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최근 자율주행로봇 기업 베어로보틱스의 지분을 추가 인수했다. [사진출처=LG전자]](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104/art_1737680993811_895e9b.jpg)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LG전자가 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 베어로보틱스(Bear Robotics)의 지분을 추가 인수하면서 경영권 확보에 나섰다.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를 통해 미래 먹거리인 로봇 사업 경쟁력에 제고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24일 LG전자는 지난 22일 이사회를 열고 베어로보틱스의 30% 지분을 추가 인수하는 콜옵션을 행사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앞서 작년 3월 LG전자는 6000만달러를 투자해 베어로보틱스 지분 21%를 취득하고 최대 30% 지분을 추가 인수할 수 있는 콜옵션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콜옵션 행사가 완료되면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 지분 총 51%를 보유함에 따라 경영권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를 자회사로 편입하게 된다.
LG전자측은 “‘클로이 로봇’ 중심의 상업용 로봇 사업 일체를 베어로보틱스와 통합한다”며 “하정우 베어로보틱스 CEO를 비롯해 기존 주요 경영진을 유임해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이들을 LG전자 이사회 멤버로 참여시켜 상업용 로봇 사업 시너지 창출에 매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를 통해 상업용 로봇을 비롯해 자사 로봇 사업 전반에 시너지를 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예를 들어 베어로보틱스 SW(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상업용‧산업용‧가정용 로봇을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 플랫폼을 구축해 각기 다른 로봇 제품을 사용하는 다양한 고객들에게 균질하고 상향 평준화된 솔루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통합 플랫폼을 다양한 로봇에 공통 적용해 개발 기간 축소 효과도 얻을 수 있다..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를 통해 상업용 로봇 시장 공략과 동시에 고객을 이해하는 공감지능(AI)과 가전사업을 영위하면서 축적한 제조 역량을 기반으로 가정용‧산업용 로봇 사업 강화에도 나설 계획이다.
우선 가정용 로봇 분야는 업계 최고 수준의 생활가전 기술력을 갖춘 HS사업본부에서 총괄한다. AI가 탑재된 가정용 로봇이 가족 구성원의 상태를 정교하게 인식하고 이에 맞춰 가전제품과 서비스를 매끄럽게 연결하는 총체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둔다.
연내 출시 예정인 이동형 AI홈 허브(프로젝트명 : Q9)가 대표적이다. Q9은 두 다리에 달린 바퀴와 자율 주행 기술과 음성‧음향‧이미지 인식 등을 접목한 멀티모달(Multi Modal) 센싱을 통해 집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사용자와 소통하고 집안의 가전과 IoT 기기를 유기적으로 연결‧제어한다.
또 카펫이나 바닥 장애물을 자연스럽게 넘는 섬세한 움직임과 디스플레이로 표정을 표출해 풍부한 감정표현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LG전자는 Q9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음성인식‧음성합성 기술도 탑재했다.
LG전자 CSO 이삼수 부사장은 “이번 추가 투자는 ‘명확한 미래’인 로봇을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겠다는 LG전자의 확고한 의지에 따른 것”이라며 “상업용‧산업용‧가정용 등 로봇 사업 전방위 분야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