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전문가칼럼] 한국사회의 승자독식 세습제도⑥ 희생의 강요, 유목민족의 순장문화

 

 

 

(조세금융신문=구기동 신구대 교수) 유라시아는 초원지대에서 수렵과 유목으로 생활을 유지하였고, 내부적으로 엄격한 규율과 전통으로 움직였다. 순장은 유목민족의 독특한 전통 중에서 유라시안 전역에 가장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이 제도는 유라시아의 스키타이와 흉노, 만주의 부여, 한반도의 신라와 가야, 일본열도의 왜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 대상은 포로와 노예로 전쟁에서 승리하거나 신분 변동이 순장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전통은 고등 종교의 탄생으로 소멸되었지만 우월적인 의식이나 희생의 강요는 여전히 무의식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유목민족의 특성과 범위

 

스키타이(Skythai)는 유목민족으로 사슴을 의미하는 스콜로토이(Skolotoi)에서 유래한다. 헤로도투스는 ‘역사’에서“정 주하지 않고 수레로 자신의 집을 갖고 다닌다. 그들은 수렵생활을 하면서 가축을 치며 활을 쏘는데 능하다”고 기록했다. 

 

소규모 농경을 하면서도 초원지대 주변의 농경민들을 약탈하거나 그 생산물의 공납을 취했다. 부족장은 언제나 선두에서 전투를 지휘하면서 퇴각을 불허했다. 스키타이인들은 무사정신과 승전욕, 그리고 타인과는 형제 관계를 중시했다. 

 

유목 공동체인 흉노는 여러 씨족이 부족을 구성했다. 그 명칭은 여러 유목 민족과 부족들을 계승한 포괄적인 개념으로 중국의 중화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이다. 흉노는 귀방, 험윤으로 불리면서 상나라와 주나라 때부터 중원과 경쟁했다. 

 

오랜 기간 한나라와 싸우면서 외부세계의 문화를 관대하게 수용했다. ‘사기’에 흉노는 “자연의 변화를 따라서 가축의 이동을 좇아 간다”고 했다. 만리장성은 진시황이 흉노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쌓으면서 유목민족과 농경민족의 경계선이 되었다.

 

또한, 만주의 부여는 왕을 중심으로 대가들이 중앙에 거주하면서 지방 세력이 독자적인 권한을 가지는 연맹 국가였다. 지방은 5개 지역으로 그 아래에 가장 기본적인 집단인 읍락을 두었다. 지배계급인 제가(諸加)들이 스스로 무장하여 금속제 병기로 기마 전투를 수행했다. 좋은 말을 길러서 농경민이면서도 기마 풍습이 일반화되어 있었다. 전쟁이 일어나면 제천 의식을 행하고, 소를 죽여 그 굽으로 길흉을 점쳤다. 

 

가야는 기마민족의 전통과 문화를 가지고 낙동강 중류 이남의 서쪽과 소백산맥 동쪽 지역에서 백제와 신라 사이의 완충지 역할을 했다. 600여년의 역사 속에 한반도 남동쪽을 지배했지만 ‘삼국유사’의 가락국기(駕洛國記)에만 일부 기록이 남아있다. ‘일본서기’에‘가라(加羅, 369년)’와‘가라국왕기본한기(加羅國王己本旱岐, 382년)’로 나타난다. ‘삼국사기’에 대가야는 “고령군은 본래 대가야국으로 모두 16대 520년간 존속하다가 신라 진흥왕의 침공으로 멸망하여 대가야군이 되었다”고 했다. 

 

유목민족의 동복과 순장

 

유목민족이 남긴 대표적인 문화가 동복(銅鍑)의 사용이다. 동복은 구리 솥으로 흉노, 부여, 선비가 공유했던 문화였다. 기원전 9세기 스키타이가 사용하기 시작하여 흑해 연안과 알타이, 바이칼, 그리고 북중국 등으로 확산되었다. 

