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02 (월)

  • 맑음동두천 9.8℃
  • 맑음강릉 15.2℃
  • 맑음서울 13.7℃
  • 구름많음대전 11.9℃
  • 맑음대구 12.0℃
  • 구름조금울산 14.6℃
  • 구름많음광주 13.8℃
  • 구름많음부산 17.9℃
  • 구름많음고창 11.6℃
  • 구름많음제주 20.7℃
  • 맑음강화 11.6℃
  • 구름많음보은 9.4℃
  • 구름많음금산 9.3℃
  • 구름많음강진군 13.4℃
  • 맑음경주시 10.5℃
  • 구름많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HEALTH & BEAUTY

 

 

 

(조세금융신문=김지연 식품영양 전문기자·영양사) 갯벌체험이 슬슬 시작되는 계절입니다.

나들이 겸 갯벌 찾아가 조개잡이 체험도 하고 추억도 쌓는 즐거운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주로 서해에서 잡히는 바지락은 양식도 비교적 쉬운 편인 까닭에 여러 조개 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구입할 수 있고, 그만큼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게 되는 조개입니다. 일년 내내 마트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지만 특히 2~4월의 봄에 잡는 바지락이 맛도 좋고 살도 많습니다.

 

해독작용과 간기능 개선

 

바지락의 필수 아미노산인 메티오닌(methionine)과 타우린은 간기능 향상에 탁월한 효과를 준답니다. 이들은 체내의 독소를 배출하게 하여 피로를 풀어주고 숙취해소에도 도움을 줍니다. 메티오닌이 부족할 때 자가면역질환에 걸릴 수 있으니 꼭 챙겨드시는 것이 좋지요.

 

채식주의자들에게 필수성분 VB12

 

 

 

 

코발라민(cobalamin)이라고도 불리우는 VB12는 수용성비타민으로서 채소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골수와 적혈구의 세포생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성분인데 이 성분이 결핍되었을 때 악성빈혈 등의 질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바지락에는 이 VB12가 조개류 중에서도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조혈에 중요한 성분인 철분은 100g당 3.7mg으로서 소고기보다도 그 함유량이 많습니다.

 

또한 바지락은 저지방 고단백(100g당 12g 함유)의 대표식품인 데다 그 함유된 단백질의 흡수율 또한 매우 높아서 적은 양으로도 양질의 단백질을 흡수할 수 있답니다. 채식주의자들은 바지락을 섭취했을 때 VB12 와 양질의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으니 식품선택시 참고하시구요.

 

바지락해감

 

바지락을 캐서 올 때는 바닷물을 담아와서 담가야만 해감이 쉽게 되니 유념하시구요, 바닷물이 없다면 흐르는 물에 씻은 뒤 소금물에 식초를 조금 넣은 물에 담가 쇠로 된 그릇에 넣고 검은 봉지를 씌워 3시간 정도 두면 모래와 노폐물이 제거된답니다.

 

 

 

 

칼국수나 된장국에 바지락을 넣었을 때 무척 시원하고 깔끔한 국물맛을 내지요. 이 맛을 내는 성분인 호박산은 항암효과와 당뇨를 예방하는 일석이조의 기능이 있다하니 이만하면 봄철에 바지락 많이 드셔야 할 이유는 충분하시지요?

 

바지락은 냉동보관 가능하니 깨끗이 해감하여 껍질이 깨지지 않도록 냉동보관하였다가 필요하실 때 사용하시면 일년 내내 좋은 맛 그대로 즐기실 수 있습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팔꿈치 절단 딛고 '요식업계 큰손 등극' 백세장어마을 윤명환 대표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무더운 여름을 지내면서 몸에 좋다는 여러 보양식을 찾게 된다. 장어도 그중 하나다. 부천에서 꽤 많은 손님이 찾는 ‘백세장어마을’은 상동 웅진플레이도시 워터파크 앞에 자리하고 있다. 평일 점심에도 꽤 많은 손님이 이곳을 찾고 있었다. 사업가 윤명환 대표 이야기 백세장어마을 윤명환 대표는 현재 7년째 이곳을 운영하고 있다. 이전 창업자가 5년간 운영한 것을 이어받았으니 합치면 12년째다. 이곳뿐 아니다. 같은 웅진플레이도시 내에 자리한 중식집 ‘The 차이나’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인천광역시 삼산동에는 고깃집 ‘백세미소가’를 창업해 현재 아들이 운영을 맡고 있다. 요식업계에 발을 디딘 지는 벌써 16년째다. “요식업 창업을 하는 사람들의 70%는 망하고, 20%는 밥벌이 정도 하고, 10%는 성공한다.”라는 말이 있다. 그런 걸 보면 윤 대표는 요식업계에서 나름 성공한 CEO다. 처음 요식업을 시작한 것은 한창 한일월드컵으로 ‘대한민국~’을 외치던 2002년이다. 윤 대표는 당시 매우 절박한 마음으로 요식업계에 첫발을 내밀었다. 이전에 큰돈을 모아 투자했던 의료사업에서 실패한 이후다. 처음에는 직장인으로 출발했다. 인천전문대 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