 

갈치에서 주목할 것은 불포화 지방산인 DHA와 EPA가 풍부하게 들어있다는 것인데 지방산의 약 85%가 불포화지방산에 해당된다는 것입니다. 이 성분들은 혈관을 튼튼히 하고 뇌영양제로써 학생들에겐 두뇌발달을, 노인들에겐 치매예방을 해주는 중요한 성분이지요.

 

또한 그 외에도 갈치에는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등 필수아미노산과 세포회복에 도움이 되는 라이신, 뼈와 치아를 튼튼하게 회복시켜주는 인산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은색 가루 ‘구아닌’

 

갈치의 은색가루는 ‘구아닌’이라는 성분으로 립스틱의 펄효과를 내는데 쓰이거나 진주를 가공할 때 광택을 내는 재료가 됩니다.

 

하지만 이 구아닌은 비린내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복통이나 두드러기를 일으키는 성분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살짝 긁어서 제거하고 드시는 것도 좋습니다.

 

그 밖에도 쌀뜨물이나 우유에 생선을 살짝 담갔다가 요리를 하면 비린내가 제거되니 다양한 방법으로 맛있게 즐기실 수 있습니다.

 

삼겹살 먹을 때 쌈장 대신 상추쌈에 먹기도 하는 갈치속젓은 짭조름하니 그야말로 입맛 당기는 음식입니다. 호불호가 갈리긴 하지만 갈치내장 그 맛의 고소함을 느낄 줄 아는 사람에겐 별미 중의 별미입니다.

 

《동국여지승람》에는 제주의 갈치가 왕의 진상품이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그 이름이 ‘갈치’가 아닌 ‘칼을 닮은 생선’이라는 뜻의 ‘刀魚’로 기록이 되어있지요. 굳이 왕의 진상품이라는 기록이 아니더라도, 이미 누구나 거부감 없이 즐기는 갈치는 살이 되고 뼈가 되는 모두에게 귀한 진상품입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성질이 고약하다”에서 본 리더의 그릇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국가, 지지체, 법인, 단체 가족 등 인간사회를 구성하는 요소들에는 CEO, 즉 조직의 장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조직의 장이 유능하냐 무능하냐에 따라 그가 이끄는 조직은 백만대군을 가지고도 고구려의 소수 군사에 패한 당나라의 지리멸렬한 군사조직이 되기도 하고 임진왜란 시 10척의 배로 일본의 수백 척 왜선을 물리친 연전연승의 조선수군이 되기도 한다. 그만큼 조직의 장의 위치는 그가 가지는 재주와 기질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질 수밖에 없는 조직의 미래와 운명을 불가역적으로 결정하게 만든다. 필자는 우연히 물개영화를 보다 한 내레이션의 문구가 인상에 남았다. 관광객들에게 주의를 주는 멘트였는데, 물개가 얼굴은 귀엽게 생겼지만 성질이 고약해 쓰다듬지 말라는 말이었다. 여기서 ‘성질이 고약하다’는 어원의 출처를 캐보면 옛날 우리나라 최대의 성군이라 일컫는 조선의 세종대왕이 등장하게 된다. 한글을 창제하고 영토를 확장하고 장영실 같은 천민을 발굴해 과학 창달을 이뤄 당대에 태평 치세를 이룬 그에게 ‘성질이 고약하다’라는 어원의 출처가 등장하다니 뭔가 재밌는 일화와 후대들에게 시사하는 레슨이 있음은 분명해보였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