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6.3℃
기상청 제공

은행

주담대 쏠리는 인터넷은행…금융당국, 여신심사 소홀여부 점검

카카오‧케이뱅크 주담대 두 달 만에 2.3조 증가
시중은행 대비 저렴한 이자 영향…대환 수요도 급증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주택담보대출이 두 달 사이 2조3000억원 가량 불어났다.

 

시중은행에 비해 낮은 금리와 비대면 여신 심사 등 요인이 인터넷전문은행으로의 주담대 쏠림 현상을 가속화 한 것이란 해석이 제기된다.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각 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주담대 잔액이 카카오뱅크는 19조3173억원, 케이뱅크는 4조655억원으로 총 23조3823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주담대 잔액은 두 달 사이 각각 1조9950억원, 3721억원 증가하며 총 2조3617억원(11.3%) 급증했다.

 

이와 비교해 같은 기간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511조4007억원에서 514조9997억원으로 3조5990억원(0.7%) 증가했다.

 

인터넷전문은행에서 주담대 잔액이 급증한 것은 시중은행에 비해 금리가 낮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가 지난 7월 새롭게 내준 분할상환식 주담대 평균 금리는 각각 연 4.16%와 4.17%였다. 같은 기간 5대 은행의 평균 금리(4.28~4.70%) 보다 낮다.

 

인터넷전문은행들이 금리를 낮추자 시중은행 대출에서 갈아탄 대환 수요도 집중됐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에 따르면 최근 신규취급액 중 50~60%가 대환 고객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인터넷전문은행에서 주담대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과정에서 비대면 여신 심사가 소홀이 이뤄졌을 가능성에 대해 주목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인터넷은행은 신파일러(금융거래 이력 부족자)에게 자금을 공급한다는 정책적 목적이 있는데 지금과 같은 주담대 쏠림이 제도와 합치되는지에 대해 비판적 시각이 있다”며 “이런것도 점검 대상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신뢰를 잃고 전략 없이 성공하는 정책은 이 세상에 없다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국민연금법’이 여야 합의로 통과됐지만, 일하는 3040 세대의 상당 수가 불만을 표시한 것이 국민들의 대표(제발 그 이름값을 하기를!)의 표결 결과에서 드러났다. 그러니 바로 지금이 가계의 노후를 준비하는 연금과 금융투자, 부동산 문제를 되돌아 볼 적기다. 한국 가계경제의 특징은 독특하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교육을 거의 완전히 사교육에 의존하도록 만들어 모든 소득계층에서 과도한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다. 사교육의 결과를 보면 그 가성비는 매우 낮다. 전 계층에서 사교육비를 쓰지 않아도, 아니 어쩌면 쓰지 말아야 더 많은 인재가 모든 분야에 골고루 나올 것이다. 그런데 사교육 결과 모든 소득계층 학생들의 문해력은 떨어지고 평생학습동기는 고갈되며 통찰적 사고능력이 떨어진다. 직업도 오로지 돈을 많이 번다는 이유로 의사로 쏠리는 기현상이 연출되고 있다. 가성비가 거의 제로에 가까운 사교육에 많은 돈을 지출한 결과, 학부모의 노후준비는 거의 포기해야 할 지경이다. 여러 이유로 10위권 밖으로 성큼 밀려난 한국의 세계경제순위와 무관하게, 오래전부터 악명 높은 노인빈곤율이 그 결과물이다. 가계 부문에서 착실히 자산을 형성해 노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