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화)

  • 박무서울 13.0℃
기상청 제공

부산본부세관, 개청 138주년 기념행사 개최

 

(조세금융신문=홍채린 기자) 부산본부세관은 3일 개청 138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개청기념 행사를 실시했다.

 

부산세관은 구한말인 1883년 11월 3일, 지금의 부산데파트 인근에서 부산해관(세관의 청나라식 명칭)으로 개청했으며, 1907년 12월 부산세관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이번 행사는 1일 '역사 사진전'을 시작으로 '랜선 박물관 탐방기', '청렴 카페' 등이 5일까지 진행된다. 부산본부세관은 정부의 ‘단계적 일상회복 1단계’ 시행에 발맞춰 직원 및 국민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소통활동을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기념식에서는 평소 관세행정 발전에 기여한 성우하이텍, 한국허치슨터미널, 자캐오 물류 등 6개 유관업체와 함께 우수공무원 13명도 선정하여 표창장을 수여했다.

 

 

또한, '부산세관 박물관 탐방기 영상’' 제작해 관세청 누리 소통망(관세청 유튜브), 부산세관 전광판 등을 통해 홍보했다. 아울러 관세청 누리 소통망(관세청 페이스북)을 통해 '부산본부세관 개청 138주년 축하 응원 댓글 달기'행사를 진행하여 국민과 소통하는 시간을 갖고 있다.

 

아울러 세관 청사 1층에서는 138년 동안 부산본부세관 발전의 모습을 담은 '역사 사진전'을 개최한다. 초기 부산항 전경 등 부산항의 발전 과정과 부산세관 개청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요 장면들을 담은 모습 등 역사 사진 50여점을 전시하며 지역민들과 함께 역사와 추억을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

 

그 밖에도 직원들을 대상으로 '청렴카페', '부산세관 역사퀴즈 대회'를 개최하여 청렴 의식과 역사 의식을 제고하는 기회를 가졌다.

 

 

김재일 세관장은 개청기념사를 통해 "최근 국내외 경제 환경은 급변하고 있으며 관세행정에 대한 국민의 요구사항은 증가하고 있다"며 "그 간의 역사를 디딤돌 삼아 미래를 준비하고 우리에게 주어진 업무를 적극적으로 수행한다면 국민과 기업에게 사랑받는 부산본부세관이 되리라 확신한다"고 전했다.

 

한편, 부산본부세관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전 지역을 관할하며, 5국, 36개부서, 7개 권역내세관, 3개 비즈니스센터 약 1100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항만세관이다. 138년간 부산항 발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경제발전과 국민안전을 위해 많은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결초보은에서 배우는 의사결정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제목이 다소 뚱딴지같은 느낌이 든다. 결초보은(結草報恩)은 글자 그대로 풀을 엮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고대서 지금까지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어온 고사성어다. 고사성어이지만 그 유래를 모르고 일상용어같이 흔히들 대화에 많이 사용된다. 여기에 의사결정이라, 어떠한 까닭에 결초보은과 의사결정 사이에 우리가 배우고 명심해야할 금과옥조가 숨겨져 있는 것일까 자못 궁금해진다. 먼저 그 결초보은의 유래를 알아보기로 하자.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에 진(晉)나라의 장수 위과는 적국인 진(秦)나라의 두회에 연전연패했다. 그 이유는 두회가 워낙 용맹한 장수였기 때문이었다. 전투 전날 위과는 잠을 자다 꿈속에서 ‘청초파로’라는 소리를 들었다. 알아보니 전쟁지역에 청초파라는 언덕이 있음을 알았다. 아마 적장 두회를 청초파로 유인하라는 암시로 보여 그곳으로 두회를 유인한 결과 용맹스러운 두회가 비틀거리며 꼼짝을 못했다. 그 틈을 이용, 두회를 잡아 큰 승리를 거뒀다. 그날 잠을 자는 위과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내가 그 두회의 발을 풀로 묶었기 때문에 꼼짝 못하게 한 거요.” 위과는 “이 은혜를 뭐로 갚아야 할지.”, “아니오, 이 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