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3 (수)

  • 흐림강릉 9.7℃
기상청 제공

LG전자, 초·중·고 입학 구성원 자녀에게 노트북 등 선물 제공

올해부터 LG 그램 노트북 외 LG 스탠바이미 2도 입학 선물로 신청 가능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LG전자가 오는 3월 초·중·고등학교에 입학하는 자녀를 둔 구성원들에게 노트북, 학용품세트 등 입학 축하 선물을 전달한다.

 

LG전자는 앞서 지난 2021년부터 올해까지 5년간 초·중·고 입학 자녀를 둔 구성원들에게 총 2만2000여대의 노트북을 지급한 바 있다.

 

11일 LG전자는 자사 구성원들이 자녀 1명 당 1회 입학 시점에 맞춰 노트북을 신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올해의 경우 구성원들의 2018년생(초등학교), 2012년생(중학교), 2009년생(고등학교) 자녀 총 3000여명이 노트북 등의 선물을 지급 받는다.

 

LG전자측은 “어린이들의 다양한 학습 환경을 고려해 올해부터 LG 그램 노트북 외에도 ‘LG 스탠바이미 2’를 선택지에 추가했다”며 “‘LG 스탠바이미 2’를 선택한 구성원들에게는 전용스피커와 무선 이어폰을 함께 제공한다”고 전했다.

 

‘LG 스탠바이미 2’는 ‘무선 이동식 라이프스타일 스크린’ 장르를 개척한 ‘LG 스탠바이미’의 뒤를 이어 4년 만에 선보인 후속작이다. 나사를 푸는 등 복잡한 과정 없이 버튼 하나로 손쉽게 화면부와 스탠드를 분리할 수 있다. 전용 액세서리를 사용하면 태블릿 PC처럼 책상, 테이블 등에 올려두고 사용하거나 액자처럼 벽에 걸어두고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올해 자녀 입학 축하 선물로 회사로부터 노트북을 받은 한 LG전자 직원은 “올해 두 자녀가 각각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수업·과제 등을 위해 각자의 노트북이 필요해졌는데, 회사 덕분에 두 아이 모두 노트북을 받을 수 있게 돼 부담을 덜었다”고 말했다.

 

LG전자는 노트북, 스탠바이미 외에도 초등학교 입학 자녀를 둔 구성원 1500여명에게 학용품세트, 운동복 등으로 구성된 초등학교 입학 선물을 추가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조주완 LG전자 사장(CEO)은 ‘사장 아저씨’라는 이름으로 구성원 자녀들에게 입학 축하 편지도 함께 보낸다.

 

해당 축하 편지에는 “선생님 말씀 잘 듣고, 친구들과 사이 좋게 지내면 신나고 재미있는 학교 생활이 될 것”, “예쁜 꿈도 키워가며 밝고 건강하게 학교 생활하기를 응원한다” 등의 메시지가 담길 예정이다.

 

이번 구성원 자녀를 대상으로 한 초등학교 입학 선물은 수능응원 선물 등과 함께 ‘생애 주기 맞춤형 선물’의 일환으로 운영 중인 LG전자의 대표적인 복지 제도다.

 

LG전자에 의하면 지난 2014년부터 2만4000여명의 구성원 자녀들이 초등학교 입학 선물을 받았다.

 

이밖에 LG전자는 출산·육아기에 있는 구성원들이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 중이다.

 

실제 지난 2022년부터 육아휴직 기간을 2년까지 보장하며 법정 육아휴직기간보다 더 많은 휴가기간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1일 1시간부터 최대 5시간까지 단축 근무를 할 수 있는 ‘육아기 근무시간 단축제도’ 등도 실시하고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이경근 칼럼] 미국 보호무역주의 파고, 현명한 통상 전략 구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야
(조세금융신문=이경근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2025년, 세계 경제는 다시 한번 보호무역주의라는 거센 파고를 마주한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우선주의' 기조를 강화하며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명분으로 관세 장벽을 높이 쌓으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한국 경제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 등 자국법을 근거로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최근 미국은 당초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25%의 상호 관세율을 제안했으나, 우선 10%의 기본 관세를 유지하되 상호관세 부과는 90일간 유예(2025년 4월 10일 결정)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 90일이라는 유예 기간 동안 미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영국, 호주, 인도 등 우선협상 대상국들과 개별적으로 관세를 포함한 포괄적인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국 재무장관은 각국의 방위비 분담금 수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미 중국 제품에 대해서는 145%라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125%의 보복관세로 맞서는 등 미-중 무역 갈등은 격화되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