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7 (토)

  • 흐림동두천 26.8℃
  • 흐림강릉 27.8℃
  • 구름많음서울 27.6℃
  • 구름많음대전 26.7℃
  • 구름많음대구 27.6℃
  • 구름조금울산 28.2℃
  • 구름많음광주 26.2℃
  • 흐림부산 27.8℃
  • 구름많음고창 27.4℃
  • 제주 27.9℃
  • 흐림강화 27.4℃
  • 흐림보은 24.9℃
  • 흐림금산 25.3℃
  • 구름많음강진군 27.6℃
  • 구름많음경주시 28.0℃
  • 구름많음거제 28.0℃
기상청 제공

[이슈체크] 尹정부 2년간 물가 4배속 증가…이명박 정부도 '그건' 막았다

금융위기 때도 고환율‧고유가‧고물가 3高 물가 압력
2008년 신선식품‧공공요금 인상 억제…공공요금 2011년 이후 인상
尹정부, 3高에 전기‧가스‧수도까지 동반압력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기획재정부가 물가 둔화 흐름이 다소 주춤하지만, 전반적으로 2~3%대 관리가 이어지는 가운데 소비가 둔화하고 있다는 취지의 리포트를 발표했다.

 

하지만 소득이 정체되고, 물가가 크게 오른 상황에서 별다른 물가지수 하락이 포착되지 않고 있고, 공공요금 상승이 높게 형성된 물가를 뒷받침하고 있어 당분간 소비 활성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15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 둔화 흐름이 다소 주춤한 가운데 제조업 생산·수출 중심 경기 회복 흐름과 고용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다”라며 경제 회복이 민간 소비·건설투자 등 일정 영역에서 또렷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는 진단을 내렸다.

 

소비는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다.

 

사람이 돈을 벌어야 돈을 쓰는데 지난해 국내 전체 가구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은 월평균 395만9000원으로 전년보다 1.8%에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가공식품이나 외식물가는 각각 6.8%, 6.0%나 올랐다.

 

돈을 더 벌려면 수출 실적이 들어와야 하지만 2022년 수준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2024년 1, 2월 수출은 1071억 달러, 2023년 1, 2월(964억 달러)보다 100억 달러 넘게 증가했지만, 2022년 1, 2월(1097억 달러) 실적에는 미치지 못한다.

 

올해 3~8월은 지난해 3~8월(3100억 달러)보다는 많이 벌겠으나, 3600억 달러 정도는 벌어놔야 2022년 수준까지 다시 돌아갔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전망은 다소 불투명한데 수입이 자꾸 고꾸라지고 있다.

 

수입은 약 65%는 내수, 25% 정도는 수출용으로 내수 및 경제 성장에 대한 밑거름인데, 올해 1, 2월 수입은 1025억 달러로 2023년 1, 2월(1144억 달러), 2022년 1, 2월(1141억 달러) 수입량에 미치지 못한다.

 

원자재로 1월 –11.6%, 2월 –19.1%를 기록했으며, 소비재도 같은 시기 각각 –5.1%, -6.6%, 자본재 –3.1%, -5.3%가 줄었다. 가공과 소비 둘 다 부정적으로 본다는 뜻이다.

 

소비를 늘리기에는 가격이 지나치게 올랐다.

 

주원인은 유가와 환율이 꼽히지만, 과거와 비교할 때 윤석열 정부 물가상승은 다른 점이 몇 개 있다.

 

통계청 소비자물가지수(기준연도 2020년)를 보면 겨우 2년 사이(2022~2023년) 9.1이나 뛰어올랐는데 이는 2012년에서 2020년 9년간 물가 오름세와 맞먹는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과거에 비해 4배속으로 물가가 올랐다는 뜻이다.

 

2022~2023년 국제 유가는 80~90달러 후반 선에서 움직였다. 하지만 국제유가는 90~100달러 후반 선으로 움직였던 2012~2015년 물가지수는 4년에 걸쳐 5.0정도 오르는 것에 그쳤다.

 

환율은 확실히 높다. 환율을 보면 2012~2015년 1100원 선에서 안정상태를 유지한 것에 반해, 2022~2023년은 1300원대에서 움직였다. 몇몇 경제평론가들은 정부가 금리 인상을 억제해 부동산을 지원했던 후폭풍이 물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2년간 9.1 지수상승을 설명하기 어렵다.

 

윤석열 정부와 비교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예로 이명박 정부가 있다.

 

 

이명박 정부는 금융위기와 고환율, 고유가가 겹쳤던 2008년 소비자물가지수가 4.2나 솟구쳤지만, 2009년에는 2.6, 2010년 2.9 정도로 누그러뜨렸다.

 

보통 환율과 유가가 동시에 오르면 외식물가와 가공식품 물가가 뛰고, 석유류를 사용하는 세제 쪽 물가가 뛴다. 이는 윤석열 정부에서도 동일하게 포착된다.

 

반면 이명박 정부가 물가상승을 틀어막았던 영역이 있었는데 그게 신선식품 쪽과 공공요금 쪽이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신선식품과 공공요금의 문을 활짝 열어버렸다.

