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구름조금동두천 16.9℃
기상청 제공

기업회계 담당자 약 60%가 ESG 공시 필요…정작 준비완료는 13%

주요국 ESG 공시 규제, 글로벌 공급망 영향 커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국내외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공시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국내 기업 회계 담당자 중 d약 60%가 ESG 공시 의무 도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제 자신이 속한 기업이 관련 준비를 했다는 응답은 13%에 그쳤다.

 

EY한영(대표 박용근)이 국내 기업 회계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 EY한영 회계투명성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중 59%가 국내 ESG 공시 의무 일정이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진행되어야 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대상자는 국내 기업 회계 담당자(사외이사, 감사위원, 회계 및 재무 관련 부서 임원과 부서장) 16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 27%는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ESG 공시 의무 일정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답했으며, 32%는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일정을 진행하되 공시 의무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국내 기업 현실을 감안해 ESG 공시 의무 일정을 연기해야 한다는 응답은 34%로 나타났다.

 

유럽연합(EU)은 2025년부터 기업 규모에 따라 ESG 공시 의무를 적용하고, 미국 역시 2024년부터 기후 관련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는 준비기간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ESG 공시 의무 도입 시기를 2026년 이후로 연기하겠다고 발표했을 뿐 구체적 도입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공표된 바 없다.

 

하지만 주요국 ESG 공시 동향을 고려할 때 시간이 무한정으로 주어진 것은 아니다.

 

‘기업의 ESG 공시 준비 상황을 고려했을 때 현실적으로 ESG 공시 의무가 가능한 시기’를 묻는 질문에 39%의 응답자는 ‘3년 이상 걸릴 것’, 31%는 ‘2년 후 가능’, 17%는 ‘1년 후 가능’이라고 답했다. ‘즉시 ESG 공시 의무를 실행 가능하다’고 한 응답은 단 13%에 불과했다.

 

이동근 EY한영 품질위험관리부문 대표는 “해외 주요국의 ESG 공시 규제는 해당 국가에서 사업을 하는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종속기업 및 글로벌 공급망에 속한 기업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다”라며 “전 세계적으로 ESG 공시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에 맞춰 국내 기업들은 선제적으로 ESG 공시 강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신뢰를 잃고 전략 없이 성공하는 정책은 이 세상에 없다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국민연금법’이 여야 합의로 통과됐지만, 일하는 3040 세대의 상당 수가 불만을 표시한 것이 국민들의 대표(제발 그 이름값을 하기를!)의 표결 결과에서 드러났다. 그러니 바로 지금이 가계의 노후를 준비하는 연금과 금융투자, 부동산 문제를 되돌아 볼 적기다. 한국 가계경제의 특징은 독특하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교육을 거의 완전히 사교육에 의존하도록 만들어 모든 소득계층에서 과도한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다. 사교육의 결과를 보면 그 가성비는 매우 낮다. 전 계층에서 사교육비를 쓰지 않아도, 아니 어쩌면 쓰지 말아야 더 많은 인재가 모든 분야에 골고루 나올 것이다. 그런데 사교육 결과 모든 소득계층 학생들의 문해력은 떨어지고 평생학습동기는 고갈되며 통찰적 사고능력이 떨어진다. 직업도 오로지 돈을 많이 번다는 이유로 의사로 쏠리는 기현상이 연출되고 있다. 가성비가 거의 제로에 가까운 사교육에 많은 돈을 지출한 결과, 학부모의 노후준비는 거의 포기해야 할 지경이다. 여러 이유로 10위권 밖으로 성큼 밀려난 한국의 세계경제순위와 무관하게, 오래전부터 악명 높은 노인빈곤율이 그 결과물이다. 가계 부문에서 착실히 자산을 형성해 노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