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4 (토)

  • 구름많음동두천 23.0℃
  • 구름많음강릉 23.6℃
  • 구름많음서울 25.2℃
  • 구름많음대전 25.7℃
  • 흐림대구 25.6℃
  • 박무울산 24.9℃
  • 맑음광주 25.0℃
  • 맑음부산 27.3℃
  • 맑음고창 23.5℃
  • 맑음제주 26.4℃
  • 구름조금강화 23.5℃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조금금산 23.0℃
  • 맑음강진군 24.5℃
  • 맑음경주시 24.6℃
  • 맑음거제 25.0℃
기상청 제공

[이슈체크] 6월 1~20일 수출 5.3% 증가에도 못 웃는 이유…반도체 더 꺾였다

아직 먹구름 낀 반도체, 삼성 4월 감산 선언 효과 ‘언제’
미국 반도체 수출 부러져도 무역흑자…대중 흑자전환 거의 불가능 단계
베트남 경제 어렵지만…한-베 수출 하락폭은 더 커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6월 1~20일 수출실적이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5.3% 증가한 329억 달러로 잠정집계됐다고 관세청이 21일 밝혔다.

 

2021년 6월 1~20일 실적은 324억 달러, 2022년 같은 시기 실적은 313억 달러였다는 점을 볼 때 전체규모로 보면 2021년에서 제자리 걸음을 한 셈이다.

 

일평균 수출을 봐도 수출은 정체구간에서 완전히 빠져나오지 못했다.

 

2021년 6월 1~20일 일평균 수출액은 20.9억 달러, 2022년 23.2억 달러, 그리고 올해 22.7억 달러를 기록했다.

 

 

◇ 반도체 빈틈 비집고 중국‧베트남 수출 하락

 

주목해서 봐야 할 지점은 수출품목과 주요 수출국가 현황이다.

 

6월 1~20일을 기준으로 각 주요 수출품목의 변동을 살펴보면 국제 원유가와 연관돼 있는 석유제품은 2021년 58.6%에서 2022년 88.3%로 러-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유값이 급등한 데 따른 반사이익을 흡수하면서 성장하다가 국제 원유가가 진정되는 올해는 -36.0%로 유가변동으로 인한 이익이 조정단계에 들어갔다.

 

 

국제물류, 유가와 연관돼 있는 선박은 2021년 -27.7%, 2022년 -17.9%로 줄곧 하락하다가 올해 148.7%로 크게 급증했다. 월별로 실적이 플러스, 마이너스로 출렁이긴 하지만, 올해 선박실적은 나쁘다고 할 수 없다.

 

물류와 중간재소비에 관련된 승용차는 2021년 62.2%에서 2022년 -23.5% 하락했지만, 2023년 110.1%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자동차 실적은 아직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최대 수출주력품목인 반도체는 여전히 상황이 좋지 못하다.

 

반도체는 2021년 28.5%, 2022년 1.9%, 2023년 -23.5%로 한국의 수출 마이너스가 본격화되는 2022년 6월을 기점으로 꾸준히 하락했다.

 

반도체 호황이 2021년 막을 내리고, 중국이 코로나 봉쇄로 문을 닫고 주요 반도체 기업의 재고량이 늘어나는 등 올해 전 세계 반도체 업황은 좋지는 않다.

 

챗GPT로 메모리반도체 실적 반등 기대와 삼성전자 4월 감산 선언이 있었고, 이에 여론에서 2분기 내 반도체 수출 반등을 기대했지만, 아직은 아니다. 중국과 베트남도 좋지 않지만, 감소 폭으로만 보면 미국이 압도적이다.

 

6월 1~20일을 기점으로 주요 수출국별로 동향을 살펴보면 미국은 2021년 41.3%, 2022년 -2.1%, 2023년 18.4%로 계단형으로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연간 무역수지는 2021년 이후 200억 달러 이상 흑자를 보고 있다. 자동차 수출은 좋은 데 반도체 수출 악화가 심각하다. 미국의 반도체 수출 감소율은 지난 4월 -81.0%, 5월 -73.0%에 달한다.

