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5 (수)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문화

[클래식&차한잔] 아이네 클라이네 나하트 무지크

W.A Mozart Serenade No.13 in G Major K.525

 

(조세금융신문=김지연 음악전문기자) 작은 밤의 음악(A little night music)-세레나데(Sérénade)

 

어둠이 깔리고 모든 것이 고요해지는 시간, 밤이 되면 분주한 일상도 잠시 쉬어가고,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이 안식을 위해 자리를 찾아 들어갑니다.

 

이런 밤, 클래식 음악 한 곡이 울린다면 하루의 피곤이 싹 사라지겠지요.

밤에 울리는 음악, 세레나데를 소개합니다.

 

세레나데(Sérénade)라는 말의 뜻은 프랑스어로서 ‘저녁의 음악’이라는 뜻입니다. 한편, 밤에 연주되기 때문에 소야곡(小夜曲)이라고도 불립니다.

 

‘세레나데’라 하면 연인의 창가에서 부르는 사랑의 노래를 많이 상상하시겠지만 18세기의 세레나데는 그것과 성격이 좀 다릅니다.

 

음악을 사랑하는 귀족들이 음악인들의 창조활동을 후원하고, 그들을 불러서 살롱이나 정원 등의 공간에서 작은 음악회를 열었던 것이 그 시대 세레나데의 모습이었습니다. 이러한 아담한 공간에서 소규모 앙상블로 연주하기 위해 작곡되었던 다악장의 기악곡이 세레나데였던 것이지요.

 

그러니 이번에 소개해드리는 모차르트의 ‘Eine kleine Nachtmusik(아이네 클라이네 나하트 무지크)’는 ‘밤에 사람들을 위하여 즐겁게 연주하는 음악’ 정도로 이해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귀족들의 사랑을 많이 받았던 모차르트는 그들의 후원에 힘입어 그의 생에 총 13곡의 세레나데를 작곡했는데, 이 곡이 그의 세레나데 중에서 가장 유명합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작곡자인 모차르트는 정작 이 세레나데가 연주되고 대중에게 사랑받는 것을 보지 못했습니다.

 

이 곡은 그가 31세 때인 1787년에 작곡되었지만, 초연되지 못하고 묵혀있다가 그의 사후에 부인 ‘콘스탄체’에 의해서 1827년에 출판되고 비로소 세상에 나오게 되었기 때문이죠.

 

Eine kleine Nachtmusik

 

총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1악장이 가장 인기가 있습니다.

 

1악장은 세레나데의 대부분이 그렇듯 힘차고 경쾌한 멜로디로 주제선율이 등장합니다. 계속해서 흐르는 주제의 선율은 긴장과 이완이 계속해서 반복되며 지루할 틈이 없이 이어지는 명랑함을 발산합니다.

제2악장은 Romance: Andante의 느리고 감미로운 멜로디가 감성을 자극하며, 제3악장은 Minuet: Allegretto으로 진행이 되고, 제4악장은 Rondo: Allegro로서 드물게 활기찬 멜로디가 일품입니다.

 

기본적인 구성인 현악 4중주(바이올린 두 대, 비올라, 첼로)에 콘트라베이스가 더해져 5중주로 연주하도록 작곡된 이 곡은 우아함과 간결함의 극치를 보여주며 모차르트 특유의 균형미까지 갖춘 곡으로 그의 천재성이 여실히 드러나는 곡입니다.

 

이 작품을 통해 모차르트는 세레나데를 그저 오락과 즐거움을 주기 위한 음악에 국한시키지 않고, 예술적인 고퀄리티를 갖춘 작품으로서 승격시키는 역할을 했다는 평가 또한 받고 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이 곡을 통해 모차르트의 음악을 접하게 되고 그의 음악세계로 인도됩니다. 특히 바이올린 전공생들에게는 지겹도록 연습해야 하는 필수 레퍼토리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클래식 음악 다가가기 어려우시지요,

 

우리에겐 ‘아이네 클라이네 나하트 무지크’가 있습니다. 클래식 음악에 문외한이신 분들도 친숙하게 흥얼거리며 멜로디를 따라 할 수 있는 이런 명곡이 있어 모차르트에게 참 고맙습니다.

 

‘아이네 클라이네 나하트 무지크’ 듣기

 

[프로필] 김지연

•(현)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외래교수

•(현)이레피아노원장

•(현)레위음악학원장

•(현)음악심리상담사

•(현)한국생활음악협회수석교육이사

•(현)아이러브뮤직고양시지사장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통화 주권 넘보는 스테이블코인, 한국은 준비됐는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한국 정치가 마침내 디지털 자산에 손을 댔다. 그것도 단순한 규제 강화를 넘어서 산업 진흥과 생태계 육성까지 겨냥한 ‘판 뒤집기’ 수준의 입법이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제도화 시도다. 법안은 ▲디지털자산의 법적 정의 정립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금융위원회를 통한 인가·등록·신고제 도입 ▲스테이블코인 사전 인가제 ▲불공정거래 금지 및 이용자 보호 ▲자율규제기구 설립 등을 담았다. 단순한 제도 마련을 넘어, ‘한국형 디지털금융 패러다임’의 설계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주목할 대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이다. 현행법상 민간의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은 법적 공백에 놓여 있었지만, 이 법안이 통과되면 자기자본 5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법인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준비금 적립, 도산 절연, 환불 보장 등 안전장치를 전제로 하긴 했지만, 통화 주권을 관리하는 한국은행에는 꽤나 위협적인 메시지다. 민 의원은 이 법을 “규제가 아니라 가드레일”이라고 표현했다. 규제를 통해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탐방]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 AEO 공인부터 사후관리까지 ‘토탈케어’ 실현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오전 9시, 여느 사무실이라면 나른한 공기만이 가득할 시간이지만, 서울본부세관 심사1국 AEO(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심사팀 사무실엔 벌써부터분주함이 가득 들어차 있다. 이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회의실에서는 갱신심사 대상업체에 대한 점검계획을 두고 실무진들의 회의가 분주히 진행되고 있었다. 각자의 노트북 화면에는 통관자료, 자율점검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분석 보고서가 정리돼 있었고, 침착하면서도 치밀한 분위기 속에서 기업의 수출입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에서는 관할 수입AEO 기업의 갱신 신청이 있을 경우, 통관적법성 분야에 대한 정기 심사를 수행한다. 또한 기업상담전문관(Account Manager, 이하 AM)을 통해 위험 정보를 상시 제공하고, 기업의 자율적 법규준수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AEO 공인 이후 공인 유지와 법규 위반 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컨설팅까지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그들의 철칙, AEO심사팀을 민관 협력 기반의 관세행정을 실현하는 ‘토탈케어 조직’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정기 심사일지 하나에도 기업 맞춤형 리스크 분석과 전략을 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