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14.1℃
기상청 제공

금융

HUG가 악성임대인 대신 갚아준 전세보증금 ‘급증’…회수율 고작 9.8%

악성 임대인 2020년 83명이었으나 2022년 233명으로 늘어나
회수율 0%인 악성 임대인도 무려 53.4% 수준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올해 들어 8월까지 악성 임대인 대신 임차인에게 돌려준 전세보증금 회수율이 9.8%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200명으로부터는 단 한 푼도 회수하지 못했다.

 

18일 HUG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학용(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악성 임대인은 374명으로 나타났다.

 

HUG는 2020년 4월부터 전세금을 3번 이상 대신 갚아준 집주인 중 연락이 끊기거나 최근 1년간 보증 채무를 한 푼도 갚지 않은 사람을 ‘집중 관리 다주택 채무자(악성 임대인)’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악성 임대인은 매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2020년 83명이었으나, 2021년 157명, 2022년 233명 등으로 집계됐다.

 

올해 1~8월에는 매월 17명 이상씩 추가됐는데, 이 같은 추세대로라면 이달 말게 400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악성 임대인이 늘어나면서 HUG가 집주인 대신 보증금을 돌려준 세대도 증가하고 있다.

 

지난 8월 현재 HUG의 악성 임대인 변제 세대수는 8467세대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해 말(4924세대)보다 약 2배 가량 높은 수준이다.

 

변제액 또한 지난해 말 1조219억원에서 지난 8월 말 1조7143억원으로 이미 지난해 1년 치 수준을 넘어섰다.

 

반면 회수율은 낮다. 지난 8월 기준 회수액은 1647억원으로 전체 변제액의 9.8%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수율이 0%인 악성 임대인이 200명(53.4%)에 달했다.

 

HUG는 악성 임대인이 보유한 주택 경매 등을 통해 변제액을 회수하는데, 이들이 갖고 있는 주택은 빌라가 많아 아파트에 비해 경매가 잘 진행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악성 임대인으로 인한 변제액 미회수 건수가 늘어날수록 HUG의 재무 건전성 악화가 심화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김 의원은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공사는 경매 이외 현재 보유하고 있는 구상 채권(HUG가 채무 관계자에 대해 법령 또는 계약에 근거해 청구할 수 있는 모든 채권)을 유동화하는 방안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성질이 고약하다”에서 본 리더의 그릇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국가, 지지체, 법인, 단체 가족 등 인간사회를 구성하는 요소들에는 CEO, 즉 조직의 장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조직의 장이 유능하냐 무능하냐에 따라 그가 이끄는 조직은 백만대군을 가지고도 고구려의 소수 군사에 패한 당나라의 지리멸렬한 군사조직이 되기도 하고 임진왜란 시 10척의 배로 일본의 수백 척 왜선을 물리친 연전연승의 조선수군이 되기도 한다. 그만큼 조직의 장의 위치는 그가 가지는 재주와 기질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질 수밖에 없는 조직의 미래와 운명을 불가역적으로 결정하게 만든다. 필자는 우연히 물개영화를 보다 한 내레이션의 문구가 인상에 남았다. 관광객들에게 주의를 주는 멘트였는데, 물개가 얼굴은 귀엽게 생겼지만 성질이 고약해 쓰다듬지 말라는 말이었다. 여기서 ‘성질이 고약하다’는 어원의 출처를 캐보면 옛날 우리나라 최대의 성군이라 일컫는 조선의 세종대왕이 등장하게 된다. 한글을 창제하고 영토를 확장하고 장영실 같은 천민을 발굴해 과학 창달을 이뤄 당대에 태평 치세를 이룬 그에게 ‘성질이 고약하다’라는 어원의 출처가 등장하다니 뭔가 재밌는 일화와 후대들에게 시사하는 레슨이 있음은 분명해보였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