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13.1℃
  • 구름조금강릉 14.8℃
  • 구름조금서울 12.6℃
  • 구름많음대전 13.7℃
  • 구름많음대구 14.6℃
  • 구름조금울산 15.4℃
  • 구름많음광주 14.8℃
  • 맑음부산 16.4℃
  • 구름조금고창 14.5℃
  • 구름많음제주 17.4℃
  • 맑음강화 13.7℃
  • 구름많음보은 12.3℃
  • 구름조금금산 14.2℃
  • 구름많음강진군 15.5℃
  • 구름많음경주시 14.5℃
  • 맑음거제 14.7℃
기상청 제공

[전문가칼럼] 한국사회의 승자독식 세습제도③ 순혈주의, 지역주의 기반의 본관제도와 과거제도

 

(조세금융신문=구기동 신구대 교수) 우리 사회는 신라시대부터 순혈주의, 지역주의, 그리고 특권의식을 바탕으로 사회를 움직여 왔다.

 

그 배경은 가문이나 혈통에 따라서 관리를 등용하던 골품제도, 음서제도, 본관제도 등에 의한 사회제도적인 정착이다. 신라 말기에 성이 일반화되었고 세습적인 특권을 가진 주요 집안이 지방을 지배했다.

 

이들은 고려시대에도 주요한 정치세력으로 특권을 유지했다. 신라 말기의 호족, 6두품, 개국 공신들이 고려의 문벌 귀족이 되었다. 문벌 귀족은 5품 이상의 관리로 음서제도와 공음전(토지)의 특권을 받았다.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문벌 귀족은 경원 이씨, 해주 최씨, 경주 김씨, 파평 윤씨 등이었다.

 

이에 대항하여 묘청이 불교를 기반으로 난을 일으켰지만 유교적인 신라 기반의 문벌 귀족을 대표한 김부식에게 패했다. 한편, 사회계층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 도입된 신라의 독서삼품과와 고려시대의 과거제도는 개인별 능력에 따라서 관리가 될 수 있는 방법이었지만 제도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능력에 의한 신분의 이동, 독서삼품과와 과거제도

 

독서삼품과는 신라의 교육기관인 국학에서 배운 학문의 성취도를 상품(上品)·중품(中品)·하품(下品)의 3등급으로 시험을 보는 제도였다. 가정과 국가에 필요한 윤리와 도덕을 기본으로 문학(文學)을 첨가했다.

 

시험과목으로 하품은 곡례(曲禮)와 효경(孝經), 중품은 논어(論語)와 곡례, 효경, 상품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예기(禮記), 논어, 효경, 그리고, 특품(特品)은 오경(주역, 시경, 서경, 예기, 춘추)과 삼사(사기, 한서, 후한서), 제자백가(諸子百家)가 쓴 문(책)이었다.

 

독서삼품과는 친족이나 골품에 따른 족벌(族閥) 세력의 관리 독점을 탈피해서 유학에 기초한 학문적 소양의 관리를 탄생시켰다. 사회 주도세력이 친족 중심에서 능력 중심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신라 하대에 다시 신분적 폐쇄성이 증가하고 당나라 유학생의 진입으로 초기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 신라의 독서삼품과는 고려시대의 과거제도에 영향을 미쳤다.

 

고려는 문벌 귀족과 권문세가의 힘이 커지자 왕권강화를 목적으로 과거제도를 도입했다. 과거제도의 실시는 친족과 호족중심에서 유학 중심의 관료제도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렇지만 과거제도도 천인(賤人), 서얼 출신은 응시할 수 없도록 제한을 두어서 완전한 신분제도의 변화는 아니었다. 응시제한이 적은 잡과도 양인(良人)이나 지배세력은 응시하지 않았고, 일반 서민이나 천인은 참여할 수도 없었다.

