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7 (토)

  • 흐림동두천 26.4℃
  • 흐림강릉 28.1℃
  • 흐림서울 27.5℃
  • 흐림대전 26.2℃
  • 구름많음대구 26.4℃
  • 흐림울산 27.5℃
  • 흐림광주 25.9℃
  • 흐림부산 27.2℃
  • 흐림고창 27.3℃
  • 제주 28.0℃
  • 흐림강화 26.9℃
  • 흐림보은 24.6℃
  • 흐림금산 25.0℃
  • 흐림강진군 26.4℃
  • 구름많음경주시 27.2℃
  • 구름많음거제 27.8℃
기상청 제공

문화

(조세금융신문=김지연 음악전문기자 · 이레피아노학원 원장) 연일 폭염의 연속입니다.

 

우리나라도 아열대 기후의 영향을 받으면서 언제부터인가 갑작스런 폭우와 천둥번개를 동반한 비가 쏟아질 때가 많더군요.

 

18세기 유럽. 폭우가 쏟아지며 번개가 치던 어느 날이었습니다.

‘벤자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은 연의 꼬리 끝에 금속을 매달고 폭풍을 쫓았지요. 그리고 번개에서 전기의 존재를 밝혀내었고 ‘피뢰침’의 발명으로 이어지는 값진 성과를 얻어내었습니다.

 

그런데 ‘미국 건국의 아버지’로 칭송받는 유능한 정치가이기도 했던 벤자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이 ‘글라스 하모니카(glass harmonica)’라는 악기를 발명했었다는 사실은 다소 생소할 것입니다.

 

글라스 하모니카

그 소리의 아름다움이 무색하게도 일반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클래식 악기를 하나 소개합니다. 바로 글라스 하모니카인데요. 일단 외양적으로는 풍금과 흡사한 모습입니다.

 

 

소리가 나는 원리를 보자면, 물이 들어 있는 통에 크기가 다른 둥근 유리그릇을 가로로 가지런히 배열하여 놓고 페달을 밟습니다. 페달링에 의하여 그릇이 돌아가면 연주자는 손가락으로 각기 다른 음높이의 그릇 가장자리를 문지르고, 그 마찰에 의해 환상적인 음악이 흘러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글라스 하프’라는 악기가 기존에 있긴 했었는데 거기에서 좀 더 발전시킨 형태로 보여집니다. 글라스 하모니카는 여러 유리잔에 물을 따라 넣고 타악기처럼 두드리는 글라스 하프와 달리 일단 악기형태의 고정틀을 갖추었고, 피아노를 치듯 여러 손가락으로 한꺼번에 터치하면 화음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18세기 유럽에서 무척이나 사랑 받았다고 합니다.

 

특히 베토벤은 이 악기를 매우 좋아하여 즐겨 연주하곤 했는데, 초기에는 납을 사용하여 그릇을 만들었던 만큼 ‘베토벤의 죽음이 이 악기의 납중독으로 인한 것이 아니냐’라는 설까지 있었다고 합니다.

 

한 때는 대중의 많은 사랑을 받았던 악기였는데, 그 소리가 어찌나 매혹적이었던지 감상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쉽게 악기소리에 도취하게 되어 우울이나 신경과민 등 신경증을 유발한 다는 보고로 연주금지령까지 내려진 적이 있을 정도였다고 하지요.

 

특히 모차르트는 그가 세상을 떠나던 해에 마지막 실내악곡으로 ‘글라스 하모니카를 위한 아다지오와 론도 c단조(Adagio and Rondo for Glass Harmonoca, Flute, Oboe, Viola and Cello, K.617)’를 남겼답니다.

 

귀에 익숙한 소품으로는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에서 나오는 ‘사탕요정의 춤(Dance of the Sugar Plum Fairy)’과 생상스가 작곡한 ‘동물의 사육제’ 중 제 7번인 ‘수족관(Aquarium)’이 알려져 있습니다.

 

자연의 소리 ‘클래식’

클래식 악기의 매력이라고 한다면, 자연을 악기에 담아내는데 있습니다.

최고의 명기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은 ‘소 빙하기’라고 불리울 만큼의 혹독한 추위를 겪어낸 나무로 만들었답니다. 인고(忍苦)를 겪고 살아남은 나무의 재질이니 인생의 희노애락이 소름 돋을 정도로 절절히 묘사되어 울리는 것이 결코 무리는 아닐 듯합니다.

