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11.1℃
기상청 제공

문화

[신간] 산 따라, 강 따라, 역사 따라 걷는…수도권 도보여행 50선

대중교통으로 갈 수 있는 덜 알려진 곳, 이야기가 있는 곳으로 궈궈

저자 윤광원, 출판 바른북스
▲ 저자 윤광원, 출판 바른북스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대중교통으로 쉽게, 덜 알려진 곳을 찾아 천천히 걷다 보면 비로소 보이는 명소들이 있다. 옛이야기가 있는 길을 따라 걷다보면 지그시 입가에 미소가 스며드는 곳. 

 

그동안 우리가 모르는 서울, 수도권을 그냥 스쳐 지나쳤다면,  차근차근 곱씹어 보는 마음으로 옛 이야기를 따라 걸어서 여행할 이유가 생겼다. 

 

새 책 <산 따라 강따라 역사 따라 걷는 수도권 도보여행 50선>은 산책하듯 가볍지만 무심코 지나쳐서는 안되는 인생의 묘미를 맛볼 수 있는 책이다. 

 

책은 효창공원길의 김구와 안중근, 윤봉길 등의 선현들이 조우했던 수목과 길이 같은 길을 걷는 후손들에게 자연스레 말을 건네는 느낌이다.   

 

저자 윤광원씨는 현직 기자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지난 30여년 동안 금융업과 정부정책 관련 기사를 많이 썼다. 그러면서도 많은 책을 읽으며 인문학적 소양을 쌓았고 걷기와 등산도 열심히 했다. 특히 10년 넘게 트래킹 모임을 이끌면서 사람들과 무수히 걸었다고 한다. 

 

이 책이 그런 걷기의 결과물이다. 전작 <배싸메무초 걷기 100선>의 후속편 격이다. 이밖에 경제논술서인 <깐깐 경제 맛깔 논술>과 해방 이후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역사를 야사를 중심으로 정리한 <대한민국 머니 임팩트>가 그의 저서다. 

 

이 책이 소개하는 숨겨진 명소는 세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는 수도권에서 대중교통으로 쉽게 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고,

둘째는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곳이 아니어야 하며,

셋째는 '이야기'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야기다.

이야기가 있으면, 길은 단순한 걷기용 코스를 넘어선다.

사람들은 걸으면서, 그 길에 아로새겨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보고 들으면서, 그 사람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된다.

역사가 문화가 옛 인물들이 그리고 자연이 우리에게 말을 건넨다.

 

저자는 젊은이들이 많이 오가는 대학로를 '마로니에공원길'로 불려야 한다고 한다. 대학로라는 표현이 일본제국주의의 잔라는 것.  효창공원길은 명실상부한 '애국지사 성역'으로 자리매김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뜻을 알고 그 길을 걷다보면 앞서 느끼지 못했던 공동체 사랑도 조우할 수 있다는 저자의 귀띔.  

 

옛 이야기가 있는 수도권 명소들을 걷다보면 후배, 자녀들에게도 권하고 싶어진다. 

 

혼자도 좋고, 함께라도 나쁠 건 없다.

 

길을 걸으면서 옛 이야기 속 명사들과 함께 이야기를 음미해보자. 몰랐던 에피소드 하나가 언행, 습관, 운명을 통째로 바꿔줄 지 누가 알겠는가.

 

건강은 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관련태그

여행  도보  수도권  도보여행  역사  대중교통  산책  트래킹  이야기  인문  문화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신뢰를 잃고 전략 없이 성공하는 정책은 이 세상에 없다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국민연금법’이 여야 합의로 통과됐지만, 일하는 3040 세대의 상당 수가 불만을 표시한 것이 국민들의 대표(제발 그 이름값을 하기를!)의 표결 결과에서 드러났다. 그러니 바로 지금이 가계의 노후를 준비하는 연금과 금융투자, 부동산 문제를 되돌아 볼 적기다. 한국 가계경제의 특징은 독특하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교육을 거의 완전히 사교육에 의존하도록 만들어 모든 소득계층에서 과도한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다. 사교육의 결과를 보면 그 가성비는 매우 낮다. 전 계층에서 사교육비를 쓰지 않아도, 아니 어쩌면 쓰지 말아야 더 많은 인재가 모든 분야에 골고루 나올 것이다. 그런데 사교육 결과 모든 소득계층 학생들의 문해력은 떨어지고 평생학습동기는 고갈되며 통찰적 사고능력이 떨어진다. 직업도 오로지 돈을 많이 번다는 이유로 의사로 쏠리는 기현상이 연출되고 있다. 가성비가 거의 제로에 가까운 사교육에 많은 돈을 지출한 결과, 학부모의 노후준비는 거의 포기해야 할 지경이다. 여러 이유로 10위권 밖으로 성큼 밀려난 한국의 세계경제순위와 무관하게, 오래전부터 악명 높은 노인빈곤율이 그 결과물이다. 가계 부문에서 착실히 자산을 형성해 노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