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1 (금)

  • 구름많음동두천 31.4℃
  • 구름조금강릉 29.4℃
  • 구름많음서울 33.0℃
  • 구름조금대전 30.4℃
  • 흐림대구 28.9℃
  • 구름많음울산 26.2℃
  • 구름많음광주 29.4℃
  • 구름많음부산 26.5℃
  • 흐림고창 29.2℃
  • 구름많음제주 27.1℃
  • 구름많음강화 28.0℃
  • 구름조금보은 27.5℃
  • 구름조금금산 28.6℃
  • 구름많음강진군 26.8℃
  • 흐림경주시 28.0℃
  • 흐림거제 24.3℃
기상청 제공

예규 · 판례

[예규·판례] 포괄적 사인증여와 포괄적 유증

유증이 아닌 사인증여라서 직접 청구할 수가 없다고?

 

(조세금융신문=임화선 변호사) 증여는 당사자 일방이 무상으로 재산을 상대방에게 수여하는 의사를 표시하고 상대방은 이를 승낙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기는 것을 의미하고(민법 제554조), 사인증여는 증여 중에서 증여자의 사망으로 인하여 효력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증여나 사인증여는 그 효력의 발생시기만 다를 뿐 증여자의 의사표시와 상대방의 승낙으로 이루어지는 계약인 것이다. 반면 유증은 유언을 통해 재산상 이익을 수유자에게 무상으로 증여하는 행위로, 수유자의 승낙이 필요없는 단독행위이다.

 

포괄적 사인증여나 포괄적 유증의 경우 사후에 모든 재산이 수증자에게 이전한다는 점에서는 효과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나, 포괄적 사인증여가 계약인 반면, 포괄적 유증은 단독행위로 가능한 점, 포괄적 유증이 단독행위이긴 하나 유증이 유효하기 위해서는 유언에 엄격한 요건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다른 차이도 있지만 무엇보다 유증의 엄격성 때문에 포괄적 사인증여가 이루어지기도 하는 것이다.

 

문제가 된 사안의 경우, A가 B로부터 부동산을 매수한 다음 등기를 이전받기 이전에 이를 C에게 포괄적 사인증여(A와 C 사이에 A가 사망할 경우 A의 재산 전부를 C에게 증여하기로 한 계약)를 하였는데, 이후 A가 사망을 하자 C가 B에게 사인증여에 따라 부동산에 대한 등기이전을 청구한 사건이다. 이 사안에서 과연 C의 청구는 인용될 수 있을까….

 

대법원 1996. 4. 12 .선고 94다37714 판결

 

이와 유사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민법 제562조가 사인증여에 관하여 유증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고 하여, 이를 근거로 포괄적 유증을 받은 자는 상속인과 동일한 권리의무가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민법 제1078조가 포괄적 사인증여에도 준용된다고 해석하면 포괄적 사인증여에도 상속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포괄적 사인증여는 낙성‧불요식의 증여계약의 일종이고, 포괄적 유증은 엄격한 방식을 요하는 단독행위이며, 방식을 위배한 포괄적 유증은 대부분 포괄적 사인증여로 보여질 것인바, 포괄적 사인증여에 민법 제1078조가 준용된다면 양자의 효과는 같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포괄적 유증에 엄격한 방식을 요하는 요식행위로 규정한 조항들은 무의미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민법 제1078조가 포괄적 사인증여에 준용된다고 하는 것은 사인증여의 성질에 반한다고 할 것이어서 준용되지 아니한다고 해석함이 상당하다”라고 판시하였다.

 

그리고 원고가 토지 매수인으로부터 포괄적인 사인증여를 받았다고 하더라도, 원고는 증여자에게 사인증여 계약상의 의무이행으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양도를 청구할 수 있을 뿐 직접 매도인에게 매매를 원인으로한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즉 위 사안의 경우 C는 증여자인 A의 상속인들을 상대로 사인증여계약상의 의무이행으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양도를 청구할 수 있을 뿐, 직접 B를 상대로는 등기이전을 청구할 수 없는 것이다.

 

물론 매도인을 상대로 직접 등기이전을 청구할 수 있느냐, 상속인들을 상대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양도받은 다음 매도인에게 등기이전을 청구할 수 있느냐의 절차상 차이만 있을 뿐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결론적으로 C에게 등기가 이전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만약 위 사안에서 C가 A로부터 포괄적 사인증여가 아닌 포괄적 유증을 받았다면 민법 제187조에 의하여 법률상 당연히 유증받은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게 되어 C는 직접 매도인을 상대로 부동산에 대한 등기이전청구가 가능했을 것이다.

