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

[클래식&차한잔] 오페라 나부코(Nabucco) 中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조세금융신문=김지연 객원기자) 

 

“가라 내 마음이여, 금빛 날개를 타고 언덕 위로 날아가라”

_오페라 <나부코> 中

 

요즘은 나라 때문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자주 감상하던 음악 대신 매일 정치 뉴스를 듣다 보니 여유도 없고 머리가 아픕니다.

 

나라가 위기에 처할수록 하나로 단결하는 힘이 컸던 우리의 역사 속 전력이 있기에 ‘반드시 일어나리라’ 희망을 가져 보지만, 국격을 지켜주던 나라의 모든 수준이 평균에도 못 미치는 정치 상황은 정말 답답하고 견디기 힘이 듭니다.

 

이탈리아인을 하나 되게 한 ‘히브리인의 합창’

 

애국심이 진하게 묻어있는 베르디의 오페라 <나부코> 중 ‘히브리인의 합창’을 소개합니다.

오페라 나부코는 ‘Temistocle Solera’가 쓴 대본에 베르디가 작곡한 오페라입니다.

 

구약성경에는 포로로 끌려간 히브리인들이 이방 땅에서 “바빌론 강가에서 요단강을 그리워하며 우리는 울었네”라고 탄식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바로 이 대목을 모티브로 하여 오페라 나부코는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좀 더 디테일하게 말하자면, 베르디는 이 나부코의 전체적인 작업에 착수하기 전에 ‘히브리인의 합창’이라는 곡을 먼저 작곡해 놓고 나서 전반적인 음악 작업에 들어갔다고 합니다.

 

베르디가 이 곡을 작곡할 당시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의 치하에 놓여있었습니다. 이에 베르디는 민족정신을 고취 시키고 이탈리아의 독립을 이루고자 음악에 ‘민족단결’이라는 정치적인 메시지를 불어넣었습니다.

 

사실 그는 개인적으로 이 시기가 아내와 자녀의 죽음으로 인해 엄청난 고통을 겪고 있는 시기였음에도 오히려 그 슬픔을 에너지로 승화시켜 작품에 몰입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곡과 함께 재기에 성공하였습니다.

 

이 노래와 함께 이탈리아 국민들은 일어났고, 실의에 빠져있던 베르디도 일어났습니다. <나부코>는 당시에도 엄청난 흥행 성공을 이룬 것은 물론, 오늘날까지도 이태리 낭만주의 오페라의 최고라는 찬사를 받는 역작이 되었습니다.

 

베르디의 장례식장에서도 울려퍼지던 노래

 

‘나부코’라는 단어는 바벨론 ‘느부갓네살’ 왕의 이탈리아식 표기입니다.

포로가 되어 바벨론으로 끌려간 히브리인들이 부르는 합창에는 그들의 슬픔, 고뇌, 그리고 민족이 하나되어 다시 일어서고, 반드시 고향으로 돌아가겠다는 강한 의지가 보입니다.

 

이 곡은 이탈리아의 애국심을 상징하는 민중의 노래이자, 더 나아가 전 세계적으로도 각 나라의 민족성과 애국심을 고취 시키는 상징적인 곡이 되었습니다. 후에 베르디의 장례식장에서도 토스카니니의 지휘하에 이 곡이 불려졌다고 하는 유명한 일화가 있습니다.

 

젊은이들이 K팝과 함께 색색의 응원봉을 들고 하나된 모습으로 시위에 참여하는 이색적인 현장의 모습을 봅니다. 음악이라는 것은 민중을 하나로 단결시키는 결집력이 있는 얼마나 강력한 매개체인지요.

신년의 시작을 강한 메시지를 담은 음악과 함께 맞이합니다.

 

나부코 중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듣기

 

[프로필] 김지연

•(현)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외래교수

•(현)이레피아노원장

•(현)레위음악학원장

•(현)음악심리상담사

•(현)한국생활음악협회수석교육이사

•(현)아이러브뮤직고양시지사장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통화 주권 넘보는 스테이블코인, 한국은 준비됐는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한국 정치가 마침내 디지털 자산에 손을 댔다. 그것도 단순한 규제 강화를 넘어서 산업 진흥과 생태계 육성까지 겨냥한 ‘판 뒤집기’ 수준의 입법이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제도화 시도다. 법안은 ▲디지털자산의 법적 정의 정립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금융위원회를 통한 인가·등록·신고제 도입 ▲스테이블코인 사전 인가제 ▲불공정거래 금지 및 이용자 보호 ▲자율규제기구 설립 등을 담았다. 단순한 제도 마련을 넘어, ‘한국형 디지털금융 패러다임’의 설계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주목할 대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이다. 현행법상 민간의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은 법적 공백에 놓여 있었지만, 이 법안이 통과되면 자기자본 5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법인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준비금 적립, 도산 절연, 환불 보장 등 안전장치를 전제로 하긴 했지만, 통화 주권을 관리하는 한국은행에는 꽤나 위협적인 메시지다. 민 의원은 이 법을 “규제가 아니라 가드레일”이라고 표현했다. 규제를 통해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탐방]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 AEO 공인부터 사후관리까지 ‘토탈케어’ 실현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오전 9시, 여느 사무실이라면 나른한 공기만이 가득할 시간이지만, 서울본부세관 심사1국 AEO(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심사팀 사무실엔 벌써부터분주함이 가득 들어차 있다. 이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회의실에서는 갱신심사 대상업체에 대한 점검계획을 두고 실무진들의 회의가 분주히 진행되고 있었다. 각자의 노트북 화면에는 통관자료, 자율점검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분석 보고서가 정리돼 있었고, 침착하면서도 치밀한 분위기 속에서 기업의 수출입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에서는 관할 수입AEO 기업의 갱신 신청이 있을 경우, 통관적법성 분야에 대한 정기 심사를 수행한다. 또한 기업상담전문관(Account Manager, 이하 AM)을 통해 위험 정보를 상시 제공하고, 기업의 자율적 법규준수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AEO 공인 이후 공인 유지와 법규 위반 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컨설팅까지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그들의 철칙, AEO심사팀을 민관 협력 기반의 관세행정을 실현하는 ‘토탈케어 조직’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정기 심사일지 하나에도 기업 맞춤형 리스크 분석과 전략을 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