 

오보에나 플룻 또한 나무와 금속의 원통에 입김을 통과시킴으로써 호흡이 음악으로 전환됩니다. 관악기가 나오기 전까지는 사람의 폐를 통해서 나오는 ‘숨’이라는 것이 그렇게도 아름다운 소리를 만들어 낼 줄은 상상도 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같은 원통의 관이라도 대금, 양금, 단소 등 우리나라의 전통악기의 소리는 ‘아프리카흑단’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서양과 달리 대나무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용하고 절제되면서 어딘가 구슬픔을 머금고 있습니다. 우리 민족의 ‘한’이라는 것을 표현하며 눈물과 한숨을 풀어내기에는 대나무 이상 가는 것이 없겠죠.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

클래식 음악을 감상하면 왠지 마음이 평안해지고 조용히 정돈되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것은 바로 우리 신체와 주파수가 어울리는 자연의 소리이기 때문입니다.

 

자연에서 도구를 만들고, 그것으로 두드리거나 마찰을 통하여 ‘음악’이란 것을 탄생시킨 것이지요. ‘박자’, ‘리듬’, ‘멜로디’가 없다면 소음이 될 수밖에 없는 ‘소리’라는 것을 ‘악기’라는 도구를 거쳐 음악을 만들어내니 어찌 생각해보면 인류문화에서 이보다 놀라운 창조도 없을 듯합니다.

 

자연의 일부인 우리의 몸이 그것에 친숙하게 반응하며 긴장을 푸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겠지요. 클래식 음악의 여러 유익한 효능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제는 단순한 ‘릴렉스’의 영역을 뛰어넘어 ‘힐링’의 단계에까지 접어들고 있습니다.

 

‘괴테’에 의해 “세계의 깊은 생명을 들을 수 있는 듯하다!”라는 칭송을 받았던 글라스 하모니카와 함께 소리의 깊은 심연으로 들어가 ‘힐링’ 한 번 해보시면 어떨까요?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의사의 꿈을 버리고 인류 최고의 지혜를 만든 사람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의료계의 극심한 반대 속에서도 정부 측의 강행으로 의대증원이 확실시 되어가며 바야흐로 의사 전성시대가 도래되었다. 현재 의대정원 3058명이 5058명으로 대폭 늘어나며 10년 후에는 5만명 이상의 의사가 늘어나게 된 것은 반드시 우리 사회에 포지티브 영향만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양지가 있으면 음지가 존재하듯이 이에도 여러 가지 부작용이 도래될 것임은 명확하다. 첫째는, 의사를 목표로 하는 광풍시대가 사회구조를 더욱 불균형으로 만들 것이다. 오로지 계급 최고의 위치에 있는 의사가 되기 위해 본인을 비롯해 부모들이 더 미친듯이 나댈 것은 지금까지의 입시 흐름을 봐서도 틀림없다. 그래서 흔히 회자되는 의대입학을 위한 반수생, N수생의 폭증이 불 보듯 뻔하며 이 수요는 이공계의 우수한 인재를 거의 고갈시켜 국가과학기술발전에 큰 후퇴를 가져올 것이다. SKY대 등의 이공계 우수인재들이 의대입학을 하기 위해 자퇴를 하고 의대입시 전문학원에 몰려드는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것은 현재 바이오, AI, 우주, 반도체 등이 글로벌 산업의 중추로 국가간 초경쟁시대에 거꾸로 가는 현상이고 이는 국가미래에 매우 불안한 느낌을 준
[인터뷰] 창립 50주년 부자(父子) 합동 남서울관세사무소 홍영선 관세사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국내 최초의 부자(父子) 합동 관세사무소인 남서울관세사무소가 지난 5월 12일 하버파크호텔에서 창립 50주년 행사를 열고 혁신과 도약의 100년을 다짐했다. 이 자리에는 특히 장시화·이용철·이영희·김용우·이상태·손종운 씨 등 남서울 창업 멤버가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현재 남서울관세사무소를 이끄는 홍영선 대표관세사는 이날 기념식에서 인사말을 통해 “남서울관세사무소의 50주년은 관세사회 역사에 커다란 획을 긋는 뜻깊은 기록이자 커다란 귀감이 되었다고 자부합니다. 전·현직 남서울 식구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믿음으로 다져온 남서울관세사무소의 50년을 보냈습니다. 앞으로 혁신과 도약의 100년을 다짐합니다”라고 전했다. 기념식에는 이승남 국가원로회의 정책위원 겸 KBS 前 국장도 참석해 “지금까지 믿음으로 50년을 지켜온 만큼 앞으로 100년도 믿음으로, 튼튼하게 성장해 나가는 기업이 될 것”이라며 덕담을 전했다. 남서울관세사무소(옛 남서울통관사)는 국내 첫 지하철(청량리역~서울역)인 1호선이 개통되고, ‘K-푸드’의 대표주자로 세계 60여 개 나라의 과자 시장을 휩쓰는 ‘초코파이’가 탄생하던 해인 1974년 5월 10일 고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