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13.1℃
기상청 제공

[분양 톡톡] 7월 5주(7월 27일~8월 02일) 분양일정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7월 다섯째 주에는 전국에서 약 7000여가구의 신규 물량이 공급된다. 이중 90%인 6184가구가 경인 지역에 집중됐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7월 다섯째 주에는 전국 17곳에서 총 6952가구(오피스텔, 임대 포함, 도시형생활주택, 행복주택 제외)의 청약 접수가 실시된다.

 

다음 주에는 전국 17개 시·도 중 경기와 인천에서 가장 많은 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경기는 '기흥 푸르지오 포레피스', '광주 초월역 한라비발디', '영통 아이파크캐슬 3단지' 등이 1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인천에서는 '영종국제도시 동원로얄듀크', '주안역 미추홀 더리브' 등의 1순위 청약 접수가 실시된다. 이외에도 '동대구2차 비스타동원 2차'가 1순위 청약 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견본주택은 6곳이 오픈된다. 서울 '롯데캐슬 리버파크 시그니처', 충남 '천안 푸르지오 레이크사이드'의 사이버 모델하우스가 문을 연다. 또, 대구에서는 '청라힐 지웰 더 센트로'가 손님 맞이를 할 예정이다.

 

◇ 청약 접수 단지

 

28일 대우건설은 경기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산111-1번지 일원에 들어서는 '기흥 푸르지오 포레피스'의 1순위(해당 지역) 청약 접수를 받는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31층, 6개동, 전용면적 59~84㎡, 총 677가구 규모다. 이중 387가구가 일반 분양될 예정이다. 인근에 롯데프리미엄아울렛(기흥점), 코스트코(공세점) 등이 있고, 공원을 품은 특례사업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같은 날 동원개발은 인천 영종국제도시 A-31블록에서 '영종국제도시 동원로얄듀크'의 1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0층, 6개동, 전용면적 79~84㎡, 총 412가구 규모다. 단지와 영종초가 공원길로 연결되어 있고, 하늘고·인천과학고 등이 가깝다.

 

이와 함께 동원개발은 대구 동구 효목동 637-1번지 일원에서 '동대구2차 비스타동원'의 1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15층, 12개동, 전용면적 50~84㎡, 총 627가구 규모다. 이 중 405가구가 일반에 분양한다. 동촌유원지와 망우공원, 아양아트센터, 이마트, 동구시장, 신세계백화점(대구점) 등이 가까워 편리한 생활이 가능하다.

 

◇ 견본주택 개관 예정 단지

 

31일 롯데건설은 서울 광진구 자양동 236번지 일원에 들어서는 '롯데캐슬 리버파크 시그니처'의 사이버 견본주택을 오픈한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5층, 6개동, 전용면적 59~122㎡, 총 878가구로 구성되며, 이 중 전용면적 59~101㎡ 482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일부 가구에서 한강 조망이 가능하며, 지하철 2호선과 7호선 환승역 건대입구역을 통해 강남과 도심 업무지구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같은 날 신영건설은 대구 중구 대신동 103-9번지 일원에 들어서는 '청라힐 지웰 더 센트로'의 견본주택을 오픈한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38층, 1개동, 전용면적 72~84㎡, 총 159가구 규모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서문시장역과 달성공원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고, 달성공원이 바로 옆에 자리해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