 

따라서 잡과의 경우 일부 계급이 세습하고 독점하면서 중인(中人)층을 형성했다. 고려 말에 신진사대부가 유교적 이상 사회를 목표로 과거시험을 통하여 관료로 진출하여 세력을 확대하면서 고려멸망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조선시대에 과거 합격자는 장원 5품, 2등 6품, 3등 7품, 그 이하는 9품에 임명되었다. 당시 관직체계에서 9품이 5품이 되려면 적어도 10년 이상 소요되었다. 고려와 조선에서 과거에 합격한 사람들은 성씨를 가진 사람들로 시험을 제한했기 때문에 일부 집안을 중심으로 합격자를 배출했다.

 

음서제도와 성씨제도를 통한 특권의 상속

 

신라의 골품제도는 고려 시대에 음서 제도로 이어졌다. 고려는 5품 이상의 관원이나 국가에 공훈을 세운 공신들의 자녀에게 음서를 지급하여 관리로 등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 원칙은 문무관을 대상으로 했지만 실제로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행해졌던 고려 사회의 귀족적 성격을 대표하는 제도였다.

 

조상이 왕족, 공신, 그리고, 5품 이상의 문·무관으로 크게 세 부류하여 실시했다. 원칙적으로 18세 이상이 받을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었으나 그보다 더 이른 나이인 15세 무렵에 임용되기도 했다. 이미 관직이 있는 사람은 품계를 올려서 제도를 실시했다. 음서의 대상은 친아들이었지만 아들이 없을 경우 조카, 사위, 친손자와 외손자, 양자 등의 순으로 지급했다.

 

조선 시기에도 음서 제도는 계승되었으나 그 범위가 제한되어, 음서를 통한 관직 진출이 크게 축소되었다. 한편, 과거제도는 성이 있어야 응시할 수 있었기 때문에 성씨 제도가 정착되었다. 그런데 귀족들이 중복된 성을 사용하면서 서로 구별하기 힘들어지자 출신지역을 성 앞에 붙이는 본관제도가 일반화되었다.

 

본관은 성씨의 시조가 나온 출신 지역이면서 혈연 집단을 상징했다. 그 지역의 명칭을 따라서 정했는데 후에 본관이 그 신분을 상징하게 되었다. 신라시대부터 호족의 중심지였던 개성, 청주, 충주, 안동, 전주, 경주, 성주, 나주 등이 많은 본관을 두고 있다. 북부지역은 고려 중·후기에 개척했기 때문에 본관을 두지 않은 지역이 많았다.

 

고려에서 지역적인 차별이 존재하자 사람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본관과 거주지가 일치하지 않게 되었다. 점차 출신 지역과 무관해지면서 동일한 성이라도 지역이 다르고, 성이 다르더라도 지역이 동일한 경우도 나타났다.

 

본관 지역이 도성(개성, 한양)에서 멀수록 전국적으로 성씨가 분포하고 도성에 가까울수록 전국적으로 확산되지 않았다. 사람들이 도성에서 멀수록 살기 어려웠기 때문에 일자리를 찾아서 도성으로 왔다가 다시 전국으로 흩어졌다.

 

본관이 다른 지역에서 도성으로 올수록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지역별 거주자의 본관을 분석해보면 전국적인 거주형의 성씨와 지역적인 토착형의 성씨로 구분할 수 있다. 고대부터 인구의 유출입이 많았던 나주 지방의 경우 토착 성씨, 전기 유입 성씨, 후기 유입 성씨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토착 성씨는 나주에 본관을 둔 혈연 집단으로 나주 임씨, 나주 나씨, 금성 나씨, 나주 정씨, 반남 박씨 등이다. 전기 유입 성씨는 나주에 본관을 두고 있지 않지만, 토착 집단과 통혼 관계를 맺거나 정치적 이유로 정착한 혈연집단이다.

 

그리고 후기 유입 성씨는 나주 지방에 본관을 두지 않고 정착한 혈연집단이다. 족보는 본관제도에서 동일 씨족의 관향을 중심으로 조상들의 계통과 행적을 정리하고 있다.

 

순혈주의, 지역주의, 그리고 조상에 의한 특권을 동시에 관리하는 수단이었다. 조선시대 후기에 족보의 매매는 사회계층의 이동에 대한 뿌리깊은 욕구의 표출이었다. 일부 가문은 그들의 위상을 과장하기 위하여 조상의 지역을 조작하기도 했다.

