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7 (토)

  • 구름많음동두천 28.1℃
  • 흐림강릉 28.2℃
  • 구름많음서울 28.7℃
  • 흐림대전 28.6℃
  • 흐림대구 28.5℃
  • 구름조금울산 29.1℃
  • 흐림광주 27.0℃
  • 흐림부산 28.3℃
  • 구름많음고창 27.9℃
  • 제주 28.1℃
  • 흐림강화 28.0℃
  • 구름많음보은 27.1℃
  • 구름많음금산 26.9℃
  • 흐림강진군 28.5℃
  • 구름많음경주시 28.8℃
  • 구름많음거제 27.3℃
기상청 제공

문화

[전문가 칼럼] 중원의 책봉과 그 영향

 

 

 

(조세금융신문=구기동 신구대 교수) 조공은 중심국(종주국)인 중국에 대하여 제후국(번국)인 속국의 충성을 나타내는 위계 구조였다. 황제는 제후국의 조공을 통하여 상징적인 통치권을 인정받았고, 제후국은 지배 영역의 종주권에 대한 중원의 확인을 받았다. 동아시아는 조공과 책봉으로 환경의 변화에 순응하면서 각 국가가 독자적인 통치를 수행하였다.

 

조공에 따른 책봉의 역사

 

최초 책봉의 기록으로 근초고왕이 동진(東晉)에서 진동장군령낙랑태수(鎭東將軍領樂浪太守)를 받았다. 송(宋)은 전지왕에게 책봉하면서 진동대장군(鎭東大將軍)으로 한단계 승격시켰다. 백제의 관료로 신하였던 부여례가 관군장군부마도위불사후장사(冠軍將軍駙馬都尉弗斯侯長史)를 받고, 장무가 용양장군대방태수사마(龍驤將軍帶方太守司馬)를 받았다(472년).

 

양나라는 무령왕에게 사지절도독백제제군사영동대장군백제왕(使持節都督百濟諸軍事寧東大將軍百濟王, 521년), 성왕에게 지절백제제군사수동장군백제왕(持節百濟諸軍事綏東將軍百濟王, 524년)을 수여했다. 성왕이 양나라에 시경(詩經) 전문가를 요청했고, 양무제는 예학의 권위자인 육후(陸詡)를 보냈다.

 

위덕왕은 동제에서 사지절시중거기대장군대방군공백제왕(使持節侍中車騎大將軍帶方郡公百濟王, 570년)과 사지절도독동청주제군사동청주자사(使持節都督東靑州諸軍事東靑州刺史, 571년), 수나라에서 상개부의동삼사대방군공(上開府儀同三司帶方郡公, 581년)을 받았다.

 

당나라에서 무왕은 ‘대방군왕백제왕(帶方郡王百濟王)’과 사후에‘광록대부(光祿大夫)’, 의자왕은‘주국대방군왕백제왕(柱國帶方郡王百濟王)’과 사후에‘금자광록대부위위경(金紫光祿大夫衛尉卿)’을 얻었다. 웅진도독 부여융은‘광록대부태상원외경사지절웅진도독대방군왕(光綠大夫太常員外卿使持節熊津都督帶方郡王)’, 사후에‘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을 받았다.

 

신라 지증왕이 국호(新羅, 503년)를 정하면서 중국에서 책봉을 받았다. 진덕여왕(648년)은 중국식 의관을 착용하면서 당나라와 일체감을 조성했다. 김춘추는 공식적인 사대 관계를 맺으면서 당나라의 종주권을 인정하여 신라 말까지 군신 관계를 형성했다. 신라는 자체 연호를 폐기하면서 당나라 연호를 사용했고(659년), 법흥왕 이후 사용하던 불교식 시호도 중국식으로 바꾸었다. 고려의 왕건도 후당의 연호를 사용하면서 중국의 종주권을 인정했다.

