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흐림동두천 14.3℃
기상청 제공

[2023 국감] 다시 불거진 정치적 세무조사…국세청장 답변은 ‘억측’

[사진=연합뉴스]
▲ [사진=연합뉴스]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1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세청 국정감사에서 정치적 세무조사 논란이 다시 불붙었다.

 

국세청은 지난 2017년 11월 과거 정치적 세무조사 정황에 대해 공개 유감의 뜻을 밝혔고, 그 이후 국세청 국정감사에서 기업이나 특정 집단, 언론사 관련 정치적 세무조사 관련한 논쟁이 크게 일었던 적은 없었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에 비판적 보도를 한 MBC‧KBS‧YTN이 줄지어 세무조사를 받으면서 정치적 세무조사가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국정감사의 한 대목을 차지하게 됐다.

 

이날 더불어민주당에서는 MBC, KBS, YTN 세무조사 관련 정치적 개입 정황 의혹을 제시했다.

 

MBC는 윤석열 대통령의 ‘바이든 날리면’ 보도, KBS는 정순신 국가수사본부장 후보자 자녀 학폭 보도, YTN은 김건희 여사 허위 경력‧학력 보도를 진행했는 데 공교롭게도 그 무렵 세무조사가 진행됐다.

 

홍영표 의원은 “윤석열정부 출범 뒤 검찰, 감사원, 사정기관들이 정치보복을 하겠다고 전면적으로 나섰다”고 지적했다.

 

서영교 의원은 “정기 세무조사 탈을 쓰고 과한 정치적 탄압이 있어선 안 된다”며, 양경숙 의원은 “언론사 세무조사는 군사정권, 권위주의 정권에서나 자행한 비판세력 길들이기를 떠올리게 한다”고 질타했다.

 

한병도 의원은 많은 국민이 MBC 세무조사를 언론탄압이라 생각한다면서 언론사 세무조사 관련 직간접적으로 대통령실이 개입했거나 국세청이 보고했는지 여부를 캐물었다.

 

양기대 의원은 이번 언론사 세무조사를 두고 권력이 언론 재갈을 물리기란 우려가 있다고 헸으며, 김주영 의원은 권위주의 정부 시절 무슨 일 있으면 세무조사 들어가 기업을 쑥대밭 만들던 것을 국민이 기억한다며 그렇게 되지 않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조금 언성이 높아진 영역이 있었지만, 야당의 질의는 대체로 차분했으며, 이에 반박하는 여당의 지원성 발언도 언성의 수위를 지켰다.

 

주호영 의원은 MBC, YTN는 정기 세무조사이니 미리 맞춰둔 예정에 따라 진행하는 것일 뿐이라는 취지로 발언했고, 조해진 의원은 국세청이 세무조사를 통해 언론의 투명성을 확보해서 사회 감시 역할을 하게 해달라고 조언했다.

 

박대출 의원은 세무조사 당사자인 MBC, YTN가 정치적 세무조사가 아니라 하는데 왜 국세청장은 의혹을 불식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느냐고 다소 엄하게 질타했다. 박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같은 수위의 발언을 국세청장에게 제시했다.

 

김창기 국세청장은 한 해 1만4000건의 세무조사를 하는 만큼 정치적으로 연계하려면 다수가 문제 삼게 될 것이라며 “억측이 있는 것 같다”고 답했다.

 

또한, “무리한 과세를 하면 다 패소하고 담당자가 책임을 져야 되기 때문에 신중하게 하고 있다”고도 전했다.

 

국세청 세무조사는 대통령이든 수석비서관이든 외부 개입이 있어서는 안 되며 국세청이 내부 프로토콜에 의해 선정하게 되어 있다.

 

중앙에서 주요 동향 보고는 받을 수 있으나, 사전 지시를 해서도 안 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성질이 고약하다”에서 본 리더의 그릇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국가, 지지체, 법인, 단체 가족 등 인간사회를 구성하는 요소들에는 CEO, 즉 조직의 장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조직의 장이 유능하냐 무능하냐에 따라 그가 이끄는 조직은 백만대군을 가지고도 고구려의 소수 군사에 패한 당나라의 지리멸렬한 군사조직이 되기도 하고 임진왜란 시 10척의 배로 일본의 수백 척 왜선을 물리친 연전연승의 조선수군이 되기도 한다. 그만큼 조직의 장의 위치는 그가 가지는 재주와 기질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질 수밖에 없는 조직의 미래와 운명을 불가역적으로 결정하게 만든다. 필자는 우연히 물개영화를 보다 한 내레이션의 문구가 인상에 남았다. 관광객들에게 주의를 주는 멘트였는데, 물개가 얼굴은 귀엽게 생겼지만 성질이 고약해 쓰다듬지 말라는 말이었다. 여기서 ‘성질이 고약하다’는 어원의 출처를 캐보면 옛날 우리나라 최대의 성군이라 일컫는 조선의 세종대왕이 등장하게 된다. 한글을 창제하고 영토를 확장하고 장영실 같은 천민을 발굴해 과학 창달을 이뤄 당대에 태평 치세를 이룬 그에게 ‘성질이 고약하다’라는 어원의 출처가 등장하다니 뭔가 재밌는 일화와 후대들에게 시사하는 레슨이 있음은 분명해보였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