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7.9℃
  • 맑음강릉 6.5℃
기상청 제공

금융

[3Q 실적] 하나금융, 4조 클럽 도전장…은행‧비은행 고른 성장

올해 3분기 누적 연결 당기순익,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
기준금리 인상 기조에 따른 핵심이익 증대가 호실적 원동력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하나금융이 올해 3분기 은행과 비은행 계열사의 고른 성장세에 힘입어 호실적을 내놓으면서 ‘4조 클럽’ 입성을 목전에 두게 됐다.

 

25일 하나금융은 올해 3분기 1조1219억원을 포함한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78억원(6.3%) 증가한 2조8491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올해 중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이 4조원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하나금융이 이같은 호실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 원동력은 핵심이익 증가였다. 이자이익(6조4872억원)과 수수료이익(1조3691억원)을 합해 누적 핵심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882억원(14.3%) 증가한 7조8564억원이었다.

 

하나금융은 해당 기간 자산건전성 지표도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3분기 누적 대손비용률은 전분기 대비 0.01%p 줄어든 0.21%였다. 대손비용률은 금융사의 자산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대손비용을 총여신 평잔으로 나눠 구한다. 대손비용률이 낮을수록 손실흡수능력과 자산건전성이 긍정적인 상태로 판단된다.

 

연체율도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 하나금융의 3분기 말 연체율은 전분기와 동일한 수준인 0.32%였다.

 

3분기 말 기준 신탁자산 157조원을 합한 그룹의 총자산은 755조원으로 집계됐다.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하나은행은 올해 3분기 8702억원을 포함해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으로 2조2438억원을 시현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968억원(15.2%) 증가한 수치다.

 

여기에는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이익 증대가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하나은행의 3분기 누적 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은 각각 5조5006억원과 5950억원으로 핵심 이자이익만 전년 동기 대비 1조290억원(21.3%) 증가한 6조956억원이었다.

 

비은행 계열사 역시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 하나증권의 경우 지속적인 금리 인상 여파로 증시가 얼어붙은 상황에도 선제적 리스크 관리와 체계적인 시장 대응을 통해 전분기 실적이 개선되며 3분기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으로 2855억원을 기록했다.

 

하나캐피탈 역시 전분기 대비 3분기 실적이 개선됐고, 리테일 중심의 수수료 이익과 매매평가이익 등 일반 영업이익이 늘면서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으로 2530억원을 시현했다.

 

하나카드는 신용판매수익이 늘었음에도 불구, 수수료 비용이 증가하고 조달 비용이 느는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으로 1656억원을 달성하는데 그쳤다.

 

이밖에 하나자산신탁이 708억원, 하나저축은행이 209억원, 하나생명이 147억원의 3분기 누적 당기 순이익을 기록했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하나금융은 최근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 현상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취약계층과의 동반성장을 고민하고 있다. 소상공인과 취약차주의 연착륙 지원을 위한 금융 부담 완화, 청년과 고령층 등에 최적하된 금융지원, 가계대출 실수요자를 위한 맞춤 금융 지원 등을 주요 관계사들과 연계해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주주들의 기대에 부응하고 주주가치 향상을 위해 배당 증대와 자사주 매입, 소각 실시 등 주주환원정책 확대를 위한 다각적인 자본 활용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신뢰를 잃고 전략 없이 성공하는 정책은 이 세상에 없다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국민연금법’이 여야 합의로 통과됐지만, 일하는 3040 세대의 상당 수가 불만을 표시한 것이 국민들의 대표(제발 그 이름값을 하기를!)의 표결 결과에서 드러났다. 그러니 바로 지금이 가계의 노후를 준비하는 연금과 금융투자, 부동산 문제를 되돌아 볼 적기다. 한국 가계경제의 특징은 독특하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교육을 거의 완전히 사교육에 의존하도록 만들어 모든 소득계층에서 과도한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다. 사교육의 결과를 보면 그 가성비는 매우 낮다. 전 계층에서 사교육비를 쓰지 않아도, 아니 어쩌면 쓰지 말아야 더 많은 인재가 모든 분야에 골고루 나올 것이다. 그런데 사교육 결과 모든 소득계층 학생들의 문해력은 떨어지고 평생학습동기는 고갈되며 통찰적 사고능력이 떨어진다. 직업도 오로지 돈을 많이 번다는 이유로 의사로 쏠리는 기현상이 연출되고 있다. 가성비가 거의 제로에 가까운 사교육에 많은 돈을 지출한 결과, 학부모의 노후준비는 거의 포기해야 할 지경이다. 여러 이유로 10위권 밖으로 성큼 밀려난 한국의 세계경제순위와 무관하게, 오래전부터 악명 높은 노인빈곤율이 그 결과물이다. 가계 부문에서 착실히 자산을 형성해 노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