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문화

[클래식&차한잔] 토카타와 푸가-요한 세바스찬 바흐

Toccata and Fugue in D minor BWV 565

 

 

 

(조세금융신문=김지연 음악전문기자) ‘토카타와 푸가’는 푸가의 대가로 인정받던 바흐가 24살의 젊은 시절 작곡(1703-1707)한 오르간 곡입니다.

 

누구나 첫 소절을 들으면 잊을 수 없는 “띠리리, 띠리리리리-짠!”

 

젊은 바흐의 힘이 넘치는 분산화음의 열정이 특징인 곡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내면적이며 차분해지던 바흐의 후기음악과는 사뭇 대조적이죠.

 

바흐는 궁정악단에 속해있으면서 종교음악을 주로 작곡했지만, 당시 가장 핫한 악기였던 최정상 오르가니스트로서 그는 일반적인 오르간곡도 자주 작곡하고 연주했습니다.

 

특히 이 곡은 오르간의 성능을 최대치로 올린 화려한 매력을 뿜어내는 곡입니다. 피아노가 악기로써 발전이 아직 이루어지기 이전의 시절, 한때 ‘악기의 여왕’ 자리를 지키고 있던 건반악기인 오르간의 화려함과 강렬함을 최대치로 끌어올린 곡이라 할 수 있죠.

 

토카타와 푸가란?

 

‘토카타’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토카타는 화려한 기악곡의 일종으로 프렐류드나 환상곡처럼 화려한 기교를 뽐내며 자유로운 형식을 갖춘 건반악기를 위한 곡입니다.

 

또한 ‘푸가’는 17세기에 독일에서 발전된 형식이며, 일반적으로 ‘토카타’가 오면 ‘푸가’가 뒤따라 오게 되어있는데, 토카타를 따라오면서 모방이나 대위, 카논의 형식 등 다양하게 변형하여 선율을 구성합니다.

 

하지만 바흐의 오르간곡 중에서 가장 유명한 곡인 이 곡은 토카타와 푸가를 나눌 필요가 없을 정도로 서로 연관성이 깊습니다. 곡 전체에 걸쳐 나뉘지 않고 토카타와 푸가가 엮어있는 구성입니다.

 

토카타의 처음 도입 부분에서 나타나는, 양손이 같은 계이름으로 강렬하게 하행하는 진행은 듣는 이로 하여금 폭풍의 전조와 같은 긴장을 고조시킵니다.

 

드라마나 영화 등 각종 매체에서 순식간에 텐션을 끌어올리는 장면이 나오면, 이 도입부분을 효과음악으로 주로 삽입하여 사용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후 셋잇단음표의 빠른 질주가 지나고 푸가로 진입, 토카타의 선율을 소재로 하여 받아 전개되다가 화려한 카덴차(cadenza, ‘마침’을 뜻함)로 마무리 짓습니다.

 

이 곡에 대하여 알베르트 슈바이처는 “이 곡에서 밝고 환하게 타오르는 듯 영혼이 궁극적으로 이상적인 음악 형식을 달성시켰다. (중략) 바흐의 소리는 사라진 것이 아니라 언어로는 표현할 수 없는 신의 경지에 다다른 것이다”라고 표현하였습니다.

 

<토카타와 푸가>는 폴란드의 ‘가를 타우지히(Carl Tausig)’가 피아노로, 영국의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Leopold Stokowski)’가 관현악 버전으로 편곡하여 연주한 것이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알베르트 슈바이처(Albert Schweitzer) 박사가 연주한 오르간 녹음도 있답니다. 가슴을 꿰뚫는 감동. 진한 커피와 같은 오르간의 깊은 세계로 들어오세요.

 

‘토카타와 푸가’ 듣기

 

[프로필] 김지연

•(현)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외래교수

•(현)이레피아노원장

•(현)레위음악학원장

•(현)음악심리상담사

•(현)한국생활음악협회수석교육이사

•(현)아이러브뮤직고양시지사장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