 

과거에는 신선식품지수의 경우 생활물가지수보다 지수가 약 2점 정도 높은 상태에서 움직여왔다.

 

양 지수 간 격차는 2022년 7월 4점대로 벌어지더니 지난 2월에는 116.29 대 122.02로 무려 5.73이나 확 벌어져 버렸다.

 

상승 폭도 2022년 7월~2024년 2월까지 생활물가지수 쪽은 110.75에서 116.29로 5.54 오르는 데 그친 반면 식품물가지수 쪽은 113.13에서 122.02로 8.89로 대폭 상승했다.

 

이밖에 아파트 관리비는 2022년 1월 106.41에서 2024년 2월 121.64, 보험료는 2021년 12월 109.78에서 2024년 2월 159.97로 폭등했다.

 

공공요금의 경우 아래와 같다.

 

상하수도 2022년 12월 105.42에서 2024년 2월 111.79(6.37).

 

하수도료 2022년 12월 108.87에서 2024년 2월 114.97(6.10).

 

전기 2022년 2월 105.39에서 2024년 2월 142.21(36.82).

 

도시가스 2022년 4월 97.37에서 2024년 2월 136.18(38.81).

 

도시철도 2023년 9월 100.00에서 2024년 2월 110.88(10.88).

 

시내버스 2023년 7월 100.45에서 2024년 2월 121.66(21.21).

 

택시료 2022년 11월 100.90에서 2024년 2월 112.04(11.14).

 

고환율, 고유가, 고물가 상황에서 공공요금마저 손을 댈 경우 물가에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명약관화하다.

 

이명박 정부가 공공요금에 전혀 손을 대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어느 정도 물가지수가 안정화된 2011년에야 공공요금 인상에 나섰으며, 고물가로 불난 곳에 기름마저 끼얹지는 않았다.

 

한편, 정부는 “조속한 물가안정 기조 안착에 총력 대응하는 가운데 민생·내수 취약부문으로의 온기 확산 등을 통한 균형 잡힌 회복에 역점을 두겠다”라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의사의 꿈을 버리고 인류 최고의 지혜를 만든 사람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의료계의 극심한 반대 속에서도 정부 측의 강행으로 의대증원이 확실시 되어가며 바야흐로 의사 전성시대가 도래되었다. 현재 의대정원 3058명이 5058명으로 대폭 늘어나며 10년 후에는 5만명 이상의 의사가 늘어나게 된 것은 반드시 우리 사회에 포지티브 영향만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양지가 있으면 음지가 존재하듯이 이에도 여러 가지 부작용이 도래될 것임은 명확하다. 첫째는, 의사를 목표로 하는 광풍시대가 사회구조를 더욱 불균형으로 만들 것이다. 오로지 계급 최고의 위치에 있는 의사가 되기 위해 본인을 비롯해 부모들이 더 미친듯이 나댈 것은 지금까지의 입시 흐름을 봐서도 틀림없다. 그래서 흔히 회자되는 의대입학을 위한 반수생, N수생의 폭증이 불 보듯 뻔하며 이 수요는 이공계의 우수한 인재를 거의 고갈시켜 국가과학기술발전에 큰 후퇴를 가져올 것이다. SKY대 등의 이공계 우수인재들이 의대입학을 하기 위해 자퇴를 하고 의대입시 전문학원에 몰려드는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것은 현재 바이오, AI, 우주, 반도체 등이 글로벌 산업의 중추로 국가간 초경쟁시대에 거꾸로 가는 현상이고 이는 국가미래에 매우 불안한 느낌을 준
[인터뷰] 창립 50주년 부자(父子) 합동 남서울관세사무소 홍영선 관세사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국내 최초의 부자(父子) 합동 관세사무소인 남서울관세사무소가 지난 5월 12일 하버파크호텔에서 창립 50주년 행사를 열고 혁신과 도약의 100년을 다짐했다. 이 자리에는 특히 장시화·이용철·이영희·김용우·이상태·손종운 씨 등 남서울 창업 멤버가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현재 남서울관세사무소를 이끄는 홍영선 대표관세사는 이날 기념식에서 인사말을 통해 “남서울관세사무소의 50주년은 관세사회 역사에 커다란 획을 긋는 뜻깊은 기록이자 커다란 귀감이 되었다고 자부합니다. 전·현직 남서울 식구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믿음으로 다져온 남서울관세사무소의 50년을 보냈습니다. 앞으로 혁신과 도약의 100년을 다짐합니다”라고 전했다. 기념식에는 이승남 국가원로회의 정책위원 겸 KBS 前 국장도 참석해 “지금까지 믿음으로 50년을 지켜온 만큼 앞으로 100년도 믿음으로, 튼튼하게 성장해 나가는 기업이 될 것”이라며 덕담을 전했다. 남서울관세사무소(옛 남서울통관사)는 국내 첫 지하철(청량리역~서울역)인 1호선이 개통되고, ‘K-푸드’의 대표주자로 세계 60여 개 나라의 과자 시장을 휩쓰는 ‘초코파이’가 탄생하던 해인 1974년 5월 10일 고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