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7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

[클래식&차한잔] 리스트-‘위안’ 3번

Franz Liszt-‘Consolation’ S.172-No.3

 

(조세금융신문=김지연 객원기자) 대한민국은 2025년 1분기의 연이은 악재로 정신없는 상반기를 보냈습니다.

 

대통령의 계엄선포와 탄핵 사이에서 환율의 불안,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폭탄, 거기에 역대 최악의 산불 재해와 신안산 터널 붕괴사건 등 장기화되는 경기침체로 인해 그렇지 않아도 기본불안이 깔려있던 터였는데 예상치 못했던 가지각색의 재난 앞에서 서민들의 삶은 불안하기 짝이 없었습니다.

 

리스트의 ‘위로(Consolation)’

 

인생에서 어려운 일이 닥칠 때 떠올라 주는 음악이 있다면 그나마 삶이 좀 덜 힘들겠지요. 낭만주의의 문을 열었던 리스트가 주는 위로의 음악을 맛보려 합니다.

 

리스트는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입니다. 원래 그는 혼을 쏙 빼놓을 만큼 화려한 곡들을 작곡하고 연주하며 기량 뽐내기를 좋아했습니다. 기절할 정도로 어렵고 속주의 연속인 그의 ‘초절기교’와 같은 곡들이 대표적이죠. 그런데 6개의 피아노 솔로 모음곡인 ‘위안’ 중 3번 D♭장조(Lento Placido)는 그런 리스트의 여러 화려한 곡들 중에서 몇 안 되는 느린 곡입니다.

 

‘위로’라는 제목에 걸맞게 이 피아노곡에는 사연이 있습니다

 

잘생긴 외모에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피아노 연주실력을 자랑하던 리스트는 지금의 아이돌에 비견할 수 있을 정도로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았습니다. 특히 그의 오똑한 콧날을 옆모습으로 바라보면 누구든 그의 매력에 젖어들 수밖에 없었다고 하지지요. 리스트는 자신의 그러한 매력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고 그것을 더욱 어필하고자 하였습니다.

 

관중을 등지고 연주하던 기존 무대에서의 피아노 위치를 옆으로 돌려서 본인의 아름다운 옆모습을 관중이 볼 수 있도록 바꾼 것이지요. (그 전통이 지금까지 내려오게 되어서 지금도 피아노 연주는 피아니스트의 옆모습을 볼 수 있도록 배치를 합니다.)

 

낭만파의 창시자이자 거장답게 매력적인 화성과 멜로디를 담고 있는 이 곡을 작곡할 당시 그는 나름대로 감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뭇 여성들의 관심과 사랑을 한 몸에 받던 리스트는 지적인 매력을 품은 후작부인 카롤리네와 위험한 사랑에 빠집니다. 그 둘은 동거를 하며 결혼을 준비하지만 카롤리네는 남편과의 이혼소송에 실패하고 설상가상으로 피부병까지 걸려 힘들어합니다.

 

그런 그녀를 위로하기 위해 리스트가 작곡한 곡이 바로 이 ‘위로’입니다. (한편, 이 곡은 시기적으로 볼 때 친구였던 쇼팽의 사망한 후 발표했기 때문에 쇼팽을 향한 추모곡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두 가지 버전을 가지고 있는 ‘Consolation’

 

‘위로(Consolation)’의 첫 번째 버전인 S.171은 1844~1849년에 작곡하여 1922년에 출판되었고, 두 번째 버전인 S.172는 1849~1850년에 작곡하여 1850년에 출판되었습니다. 그 중에서 이번에 소개해 드리는 곡인 Lento Placido가 가장 유명하며 S.172의 3번으로 수록이 되어있습니다.

 

‘고독 속의 신의 축복’이라는 부제를 가지고 있는 곡입니다.

어려움 겪었던 많은 분들에게 부디 신의 축복을 빌며 리스트가 주는 위로의 음악 띄웁니다.

 

리스트의 위안 3번 듣기

 

 

[프로필] 김지연

•(현)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외래교수

•(현)이레피아노원장

•(현)레위음악학원장

•(현)음악심리상담사

•(현)한국생활음악협회수석교육이사

•(현)아이러브뮤직고양시지사장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통화 주권 넘보는 스테이블코인, 한국은 준비됐는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한국 정치가 마침내 디지털 자산에 손을 댔다. 그것도 단순한 규제 강화를 넘어서 산업 진흥과 생태계 육성까지 겨냥한 ‘판 뒤집기’ 수준의 입법이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제도화 시도다. 법안은 ▲디지털자산의 법적 정의 정립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금융위원회를 통한 인가·등록·신고제 도입 ▲스테이블코인 사전 인가제 ▲불공정거래 금지 및 이용자 보호 ▲자율규제기구 설립 등을 담았다. 단순한 제도 마련을 넘어, ‘한국형 디지털금융 패러다임’의 설계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주목할 대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이다. 현행법상 민간의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은 법적 공백에 놓여 있었지만, 이 법안이 통과되면 자기자본 5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법인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준비금 적립, 도산 절연, 환불 보장 등 안전장치를 전제로 하긴 했지만, 통화 주권을 관리하는 한국은행에는 꽤나 위협적인 메시지다. 민 의원은 이 법을 “규제가 아니라 가드레일”이라고 표현했다. 규제를 통해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탐방]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 AEO 공인부터 사후관리까지 ‘토탈케어’ 실현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오전 9시, 여느 사무실이라면 나른한 공기만이 가득할 시간이지만, 서울본부세관 심사1국 AEO(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심사팀 사무실엔 벌써부터분주함이 가득 들어차 있다. 이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회의실에서는 갱신심사 대상업체에 대한 점검계획을 두고 실무진들의 회의가 분주히 진행되고 있었다. 각자의 노트북 화면에는 통관자료, 자율점검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분석 보고서가 정리돼 있었고, 침착하면서도 치밀한 분위기 속에서 기업의 수출입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에서는 관할 수입AEO 기업의 갱신 신청이 있을 경우, 통관적법성 분야에 대한 정기 심사를 수행한다. 또한 기업상담전문관(Account Manager, 이하 AM)을 통해 위험 정보를 상시 제공하고, 기업의 자율적 법규준수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AEO 공인 이후 공인 유지와 법규 위반 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컨설팅까지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그들의 철칙, AEO심사팀을 민관 협력 기반의 관세행정을 실현하는 ‘토탈케어 조직’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정기 심사일지 하나에도 기업 맞춤형 리스크 분석과 전략을 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