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5 (일)

  • 맑음동두천 5.2℃
  • 구름조금강릉 5.5℃
  • 맑음서울 5.1℃
  • 흐림대전 3.8℃
  • 흐림대구 5.3℃
  • 구름많음울산 7.3℃
  • 흐림광주 6.3℃
  • 구름조금부산 8.0℃
  • 흐림고창 6.8℃
  • 흐림제주 9.1℃
  • 맑음강화 4.0℃
  • 흐림보은 3.1℃
  • 흐림금산 3.4℃
  • 흐림강진군 7.0℃
  • 구름많음경주시 7.3℃
  • 구름많음거제 7.3℃
기상청 제공

문화

[전문가 칼럼] 북방계 유목민족의 동아시아 정복과 정착 #

 

(조세금융신문=구기동 신구대 교수) 유목민족은 초원지대에서 목축을 하면서 살았지만 혹독한 한파에 생존에 어려움이 부딪히면 농경민족을 약탈하거나 정복전쟁으로 식량을 확보하였다. 유목민족이 농경지대에 정착할 경우 서로 비슷한 비중으로 가축 사육이나 작물 재배의 반농반목 활동을 하였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이러한 정착민족으로 선비족, 퉁구스족, 거란족과 여진족으로 이어지면서 한반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동아시아민족의 기원

 

동아시아 민족은 구석기 후기의 씨족(氏族) 집단으로 몽골인종의 아종(亞種)인 동아종족, 북아종족, 북극종족으로 분파되어 발전하였다. 이 중에서 북아종족은 원시 알타이어계 언어를 사용하면서 동아시아에 거주하였고, 언어적으로 북방계 알타이어족(주어+목적어+동사)은 이웃하는 남방계 티벳어족(주어+동사+목적어)과 분명하게 구분되고 있다. 알타이어계의 중심인 바이칼호(Lake Baikal)는 부리야트어로 ‘큰(바이) 물(칼)’의 의미인 깊이 1700m의 호수로 한강의 옛 이름인 ‘큰(한) 물(수)’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시베리아의 부리야트족이나 만주의 부여족은 ‘바이’에서 파생되었고, 바이칼 이남의 흥안령(興安領)은 유목민족과 농경민족의 경계선이다. 흥안령 이남의 만주는 민족의 혼합으로 융합 문명을 이루면서 강력한 국가를 형성하였고, 그 때마다 중국대륙, 한반도와 일본열도는 항상 침략의 대상이 되었다. 중국대륙은 한 번도 남방 민족의 정복을 받지 않았지만, 고대부터 북방 민족의 지배를 받으면서 중원을 지배하였다.

 

 

 

선비족, 정착 유목민족

 

선비의 기원인 오로크국은 두우(豆于)의 북쪽인 다퉁(大同)에서 4500리에 있었다. 1세기 말에 내몽골의 유목민족인 선비족이 흉노를 물리치고 흥안령 지역을 차지하였다. 선비족의 후연(383-409년)은 요하 상류와 대흥안령 일대에서 유목생활을 하면서 고구려와 전쟁을 자주 치렀다. 모용(慕容)씨의 모용선비가 4세기 초 5호16국시대에 동북지역을 점령하고 연(燕)을 건국했다.

 

선비족은 5호16국시대(304-439년)에 여러 북방 민족과 함께 남하하여 만주와 한반도에 정착했다. 신라의 법흥왕은 모씨로 모원종(募原宗, 삼국사기), 모진(募秦, 책부원귀), 모즉지(牟卽智, 울진 봉평신라비)로 기록되어 있다.

 

경주박물관의 문무왕릉비(文武王陵碑)는 김씨의 근원이 중국 삼황오제(三皇五帝)에서 시작하여 시조인 15대조 성한왕(星漢王)을 적고 있다. 흥덕왕릉비도 김씨의 시조로 태조 성한(太祖星漢)을 쓰고 있다. 선비족은 중국대륙이나 한반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정복활동을 하지 않고 지배계급 형성으로 그 사회의 주류를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퉁구스족, 북방계 수렵민족

 

퉁구스족은 시베리아 사하인의 아홉 부족인 ‘도쿠즈’에서 유래하며, 주로 반농반목이나 수렵을 하면서 아무르강(黑龍江), 예니세이강, 오호츠크해, 연해주 일대에서 살았다. 그 명칭은 춘추전국시대에 숙신(肅愼), 한(漢)나라에서 읍루(挹婁), 남북조(南北朝)시대에 물길(勿吉), 수(隋)‧당(唐)시기에 말갈(靺鞨)로 불렸다. 한반도의 말갈인의 기록이 있는데 500년 전후로 한민족에 동화되었다. 말갈계 국가는 유목민족의 전통인 이원적인 통치정책을 실시하면서 정착지에서 농경과 목축의 혼합농업을 실시하였다.