 

사대의 표시였던 대통사와 분황사

 

백제의 대통사와 신라의 분황사는 양나라와 당나라의 지원과 협력을 얻으려는 노력의 상징물로 추정된다. 백제는 양나라 양무제의 연호인 대통(大通, 527~529년)을 사용하여 대통사(大通寺)를 창건했다(삼국유사). 법화경에 나오는 대통불로 공주 대통사지와 부소산성에서 ‘대통’이 기록된 기와를 찾았다.

 

대통사는 명칭이 알려진 최초의 백제 사찰로 연꽃무늬 수막새가 사용되었다. 수막새 뒷면과 수키와 앞부분을 연결하는 중국 남조계의 기술을 반영하였고, 신라 최초의 사찰인 흥륜사(興輪寺)와 일본의 아스카지(飛鳥寺)의 기와에 영향을 미쳤다.

 

신라에서 선덕여왕이 ‘향기로운 황제의 사찰’인 분황사(芬皇寺)를 세웠다(삼국사기).

 

三年春正月 改元仁平 芬皇寺成

“3년 봄에 연호를 인평으로 고치고 분황사를 세웠다.”

 

신라는 분황사가 건립되던 시기에 당의 문화를 빠른 속도로 받아들였다. 당나라에서 들여온 단령과 관모가 조선시대까지 관료의 집무복으로 사용되었다. 분황사탑은 중국 전탑을 모방하여 7층 또는 9층 탑으로 세웠다(634년). 탑 1층은 4면에 감실(龕室)을 만들고, 탑의 입구에 인왕상, 돌사자와 돌물개상을 배치했다. 한동안 분황사탑과 유사한 벽돌탑이 8세기까지 세워졌다.

 

 

 

 

 

당나라 양식의 전탑과 모전탑

 

8세기에 전탑(塼塔, 벽돌탑)과 모전탑(模塼塔)이 낙동강변을 중심으로 유행했다. 전탑은 중국의 양식으로 8-9세기에 일정 기간만 만들어졌다. 백제석탑처럼 마감하는 석재의 각과 기단부를 낮추어서 지붕을 더 길게 하면서 처마를 약간 들리게 제작했다. 옥개석의 받침부는 별석으로 분리하여 목조 가구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중국 유학생, 신라내 당나라인이나 포로가 조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순수 전탑은 정암사 오층탑, 법흥사지 칠층탑, 송림사 오층탑 등이다. 모전탑은 돌을 벽돌처럼 잘라 만든 탑으로 분황사탑, 제천 장락리 칠층탑, 봉감리 오층탑, 상주 상병리석심 회피석탑 등이 있다. 그리고, 석탑계 모전탑은 탑신 옥개석을 벽돌식 석재로 축조하며 탑리 오층석탑, 빙산사지 오층석탑, 선산 죽장사 오층석탑, 경주 용장사 삼층석탑 등이다.

 

 

 

 

 

나당연합군의 비문

 

백제 침략의 승자였던 소정방은 정림사지 오층석탑에 당평백제국비명(大唐平百濟國碑銘)으로 그의 공적을 기록했다. 비문은 제1면 24행, 제2면 29행, 제3면 28행, 제4면 36행으로 각 행마다 16자 또는 18자를 적었다. “백제가 천자의 말을 듣지 않고 이웃 나라와 불화하고 밖으로 곧은 신하를 버리고 안으로 요부가 정권을 농단했다. 이 보찰(寶刹)을 깎아 특별한 공을 기록하니”로 적었다. 소정방은 백제를 정복하고 패강에서 고구려군을 격파했다가 재반격에서 패했다(661년 5월).

 

유인원은 소정방을 따라서 왔다가 당군의 총사령관과 웅진도독이 되었다(662년). 그는 웅진도독 부여융과 신라왕 김법민간 취리산 회맹을 주관했다(665년 8월). 백제부흥군을 평정한 공로를 새긴 `당유인원기공비(唐劉仁願紀功碑, 663년)’가 부소산에서 발견되었다. 의자왕과 백제인들이 당나라로 압송된 사실과 부흥운동의 주요 내용, 폐허가 된 도성에 대하여 기록했다.