 

동복이 스키타이이에서 사용하던 것이 시베리아 미누신스크 지방을 거쳐서 오르도스에 유입되어 흉노식으로 변형되었다. 만주족의 음식인 화과(火鍋)는 동복처럼 구리와 주석 등으로 만든 둥근 모양의 그릇을 의미한다. 한반도의 낙랑과 고구려도 사용하였고 3세기 가야에도 유입되었다. 신라의 기마인물상에도 동복이 있다. 그렇지만 동복은 백제지역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초기 유목민족인 스키타이의 쿠르간(Kurgan)은 땅 속에 거대한 목곽을 만들고 그 위를 돌무지와 흙으로 덮은 무덤이다. 왕이 죽으면 땅에 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유해를 미이라로 만들고 수레에 싣고 이웃 부족들에게 갔다. 

 

인간이 죽으면 현세와 같은 내세 생활을 한다고 믿고 저승에서 쓸 물건과 사람을 함께 매장했다. 말은 보통 1~3마리, 고급 쿠르간 7~16마리, 왕의 경우 50마리 이상과 수레를 함께 부장했다. 이러한 고분은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및 내몽고 지역까지 광범위하게 전파되었다.

 

신라의 적석목곽분도 목관에 시신을 안치하고 머리 쪽에 부장품을 놓았다. 그 위에 돌을 쌓아 올린 후 흙을 부어 거대한 봉분을 조성했다. 그리고, 사후 1주기에 시종 50명과 말 50마리를 순장하고, 권력과 재력의 상징인 3~4kg의 순금제 공예품을 부장했다. 세월이 흐르면서 목관이 소멸되어 그 곳에 흙이 덮이면서 돌무데기와 흙이 섞인다. 청주의 봉명동 유적은 환두대도와 마구류를 통하여 유목문화의 확산을 확인할 수 있다. 

 

가야의 순장은 4~5세기 주부곽순장(금관가야), 5~6세기 주곽순장(아라가야), 순장곽 순장(대가야)으로 구분할 수 있다. 1918년에 1, 2, 3호분을 시작으로 39호분까지 발굴했었다. 1977년터 재발굴을 하면서 금동관, 철판 값옷와 투구, 토기 등의 부장품을 출토했다. 지산동 30호분은 무덤 주인의 돌널과 순장자 3인의 돌덧널로 구성되어 있다. 44호분은 1기의 주석실과 2기의 부장석실을 구축하고, 36명 이상을 순장했다. 

 

김해 대성동고분은 3세기 말에서 5세기 초의 목곽묘로 오로도스형 동복(이동식 솥)을 발굴했다. 29호분의 동복(銅鍑)은 초원지대의 유목민족이 사용한 금속그릇이다. 금관가야 순장은 안치하는 주곽과 부장품을 넣는 부장곽을 갖추고 있다. 머리맡이나 발치 부분에 순장하고 또한 부곽에도 순장했다. 

 

동복과 순장

 

 

 

 

순장은 특정한 국가나 종족에게 국한되지 않은 보편적인 의식으로 사회의 강한 지배와 예속의 전통이었다. 후에 순장 대신에 무인상과 토우로 대체했다. 진시황릉은 진흙으로 만든 수많은 병마용을 토우를 부장했다. 한나라도 사람을 순장하지 않고 인물과 동물의 모형을 부장했다. 신라와 왜의 무덤에서도 수많은 토우가 발굴되고 있다. 왜에서도 4세기 무렵 순장제도가 폐지되면서 사람이나 동물 모양의 인형인 '하니와(埴輪)'를 묻었다.

 

 

[프로필] 구기동 신구대 보건의료행정과 교수

•(전)동부증권 자산관리본부장, ING자산운용 이사
•(전)(주)선우 결혼문화연구소장
•덕수상고, 경희대 경영학사 및 석사, 고려대 통계학석사,

리버풀대 MBA, 경희대 의과학박사수료, 서강대 경영과학박사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