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9 (토)

  • 맑음동두천 0.0℃
기상청 제공

HEALTH & BEAUTY

[헬스톡톡] 달콤새콤 맛있는 겨울 과일 '한라봉'

 

 

(조세금융신문=김지연 식품영양 전문기자·영양사) 한라봉은 1978년 일본에서 만들어진 감귤 품종의 만다린계 잡종으로서 처음에 일본에서는 ‘부지화’, ‘데코폰’ 등으로 이름지었다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에서 1990년대부터 재배를 시작하여 이제는 제주지역의 특산물로 자리잡았습니다. 한라봉은 생과는 물론이고 주스, 초콜릿 등 그것을 가공한 식품으로도 인기가 높습니다.

 

꼭지 부분이 솟아있는 독특한 외형이 한라산과 비슷하다 하여 우리나라에서는 ‘한라봉’이라 불리우게 되었다지요.

 

일반적인 감귤보다 훨씬 당도도 높고 향도 좋아 누구나 좋아하는 과일인 한라봉은 맛만큼이나 영양도 골고루 채워져 있습니다.

 

비타민C, 구연산, 카로티노이드

 

먼저 한라봉은 비타민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일반 귤보다 2배 이상의 비타민C가 들어있는데 한 알만 먹어도 하루 비타민 권장량의 절반을 충족시킬 수 있답니다. 이 비타민C는 구연산과 함께 원기회복 물질이 되어서 지친 몸의 피로를 풀어주는 효과가 있고 피부에도 좋은 영양을 공급합니다.

 

알록달록 색깔 음식마다 각각의 영양소가 있는 것 아시지요? 과육의 노란색은 카로티노이드계 영양소가 함유된 것을 뜻합니다. 카로티노이드는 강력한 항산화물질로써 노화방지와 활성산소 제거에 탁월한 성분이랍니다.

 

리모넨(Limonene)

 

감귤류의 껍질에는 리모넨(Limonene)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 성분에 시트러스 계열의 향이 있기 때문에 껍질을 가공하여 향수나 화장품의 원료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향기의 기능뿐 아니라 영양면에서 볼 때에도 리모넨은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항암작용을 한다는 것인데 특히 유방암에 효과가 좋다합니다. 한라봉을 비롯한 감귤류의 껍질을 깨끗이 세척하여 잔류농약을 제거하고 차로 우려내어 먹는다면 충분히 그 효과를 누릴 수 있겠지요.

 

이 성분의 또 다른 기능은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혈행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하며 면역기능을 강화시켜 바이러스 침투를 막는 효과가 있습니다.

 

감귤류 외에도 리모넨이 함유된 식품이 존재하긴 하나 감귤류에 리모넨이 가장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답니다.

 

한라봉은 달지만 칼로리는 낮은 편입니다. 달콤한 맛이 스트레스도 날려주고 당 충전도 시켜주는 반면 칼로리는 낮으니 다이어터들의 훌륭한 간식이 될 수 있답니다.

 

후숙형 과일이기 때문에 구입 후 상온에서 3일 정도 숙성시키면 신맛을 덜고 단맛은 더하니 참고하시구요. 2~3월에 가장 맛이 좋은 한라봉, 노르스름 영양과일 한라봉, 겨울가기 전에 많이 챙겨드세요.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성질이 고약하다”에서 본 리더의 그릇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국가, 지지체, 법인, 단체 가족 등 인간사회를 구성하는 요소들에는 CEO, 즉 조직의 장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조직의 장이 유능하냐 무능하냐에 따라 그가 이끄는 조직은 백만대군을 가지고도 고구려의 소수 군사에 패한 당나라의 지리멸렬한 군사조직이 되기도 하고 임진왜란 시 10척의 배로 일본의 수백 척 왜선을 물리친 연전연승의 조선수군이 되기도 한다. 그만큼 조직의 장의 위치는 그가 가지는 재주와 기질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질 수밖에 없는 조직의 미래와 운명을 불가역적으로 결정하게 만든다. 필자는 우연히 물개영화를 보다 한 내레이션의 문구가 인상에 남았다. 관광객들에게 주의를 주는 멘트였는데, 물개가 얼굴은 귀엽게 생겼지만 성질이 고약해 쓰다듬지 말라는 말이었다. 여기서 ‘성질이 고약하다’는 어원의 출처를 캐보면 옛날 우리나라 최대의 성군이라 일컫는 조선의 세종대왕이 등장하게 된다. 한글을 창제하고 영토를 확장하고 장영실 같은 천민을 발굴해 과학 창달을 이뤄 당대에 태평 치세를 이룬 그에게 ‘성질이 고약하다’라는 어원의 출처가 등장하다니 뭔가 재밌는 일화와 후대들에게 시사하는 레슨이 있음은 분명해보였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