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0 (일)

  • 구름많음동두천 4.9℃
기상청 제공

세무사회, '세무사 윤리헌장' 제정...공공성·전문성·도덕성 높인다

세무사 윤리강령, 정화수칙 통합...새로운 윤리 기준 마련
납세자 권익보호, 조세정의 실현 발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한국세무사회(회장 구재이)는 2025년 3월 25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세무사의 윤리성과 공공성을 강화하며 국민에게 신뢰받는 조세전문가로서의 책무를 다짐하는 ‘세무사 윤리헌장’을 제정했다.

 

세무사 윤리헌장에는 국민이 기대하는 바람직한 세무사의 윤리상을 분명히 하고, 납세자 권익 보호와 조세 정의 실현을 핵심 가치로 삼아 세무사의 법적 사명과 사회적 책임을 명확히 담고 있다.

 

이번에 새롭게 제정된 ‘세무사 윤리헌장’은 1983년 제정된 ‘세무사 윤리강령’을 바탕으로, 변화된 시대 환경과 그동안 확장된 세무사의 공적 역할을 반영해 윤리 기준을 보다 강화한 것이다.

 

‘세무사 윤리강령’은 세무사의 기본 윤리관 확립을 위한 첫걸음이었다. 이후 세무사의 공공성이 강화됨에 따라 윤리 기준 역시 국민 기대와 눈높이에 맞춰 보완되어야 했다. 이번에 제정된 윤리헌장은 기존의 '세무사 윤리강령'과 '정화수칙'을 통합해,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단순한 규범 나열을 넘어 세무사의 공공성과 전문성, 신뢰성과 도덕성을 아우르는 실천적 윤리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세무사가 실천해야 할 핵심 가치를 국민 앞에 선언함으로써 세무사에 대한 신뢰와 기대에 수준 높은 윤리성으로 부응하는 ‘국민의 세무사’ 임을 1만 7천 회원의 의지로 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세무사 윤리헌장에는 △조세정의 실현과 △납세자 권익 보호, △비밀 유지 등 법적 의무의 철저한 준수, △전문성의 지속적 강화, △국가와 사회에 대한 역할과 책임, 그리고 △세무사 공동체의 건전한 발전과 협력 등 세무사의 공공성과 윤리성을 구성하는 6가지 핵심가치가 담겨져 있다.

 

세무사 윤리헌장은 세무사가 국민 앞에 스스로 책임과 역할을 선언하는 공적 약속이라는 점과 납세자 권익보호와 조세정의 실현이라는 궁극의 목적 달성을 위한 실천적 지침으로써 특별한 의미를 담았다.

 

세무사회는 이번 세무사 윤리헌장 제정을 계기로 납세자와 세무사 간의 신뢰가 한층 더 굳건해지고, 세무사가 납세자의 권익을 지키는 수호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히고, 세무사 윤리 교육과 실천 방안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한국세무사회 구재이 회장은 “이번 세무사 윤리헌장 제정은 세무사들이 국민과 사회로부터 신뢰받는 전문가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윤리 교육과 자율적 실천을 통해 세무 서비스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세무사 윤리헌장은 단순한 선언이 아니라, 세무사가 국민 앞에서 어떤 자세로 직무를 수행해야 하는지를 스스로 다짐하는 약속”이라며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전문성과 윤리성을 더욱 강화해 조세전문가로서의 책무를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성질이 고약하다”에서 본 리더의 그릇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국가, 지지체, 법인, 단체 가족 등 인간사회를 구성하는 요소들에는 CEO, 즉 조직의 장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조직의 장이 유능하냐 무능하냐에 따라 그가 이끄는 조직은 백만대군을 가지고도 고구려의 소수 군사에 패한 당나라의 지리멸렬한 군사조직이 되기도 하고 임진왜란 시 10척의 배로 일본의 수백 척 왜선을 물리친 연전연승의 조선수군이 되기도 한다. 그만큼 조직의 장의 위치는 그가 가지는 재주와 기질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질 수밖에 없는 조직의 미래와 운명을 불가역적으로 결정하게 만든다. 필자는 우연히 물개영화를 보다 한 내레이션의 문구가 인상에 남았다. 관광객들에게 주의를 주는 멘트였는데, 물개가 얼굴은 귀엽게 생겼지만 성질이 고약해 쓰다듬지 말라는 말이었다. 여기서 ‘성질이 고약하다’는 어원의 출처를 캐보면 옛날 우리나라 최대의 성군이라 일컫는 조선의 세종대왕이 등장하게 된다. 한글을 창제하고 영토를 확장하고 장영실 같은 천민을 발굴해 과학 창달을 이뤄 당대에 태평 치세를 이룬 그에게 ‘성질이 고약하다’라는 어원의 출처가 등장하다니 뭔가 재밌는 일화와 후대들에게 시사하는 레슨이 있음은 분명해보였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