 

태아에게도 사인증여가 가능할까…

 

그렇다면 이와 같은 사인증여를 태아에게도 할 수 있을 것인가…. 이와 관련한 판례는 아직 없지만, 생전증여에 관하여 “증여는 증여자와 수증자 간의 계약으로서 수증자의 승낙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므로 태아에 대한 증여에 있어서도 태아의 수증행위가 필요한 것인바, 개별적으로 태아의 권리능력이 인정되는 경우에도 그 권리능력은 태아인 동안에는 없고, 살아서 출생하면 문제 된 사건의 시기까지 소급하여 그 때에 출생한 것과 같이 법률상 간주되는 것이므로, 태아인 동안에는 법정대리인이 있을 수 없고, 따라서 법정대리인에 의한 수증행위도 불가능한 것이어서 증여와 같은 쌍방행위가 아닌, 손해배상청구권의 취득이나 상속 또는 유증의 경우를 유추하여 태아의 수증능력을 인정할 수 없는 것이다.”라고 한 판례(대법원 1982. 2. 9. 선고 81다534 판결)가 있다.

 

이는 태아의 경우 살아서 출생해야 비로소 소급적으로 권리능력이 인정되는데, 태아인 동안에는 태아를 대리하여 적극적인 의사표시를 할 수 있는 법정대리인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결 론

 

살펴본 바와 같이 포괄적 사인증여만으로는 사인증여받은 부동산에 대하여 당연히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민법이 포괄적 유증에 엄격한 방식을 요하는 요식행위로 규정하고 있는 점에서, 포괄적 유증의 효과와 사인 간의 계약에 불과한 포괄적 사인증여계약의 효과를 달리 보는 것은 지극히 타당해 보인다.

 

또한 증여는 증여자와 수증자의 계약으로서, 수증자의 승낙행위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태아의 승낙행위가 불가능한 점, 태아인 동안에는 법정대리인이 없다는 점에서 태아에 대한 사인증여도 가능하지 않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프로필] 임화선 변호사

•법무법인(유)동인 구성원 변호사

•한국연구재단 고문변호사

•중부지방국세청 고문변호사

•법률신문 판례해설위원

•사법연수원 34기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정치인의 경계선, 정치꾼과 정치가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제 22대 국회의원선거가 끝나고 여소야대의 틀을 만들고 새로운 정치판을 개장했다. 투표율 67%로 국민 대다수가 참여하여 새로운 정치갈망을 표현했다. 정치에 투표하는 것은 모든 국민들이 나보다 못한 사람에 의해 지배받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라는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말이 새삼 생각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누가 나보다 나은 사람인지 아니면 못한 사람인지,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과 같이 구분이 어렵다는 사실이다. 듣도 보도 못한, 아닌 밤중에 갑자기 나타난 사람의 정체, 특히 감춰진 내면의 인성, 이념, 철학을 알 수가 없다. 겉으로 번지르르한 가면을 덮어쓴 그의 진정한 모습은 하늘이 아닌 다음에 어찌 알 방법이 있겠는가? 오로지 그가 내세운 탈가면을 쓴 그의 탈춤을 보고 찍는 수밖에 없다. 당선된 후에 그는 탈가면을 벗고 탈춤을 추지 않는다. 필요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의 진정한 얼굴은, 그동안 우리가 보지 못했던 생면부지의 얼굴로 되돌아가 그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그래서 기대했던 것보다 실망이 배가 되는 법이다. 초선 의원수가 전체의 44%, 4년마다 교체되는
[인터뷰] “삶의 질, 신뢰, 젊음이 성장 비결”…경정청구 ‘프로’ 김진형 회계사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인적소득공제에서 본인 및 부양가족 1인당 150만원 기본공제액은 20년 전 정한 그대로입니다. 20년동안 자장면 값이 3배 올랐어요. 그러니까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부양가족공제액을 3분의 1로 축소한 셈이죠.” 지난 10일 서울 지하철 9호선 흑석역 인근 대형 아파트 단지 상가동에 자리 잡은 진형세무회계 김진형 대표(공인회계사)가 기자에게 한 말이다. 김 대표는 “출생률을 높이려면 물가가 오른 만큼 인적소득공제 등 부양가족 인센티브를 올리는 게 필수적”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눈이 동그래진 기자가 무릎을 탁 치며 좀 더 설명을 구하자 김 대표는 “세제 정책 전문가도 아닌데…”라며 손사래를 쳤다. 자신의 필살기인 ‘이슈발굴’, 이를 주특기로 승화시킨 ‘경정청구’ 전문성에 집중하고 싶었던 것. 하지만 세제 전문가가 따로 있나. 김진형 대표는 지난해에도 아무도 찾아내지 못한 정부 세제개편안의 문제점을 찾아냈다고 한다. 한국공인회계사회(KICPA)가 매년 회원들로부터 수렴하는 세제개편 의견으로 제출, 세법 시행령에 기어이 반영시켰다. 그래서 그 얘기부터 캐물었다. 물론 김진형 회계사의 필살기와 주특기, 그의 인간미를 짐작케 하는 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