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8 (금)

  • 구름많음동두천 13.8℃
  • 맑음강릉 17.6℃
  • 맑음서울 13.9℃
  • 맑음대전 15.0℃
  • 맑음대구 12.8℃
  • 맑음울산 17.0℃
  • 맑음광주 18.3℃
  • 맑음부산 17.2℃
  • 맑음고창 17.6℃
  • 맑음제주 20.1℃
  • 구름많음강화 14.0℃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7.6℃
  • 맑음강진군 16.9℃
  • 맑음경주시 18.2℃
  • 구름조금거제 16.3℃
기상청 제공

[분양톡톡] 12월 5주(12월 28일~01월 03일) 분양일정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12월 마지막 주에는 서울 고덕강일지구와 경기 고덕국제신도시에서 분양을 준비 중에 있어 눈길을 끈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다음 주에는 전국 7곳에서 총 5836가구(오피스텔·임대 포함, 도시형생활주택·행복주택 제외)의 청약 접수가 실시된다.

 

서울에서 올해 마지막 분양 물량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힐스테이트 리슈빌 강일'과 경기에서는 '힐스테이트 고덕 센트럴'의 1순위 청약 접수가 진행된다. 이 밖에도 경기 '봉담2지구 중흥S-클래스 3차'와 경북 '구미 확장단지 중흥S-클래스 에듀포레'의 대단지 분양이 예정돼 있다.

 

견본주택 개관도 4곳이 준비 중이다. 인천에서 '한화 포레나 인천연수'와 강원에서 '강릉자이 파인베뉴' 등이 본격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견본주택은 코로나19 예방과 확산 방지 차원에서 사이버 모델하우스로 문을 연다.

 

당첨자 발표와 계약은 13곳 사업장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대구 중구에서는 '동성로 SK리더스뷰'의 당첨자가 30일 발표되며 서울 중랑구에서는 '망우역 신원아침도시'의 계약이 28일 진행된다

 

◇ 청약 접수 단지

 

29일 현대건설과 계룡건설은 서울 강동구 강일동 고덕강일공공주택지구에 들어서는 '힐스테이트 리슈빌 강일'의 1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7층, 7개 동, 전용면적 84~101㎡, 총 809가구 규모다. 한강이 가깝고 고덕수변생태공원을 끼고 있어 주거환경이 쾌적하며 올림픽대로와 수도권제1순환도로의 진입이 쉽다. 강빛초중이 내년 3월 개교 예정이며 미사강변도시와 인접해 더블 생활권을 누릴 수 있다.

 

같은 날 현대엔지니어링은 경기 평택시 고덕국제화계획지구 EBC-2블록에 들어서는 '힐스테이트 고덕 센트럴'의 1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49층, 전용면적 78~93㎡, 총 660가구 규모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고덕 비즈니스 행정타운(예정) 등이 인접해 직주근접이 가능하며 고덕국제신도시를 순환하는 BRT(예정) 정류장도 가까워 관내 주요지역 이동도 수월해질 전망이다. 평택~제천간 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서해안고속도로 및 경부고속도로 진입이 쉽다.

 

◇ 견본주택 오픈 예정 단지

 

29일 한화건설은 인천 연수구 선학동 151-3번지 일원에 들어서는 '한화 포레나 인천연수'의 사이버 모델하우스를 오픈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3층, 9개 동, 전용 84㎡ 단일면적 총 767가구 규모로 지어진다. 인천시 첫 민간공원 특례사업으로 진행되는 면적 약 8만5000㎡ 규모의 무주골 근린공원을 품고 있어 주거환경이 쾌적하다. 도보권에 인천지하철 1호선 문학경기장역이 있고, 지하철 3정거장 거리로 인천지하철 2호선(인천시청역)과 수인분당선(원인재역)을 이용할 수 있어 서울 및 기타 경기권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다. 뉴코아아울렛 인천점, 롯데백화점 인천터미널점, 홈플러스 구월점, 구월스타필드(예정) 등의 대형 쇼핑시설과 가천대길병원도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같은 날 GS건설은 강원 강릉시 내곡동 102번지 일원에 들어서는 '강릉자이 파인베뉴'의 사이버 모델하우스를 오픈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7층, 11개 동, 전용면적 74~135㎡ 총 918가구 규모다. 단지 인근에 강릉IC와 연결되는 7번 국도와 35번 국도가 있어 강릉시내 및 타지역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단지 내 병설유치원과 남산초가 도보권에 위치해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단식(斷食), 배고픔의 고통을 이기는 힘과 경영지혜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모 정치인이 갑작스레 단식을 이어가 많은 사람의 주의를 끌었다. 역사상 단식은 많은 사례가 있어 왔다. 단식(斷食)은 실타래 같이 이어져 있는 생명의 유지를 위한 음식공급망을 의식적으로 빠르게 끊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서서히 섭취를 줄이는 절식(節食)과는 다르게 그 배고픔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가 없이 크고 생물의 본능을 공격하는 것이라 정신과 육체 모두를 원시상태로 되돌리는 극기의 인내를 감수해야만 가능하다. 필자에게도 단식경험이 있다. 60년대 우리나라는 전쟁후유증으로 인한 궁핍한 경제로 국민학생들이 제대로 먹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도 생각나는 그때, 워낙 가난한 사정 때문에 하루에 한 끼도 못 채우고 수돗물로 배 채울 정도로 배고픔을 참아가며 열심히 공부해 항상 우등생 반열에 올랐던 절친이 있었다. 필자는 그 친구의 상황을 공감하기 위해 똑같이 하루에 한 끼로 하며 빈 배를 수돗물로 채우는 과정을 동반 체험해봤다. 결국 3일을 넘기지 못했다. 그 배고픔의 고통이 이루 말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필자는 배고픔을 수돗물로 채우고도 끝끝내 강한 의지로 항상 공부를 잘했던 그 친구를 정말 존경했고 후일 그 친
[초대석] 강호동 합천 율곡농협조합장 “현실로 다가온 농촌소멸…농업소득 증대가 해답”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황금빛 쌀보리가 넘실대던 농촌의 가을걷이가 막바지다. 땀방울로 일군 값진 곡식들은 전국으로 유통돼 식탁을 풍성하게 채운다. 국민 밥상의 근간이 되는 농촌 그리고 농업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농촌 경로당은 80대가 막내고, 아이 울음소리가 뚝 끊긴 마을이 점차 늘고 있다. 고령화와 인구감소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채 농촌소멸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어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이제는 농촌과 농업이 식량안보의 핵심이라는 개념적 접근을 넘어 식품산업, 물류, 관광 등 부가가치 창출과 고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혁신 성장이 가능한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자원임을 인식해야 할 때다. 농촌을 지원해야 한다는 소극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미래 사회의 중심에 농촌을 올려놓고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설계해야 한다. 농업생산력을 증진시키고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 있다. 농협이다. 올해로 창립 62년을 맞은 농협은 앞으로의 60년 대계를 위해 분주하다. 농업이 대우받고 농업인이 존경받는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청사진을 그리는 중이다. 첫 단추는 무엇일까. 농촌의 어려움과 농민들의 애로사항을 근거리에서 청취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