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08 (일)

  • 맑음동두천 21.2℃
  • 맑음강릉 21.4℃
  • 맑음서울 24.4℃
  • 맑음대전 24.0℃
  • 흐림대구 25.1℃
  • 구름조금울산 25.2℃
  • 맑음광주 24.3℃
  • 구름조금부산 27.3℃
  • 맑음고창 21.8℃
  • 구름조금제주 27.4℃
  • 맑음강화 20.3℃
  • 맑음보은 22.3℃
  • 맑음금산 22.7℃
  • 맑음강진군 24.1℃
  • 구름많음경주시 24.8℃
  • 구름조금거제 26.9℃
기상청 제공

[이슈체크]④세수펑크 속 또 ‘부자감세?’ 100분 토론을 토론하다(조세부담률‧경제성장)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나랏일을 하려면 세금이 필요하다. 기업 지원, 서민 지원, 국가 운영, 국방력 확충, 외교력 확대 다 돈이 들어가야 한다. 특히 한국은 저출생‧고령화로 인해 더 많은 돈이 필요하고, 10년 내 확실한 세입기반을 마련하지 못하면 노인 문제로 국가 운영이 위험해진다. 이 위기의 순간에 정부와 여당은 감세를 통한 경제성장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MBC가 지난 9일 방영한 ‘세수펑크 속 또 ‘부자감세?’ 100분 토론’에서 제기됐던 주장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반박을 담아봤다.

 

 

1. 사회간접세를 포함하면 한국의 조세부담률이 선진국 못지않다

-이날 방송에 제시된 조세부담률 통계에는 사회간접세가 빠진 게 맞다.

 

다만, OECD엔 그게 포함된 통계가 있다.

 

OECD 정부 재정수입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OECD 평균이 34.0%, 한국이 32.0%로 2%p 차이가 난다(Revenue Statistics 2023 - Korea).

 

 

한국보다 조세부담률이 낮은 나라는 순차적으로 리투아니아(31.9%), 라트비아(30.2%), 호주(29.5%, 호주는 2021년 자료), 미국(27.7%), 스위스(27.2%), 코스타리카(25.5%), 칠레(23.9%), 아일랜드(20.9%), 튀르키예(20.8%), 콜롬비아(19.7%), 멕시코(16.9%)다.

 

한국보다 조세부담률이 높은 나라는 순차적으로 에스토니아(32.8%), 이스라엘(32.9%), 헝가리(33.2%), 캐나다(33.2%), 뉴질랜드(33.8%), 체코(33.9%), OECD 평균(34.0%), 일본(34.1%), 슬로바키아(34.8%), 아이슬란드(34.9%), 폴란드(35.2%), 영국(35.3%), 포르투갈(36.4%), 슬로베니아(37.4%), 스페인(37.5%), 네덜란드(38.0%), 룩셈베르크(38.6%), 독일(39.3%), 그리스(41.0%), 스웨덴(41.3%), 덴마크(41.9%), 벨기에(42.4%), 이탈리아(42.9%), 핀란드(43.0%), 오스트리아(43.1%), 노르웨이(44.3%), 프랑스(46.1%)다.

 

한국은 달러 기축통화국도 아니고 스위스처럼 국제기구‧비밀은행이 있지도 않고, 호주처럼 자원이 많은 나라도 아니다. 이들 흉내를 낼 수가 없다.

 

2022년 실적은 한국이 조세역사상 최대 실적을 냈던 때인데, 그런데도 일본(34.1%)도 한국보다 부담률이 더 높았다.

 

OECD통계에서 상속세가 없는 나라 중 스웨덴, 노르웨이, 캐나다, 오스트리아, 슬로바키아, 체코, 뉴질랜드, 이스라엘 다 우리보다 조세부담률 높다.

 

상속세 없는 나라 중 한국보다 조세부담률이 낮은 나라는 멕시코 정도다.

 

 

한국이 가야 할 방향은 코스타리카, 칠레. 아일랜드, 멕시코가 있는 아랫쪽인지 아니면 일본, 네덜란드, 독일, 덴마크, 노르웨이, 프랑스가 있는 위 쪽인지 정말 진지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2. 감세하면 경제성장한다

-우클라(UCLA)대 경제학 박사인 이혜훈 전 의원은 감세를 하면 경제성장이 된다고 말한다.

 

프린스턴대 경제학 박사인 이준구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감세와 경제성장 간 관계가 없다고 말한다.

 

누구 말을 믿을 지는 개인자유다.

 

감세 정책의 옹호론자이자 경제학 교과서 저자 그레고리 맨큐는 법인세 폐지론자로 부시 행정부에서 활동했으나, 부시 행정부는 최악의 재정적자란 비판을 받은 바 있다.

 

감세하면 경제가 성장한다, 감세와 경제성장엔 별 관계없다, 두 연구 가운데 논문이 많은 쪽은 어딜까.

 

이상민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둘 가운데 논문이 압도적으로 많은 건 후자라고 말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가족의 가치 되찾아야 저출생, 고령화 해결”…베트남 학자의 진단과 처방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베트남에서는 사람이 세상을 떠났을 때 관 양쪽에 바나나 나무를 넣어 장례를 치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나나 나뭇잎은 말라서 노랗게 변해도 줄기를 감싸안고 생명 유지기능을 포기하지 않죠. 낙엽이 뿌리로 돌아간다는 의미입니다.” 팜 민 투이(Pham Thi Minh Thuy) 호치민 국립정치아카데미-지역정치아카데미 교수가 지난 8월 20일 기자와 가진 화상 인터뷰에서 밝힌 말이다. 투이 교수는 베트남 공산당 고위 간부들에게 인간 및 사회윤리 과목을 강의하는 직책을 맡고 있다. 투이 교수에 따르면, 베트남은 지난 2023년 4월 인구 1억명을 넘었다. 하지만 도시를 중심으로 저출생 문제가 심각해지고 인구고령화에 직면해 있다. 정치수도 하노이와 최대 경제도시 호치민의 출생률이 급락, 유지해오던 전국 평균 합계출생률 2.0이 무너졌다. 베트남 젊은이들 대부분은 자기발전을 위해 부모 품을 떠나 도시로 나간다. 돈을 벌더라도 주택과 결혼, 취업 지원 또는 대학원 등 고등교육에 더 많은 돈을 지출한다. 자동화로 많은 직업이 사라지고 높은 실업률로 ‘괜찮은 일자리’를 둘러싸고 경쟁이 치열하다. 취업 자체가 어렵지만, 취업하더라도 일자리를 유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