 

 

 

 

 

중원이 조공과 책봉의 내속으로 제후국과 중심국을 관리하면서 동아시아를 이끌어 왔다. 이러한 역학관계는 현대에 와서도 크게 변하지 않고 상생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미래의 변화 속에서 이러한 과정들이 지속될지 아니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경될지 알 수 없지만 이웃한 국가들과불화보다 협력을 통하여 역사는 발전하여 왔다.

 

 

 

 

[프로필] 구기동 신구대 보건의료행정과 교수

•(전)동부증권 자산관리본부장, ING자산운용 이사
•(전)(주)선우 결혼문화연구소장
•덕수상고, 경희대 경영학사 및 석사, 고려대 통계학석사,

리버풀대 MBA, 경희대 의과학박사수료, 서강대 경영과학박사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의사의 꿈을 버리고 인류 최고의 지혜를 만든 사람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의료계의 극심한 반대 속에서도 정부 측의 강행으로 의대증원이 확실시 되어가며 바야흐로 의사 전성시대가 도래되었다. 현재 의대정원 3058명이 5058명으로 대폭 늘어나며 10년 후에는 5만명 이상의 의사가 늘어나게 된 것은 반드시 우리 사회에 포지티브 영향만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양지가 있으면 음지가 존재하듯이 이에도 여러 가지 부작용이 도래될 것임은 명확하다. 첫째는, 의사를 목표로 하는 광풍시대가 사회구조를 더욱 불균형으로 만들 것이다. 오로지 계급 최고의 위치에 있는 의사가 되기 위해 본인을 비롯해 부모들이 더 미친듯이 나댈 것은 지금까지의 입시 흐름을 봐서도 틀림없다. 그래서 흔히 회자되는 의대입학을 위한 반수생, N수생의 폭증이 불 보듯 뻔하며 이 수요는 이공계의 우수한 인재를 거의 고갈시켜 국가과학기술발전에 큰 후퇴를 가져올 것이다. SKY대 등의 이공계 우수인재들이 의대입학을 하기 위해 자퇴를 하고 의대입시 전문학원에 몰려드는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것은 현재 바이오, AI, 우주, 반도체 등이 글로벌 산업의 중추로 국가간 초경쟁시대에 거꾸로 가는 현상이고 이는 국가미래에 매우 불안한 느낌을 준
[인터뷰] 창립 50주년 부자(父子) 합동 남서울관세사무소 홍영선 관세사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국내 최초의 부자(父子) 합동 관세사무소인 남서울관세사무소가 지난 5월 12일 하버파크호텔에서 창립 50주년 행사를 열고 혁신과 도약의 100년을 다짐했다. 이 자리에는 특히 장시화·이용철·이영희·김용우·이상태·손종운 씨 등 남서울 창업 멤버가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현재 남서울관세사무소를 이끄는 홍영선 대표관세사는 이날 기념식에서 인사말을 통해 “남서울관세사무소의 50주년은 관세사회 역사에 커다란 획을 긋는 뜻깊은 기록이자 커다란 귀감이 되었다고 자부합니다. 전·현직 남서울 식구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믿음으로 다져온 남서울관세사무소의 50년을 보냈습니다. 앞으로 혁신과 도약의 100년을 다짐합니다”라고 전했다. 기념식에는 이승남 국가원로회의 정책위원 겸 KBS 前 국장도 참석해 “지금까지 믿음으로 50년을 지켜온 만큼 앞으로 100년도 믿음으로, 튼튼하게 성장해 나가는 기업이 될 것”이라며 덕담을 전했다. 남서울관세사무소(옛 남서울통관사)는 국내 첫 지하철(청량리역~서울역)인 1호선이 개통되고, ‘K-푸드’의 대표주자로 세계 60여 개 나라의 과자 시장을 휩쓰는 ‘초코파이’가 탄생하던 해인 1974년 5월 10일 고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