 

퉁구스계 거란족은 요나라(916~1125년)를 세워서 발해(渤海)를 멸망시켰기 때문에 고려에 망명한 발해 왕족 후손들은 거란을 적대시 하였고, 여진족은 고구려, 발해에 속하다가 발해의 멸망 후 독자적으로 활동하였다. 여진의 완안부가 세력을 형성하여 10세기 초 금나라를 세우고 요나라를 멸망시켰다. 금나라가 고려에 신하로서 조공을 요구하자 고려는 요구를 들어 주고 평화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 11~12세기에 두만강 유역의 숙여진(熟女眞)은 고려의 회유와 동화정책으로 2만 여명 이상의 사람들이 귀화하였다.

 

13세기 원나라가 만주를 지배하면서 만주에서 유행했던 북방 문화도 소멸되었다가 16세기 누르하치가 여진족을 만주족(滿洲族)으로 바꾸고(1586), 후금을 건국하였다(1616). 홍타이지는 여진족의 호칭을 금지하면서 동아시아를 지배했다.

 

그 밖에 퉁구스족은 신장 위구르의 시버족, 홋카이도의 오로크족과 오로치인, 몽골의 에벤키족 등이 있다. 에벤키족은 소규모 씨족 단위로 흩어져서 유목생활을 하면서 동물의 가죽으로 만든 긴 도포의 옷을 입었다. 전통 가옥인 선인주(仙人柱)는 나무를 원뿔 모양으로 세우고, 자작나무 껍질과 모피를 주변에 둘렀다. 이들은 샤머니즘과 곰토테미즘으로 수렵의 성공을 기원했다.

 

 

 

 

한반도는 고대부터 만주를 포함한 북방계 민족들의 영향을 받으면서 국가를 형성하여 왔다. 북방계 민족들의 이동한 다양한 분야에 내재되어 있으며, 발해의 멸망으로 남하했던 말갈족은 고려와 조선에서 천민인 재인, 백정, 양수척, 기생 등으로 살았다.

 

 

[프로필] 구기동 신구대 보건의료행정과 교수

•(전)동부증권 자산관리본부장, ING자산운용 이사
•(전)(주)선우 결혼문화연구소장
•덕수상고, 경희대 경영학사 및 석사, 고려대 통계학석사,

리버풀대 MBA, 경희대 의과학박사수료, 서강대 경영과학박사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건전재정에서 민생 확대재정으로 전환해야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건전재정은 관치에 뿌리내린 시장주의 이념이 만들어낸 국정 기조이지만, 이제는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시스템 리스크로 진화하고 있다. 세수펑크 처방전은 국채발행 금지와 부자감세 원칙을 유지하며 고강도 긴축재정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세수펑크를 막기 위해 한은 급전이나 기금 돌려막기에 의존하거나, 그것도 어려우면 국민들이 더 허리띠를 졸라맬 수밖에 없다. 결국, 건전재정을 강조할수록 재정 상황이 더 불건전해지는 재정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문제는 건전재정이 재정 이슈에 국한되지 않고 경제정책 전반에 2차 충격을 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산층과 서민경제가 어려울 때 일방적인 민생 긴축재정을 고집하면, 구조적 소득충격이 만성적 내수불황으로 이어지는 단초를 제공하게 된다. 최근 재정발 경제위기, 즉 2년 연속 “1%대 저성장 쇼크”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내수불황을 타개할 수 있는 특단에 특단의 내수진작책이 필요한 이유다. 진짜 건전재정은 경기가 어려울 때 재정을 풀어 경제를 살려내고 경제가 좋아져 다시 곳간을 채우는 전문 역량을 요구한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에 더 불건전해진 나라살림
[인터뷰] 이석정 前 세무사고시회장 “고시회, 세전포럼, 전국순회교육으로 한 단계 도약”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이석정 제26대 한국세무사고시회장이 2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장보원 신임 회장에게 바통을 넘겼다. 2022년 임기를 시작하면서 ‘회원 중심, 행동하는 고시회’를 모토를 내걸었던 이석정 號(호)는 세무사로서 첫발을 내딛는 청년 회원의 고충을 덜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세무사전문분야포럼을 창설하고 개인의 전문성을 높이지 않으면 세무업계에서 생존할 수 없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던졌다. 또, 지방세무사고시회와의 연대를 강화하면서 전국순회교육을 차질 없이 진행했다. 이전부터 진행됐던 청년세무사학교도 꾸준히 이어가면서 창업 멘토링스쿨의 의미를 더욱 깊게 새기게 됐다. 이석정 전 한국세무사고시회장을 만나 2년 간의 임기를 되돌아봤다. Q. 지난 2년 간의 한국세무사고시회장의 임기를 돌아보면서 감회가 남다를 듯합니다. 소감 말씀해 주시죠. A. 2년이 너무 짧게 지나간 것 같습니다. ‘회원 중심! 행동하는 고시회’를 모토로 26대 고시회가 22년 11월에 닻을 올렸는데 어느덧 마무리했습니다. 전 임원이 합심하여 계획 및 실행하였고 많은 회원께서 물심양면으로 협조해 주셔서 2년간 행복하게 지낸 것 같습니다. 물론 아쉬움도 많이 남습니다만, 27대가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