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15.1℃
기상청 제공

문화

[신간]홍대 앞은 왜 홍대를 다니지 않는 사람들로 가득할까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는 디자인경제

 (조세금융신문=구재회 기자) 홍대 앞 수많은 사람 중 정작 홍대를 다니는 사람은 과연 몇이나 될까? 홍대에서 친구와 약속을 정하고 만나고 있지만 그 장소가 남의 학교 앞이라는 인식은 하지 않는다.

 

이렇듯 홍대 앞 상권은 홍대를 찾는 젊은이들을 향해 최적의 마케팅을 하고 있으며 그들의 지갑을 여는 데 성공했다.

 

디자인과 경제학을 전공한 저자 장기민은 ‘디자인’이라는 경로로 ‘비즈니스’를 이루어 가는 과정에 익숙해 있다. 또한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라”는 홍익인간의 이념에 ‘디자인’을 더하여 “디자인으로 세상을 이롭게 하라”는 ‘홍익디자인간’의 개념을 만들어 제시하고 있다.

 

디자인 매니지먼트, 디자인, 씽킹, 서비스 디자인 등 이제는 디자인이 경영활동의 일부로 그 인식이 확대되고 있으며, 실제로 디자인 경영을 통해 성공한 기업들이 미디어에 왕왕 소개되고 있다.

 

이 책에서는 경제활동 속에 숨어있는 디자인 의식을 흔들어 깨울 것을 권고한다. 극심한 경영난을 K7, K5으로 극복해 디자인 경제활동을 이어간 기아자동차, 커피 맛은 잊은 채 밥 먹듯 출입하고 있는 스타벅스, 눈앞에 있는 맥도날드 대신 멀리 있는 서브웨이에서 식사를 하는 사람의 심리 등 다양한 우리네 일상을 디자인과 경제의 시각으로 풀어낸다.

 

저자는 그동안 전문 영역으로 여기며 협소하게 분류되던 '디자인'이 우리 생활 전반을 지배하고 있다고 말하며, 세상을 이롭게 하는 필수요소로써 ‘디자인’을 꼽는다. 특히 코로나19로 변화된 언택트 사회에서 우리를 둘러싼 디자인플랫폼과 그에 기초한 경제구조, 기업의 마케팅관점 등을 새롭게 인식하며 다가간다.

 

이 책은 그동안 무심코 지나쳤던 일상의 변화를 포착해내고 호기심과 궁금증을 해결해가는 과정 속에 남다른 시각을 얻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저자 장기민은 디자인경제연구소와 도시디자인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한양대에서 산업디자인을 공부한 뒤 국민대에서 공간디자인과 경제학을 공부했다. 본지를 비롯해 매일경제신문, 중부일보 등에서 디자인경제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장기민/리드리드출판/240p/14,800원>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신뢰를 잃고 전략 없이 성공하는 정책은 이 세상에 없다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국민연금법’이 여야 합의로 통과됐지만, 일하는 3040 세대의 상당 수가 불만을 표시한 것이 국민들의 대표(제발 그 이름값을 하기를!)의 표결 결과에서 드러났다. 그러니 바로 지금이 가계의 노후를 준비하는 연금과 금융투자, 부동산 문제를 되돌아 볼 적기다. 한국 가계경제의 특징은 독특하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교육을 거의 완전히 사교육에 의존하도록 만들어 모든 소득계층에서 과도한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다. 사교육의 결과를 보면 그 가성비는 매우 낮다. 전 계층에서 사교육비를 쓰지 않아도, 아니 어쩌면 쓰지 말아야 더 많은 인재가 모든 분야에 골고루 나올 것이다. 그런데 사교육 결과 모든 소득계층 학생들의 문해력은 떨어지고 평생학습동기는 고갈되며 통찰적 사고능력이 떨어진다. 직업도 오로지 돈을 많이 번다는 이유로 의사로 쏠리는 기현상이 연출되고 있다. 가성비가 거의 제로에 가까운 사교육에 많은 돈을 지출한 결과, 학부모의 노후준비는 거의 포기해야 할 지경이다. 여러 이유로 10위권 밖으로 성큼 밀려난 한국의 세계경제순위와 무관하게, 오래전부터 악명 높은 노인빈곤율이 그 결과물이다. 가계 부문에서 착실히 자산을 형성해 노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