 

일본 6월 1~20일 수출의 경우 2021년 33.0%, 2022년 1.9%, 2023년 2.9%로 큰 재미를 보지 못하는 지역이다. 한일 교역규모는 한미 교역의 5분의 2 정도이지만, 연간 무역적자 규모는 240억 달러에 달해 미국에서 번 돈을 일본에서 까먹는 형태다.

 

국내 최대 교역국인 중국 수출은 여전히 심각하다. 6월 1~20일 기준으로 2021년 7.9%, 2022년 -6.8%, 2023년 -12.5%로 점점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연간 교역액은 3000억 달러로 미국보다도 1000억 달러나 더 많고, 2019~2021년에는 200억 달러 중후반대로 떨어지긴 했지만, 코로나 발발 이전에는 곧잘 400억~600억 달러 무역흑자를 벌어다 주는 최대 흑자국이었다.

 

하지만 지난해는 2000년 이래 무역적자 규모가 최저인 12억 달러 흑자에 그쳤고, 올해 5월 누적 대중무역 적자는 118억 달러에 달한다. 이는 전체 무역적자의 40%에 달한다.

 

정부는 3월 이후 대중국 월별 수출액이 100억 달러를 넘었다며, 다소 안도하는 표정을 짓고 있긴 하지만, 안심할 수 있는 구간은 결코 아니다.

 

애초에 대중국 연간 수출액은 1500억 달러로 매월 125억 달러 정도는 수출을 해줘야 기본을 간다.

 

중국만큼 심각한 곳이 베트남인데 6월 1~20일 기준 베트남 수출은 2021년 34.8%, 2022년 -4.7%, 2023년 -2.8%로 수출동력이 약화되고 있다.

 

베트남은 미국 이상의 흑자국이며, 늘 수출이 수입의 2.2~2.4배를 오가는 나라다. 연간 무역흑자만도 2021년 328억 달러, 2022년 342억 달러에 달한다.

 

베트남 월별 수출은 지난 1월 -28.5%, 2월 -22.8%, 3월 -24.6%, 4월 -29.6%, 5월 -13.6%에 달한다. 베트남의 전 세계 수출동력 자체가 10~20% 꺾인 게 문제이긴 하지만, 그 이상 한국 수출이 꺾이고 있다는 것은 가볍게 볼 문제가 아니다. 베트남이 한국 수출의 빈자리로 중국을 선택하면, 한국 수출이 돌아갈 길이 점점 줄어든다.

 

◇ 300억 달러 적자까지 10억 달러

 

한편, 수입은 6월 1~20일까지 345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11.2%(43.5억 달러) 줄었다.

 

이 시기 수출에서 수입을 뺀 무역수지는 16억 달러 적자였다.

 

올해 6월 20일까지 누적 수출은 2860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11.8% 줄었고, 누적 수입은 3150억 달러로 7.4% 감소했다.

 

누적 무역수지는 290억 달러 적자였다. 5월말 기준 무역적자(273억 달러)보다 약 16~17억 달러 정도 늘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신정권 티메프 검은우산 비대위원장, 피해자 위한 '특별법 제정' 절실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지난 7월 23일 터진 티몬·위메프(티메프) 사태 피해액이 1조 3천억까지 늘어났다고 정부는 추산하고 있지만, 티메프의 회생절차 개시를 위해 티메프 피해자들이 신고한 피해 집계액은 1조 7천억원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 인터파크커머스, 큐텐의 미정산 금액, 소비자 미환불금액, PG관련 금액, 카드사 및 금융사 관련 금액을 합하면 2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정부는 아직까지 그 피해금액과 규모가 얼마인지조차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하고 있고, 무엇보다 각기 다른 정책과 지원처가 달라 피해자들은 피부에 닿지 않은 정책으로 여전히 답보상태에 머물러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정권 검은우산 비상대책위원장은 ‘특별법 제정’으로 정부의 일관성 있는 지원과 각 부처별 흩어져있는 지원책을 한 데 모으고 중앙집중식 컨트롤타워가 절실하다는 입장을 밝혔고, 피해업체들 역시 이번사태에 대해 일률적인 규제, 제재 정책을 바라는 것이 아닌 사업의 속성과 특성에 맞는 국가의 보증보험 시스템처럼 ‘안전장치’를 마련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에 신정권 검은우산 비상대책위원장을 만나 티메프 피해자들의 현 상황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짚어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