 

유교사회에서 동성동본의 혼인을 금지하여 유력한 가문 간에 혼인할 때 우월성의 상징이었다. 우리 사회는 친족혼과 골품제도, 음서제도에 의한 순혈주의를 바탕으로 우월적 지위를 세습하려 했다. 본관제도는 지역주의를 토대로 신분을 나타냈다.

 

신라 중대에 도입된 독서삼품과와 고려시대의 과거제도는 사회계층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능력주의로 전환하려는 시도였다. 그렇지만 제도의 폐쇄성과 일부 집안에 의한 독식으로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족보는 현대에도 가문이나 집안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여전히 자리하고 있다.

 

 

[프로필] 구기동 신구대 보건의료행정과 교수

•(전)동부증권 자산관리본부장, ING자산운용 이사
•(전)(주)선우 결혼문화연구소장
•덕수상고, 경희대 경영학사 및 석사, 고려대 통계학석사,

리버풀대 MBA, 경희대 의과학박사수료, 서강대 경영과학박사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아이 낳고 싶지 않은 여성이 대부분인 나라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1년 가까이 저출생 문제를 장기 취재하면서 줄곧 든 생각이 한국의 미디어 환경이다. 방송카메라는 온종일 독신 유명 연예인의 일거수일투족, 연예인 가족의 일상을 샅샅이 훑는다. 시청자들은 간간이 미소 짓고, 자주 한숨 짓는다. 저소득 노동자들의 일상은 대략 비슷하다. 택배상자를 뜯어 찰나의 소소한 행복감에 젖고, 대기업의 반제품 요리재료꾸러미(meal kit) 포장을 뜯어 백종원의 지침대로 요리도 해먹는다. 다국적 미디어 플랫폼 N사의 영화를 보다가 잠든다. 침대에 누워 SNS를 뒤적일 시간도 사실 그리 넉넉하지는 않다. 그저 그런, 그냥 일상의 연속이다. 바다가 보이는 별장에서 진짜 정성을 기울여 만든 요리를 함께 모여 먹는 장면을 보면서 컵라면을 먹는다. 1인당 입장료가 15만원인 호텔 수영장에서 아이와 신나게 물장난을 치는 장면을 보면서 한숨을 쉰다. 아이를 태운 유모차 값이 850만원짜리라는 걸 결혼한 친구로부터 들었기 때문에 한숨은 잠시 분노 섞인 탄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TV나 유투브를 보는 동안 내 인생과 연예인의 인생은 그럭저럭 공존한다. 폼나는 부분은 연예인 인생을 보면서 대리만족을 느낀다. 궁색하고 구질
[인터뷰] 인성회계법인 이종헌 회계사 “세무회계 전문가, AI활용으로 더욱 고도화된 역할 감당해야”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지난 8월 26일 홀리데이인 인천송도 호텔에서는 ‘2024 인천지방세무사회 회직자 워크숍’이 열렸다. 상생과 화합을 다짐하는 이 자리에서는 ‘회직자가 알아야 할 회무 관련 규정’, ‘온라인 전자투표’ ‘GPT를 활용한 전문직의 미래’ 등의 다양한 주제 발표도 이어졌다. 이날 취재를 하면서 생성형 AI를 대표하는 ChatGPT 등을 세무회계 전문가들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고, 또 앞으로 어떤 또 다른 미래가 다가올까에 관심이 더해졌다. 이날 ‘GPT를 활용한 전문직의 미래’ 강의는 인성회계법인 이종헌 회계사가 맡았다. 가장 먼저 소개한 것은 AskUp(아숙업)이다. 카카오톡 채널인 아숙업을 통해 ChatGPT 무료 버전을 활용할 수 있었다. 필자도 바로 채널을 추가해서 활용해 봤다. 변화하는 세상이 한 걸음 더 다가간 느낌이 들었다. 이종헌 회계사를 만나 워크숍 참석한 세무사들의 반응과 함께 세무회계 전문가들이 앞으로 어떻게 AI를 대비하는 게 좋을까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강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습니다. 많은 세무사가 AI, 특히 GPT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셨어요. 질의응답 시간에는 실제 업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