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김지연 음악전문기자) 화려한 예술의 도시 – 플로렌스
‘플로렌스의 추억’은 차이콥스키가 1890년 이탈리아 여행 중 모티브를 얻어 탄생된 작품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그가 여행을 마치고 여행지에서의 감흥을 간직한 채 고국 러시아에 들어와서 작곡한 곡이지요.
플로렌스(이탈리아어로 피렌체)에 머무는 동안 차이콥스키는 그의 마지막 오페라 ‘스페이드의 여왕’을 완성하였는데 그 오페라 작업의 마무리 단계에서 ‘플로렌스의 추억’의 첫 소절은 탄생되었습니다.
전체적인 구도와 스케치는 플로렌스에서, 그리고 완성은 러시아에서 한 것이지요. 그래선지 이 곡은 3악장에서 러시아의 민요, 또 4악장에서는 러시아의 춤곡의 모습을 보이는 등 이탈리아적이면서도 러시아적인 색깔이 많이 묻어납니다.
여행을 다니다보면 여행지에서 당시 느끼는 감성과, 여행이 끝난 후 집에 돌아와서 사진을 뒤적거리며 당시를 회상할 때 느끼는 감성은 사뭇 다르기 마련입니다. 아마 차이콥스키도 그러했던 것 같습니다.
메디치가문의 숨과 얼이 살아있는 ‘플로렌스’라는 곳에서 이탈리아의 예술 영감을 강력하게 받았다 하더라도 고국에 돌아와 본격적인 작곡에 들어갈 때는 뼛속까지 내재되어있는 러시아인으로서의 혼을 불러일으키지 않을 수가 없었을 겁니다.
‘흔한 방식으로 작곡하는 게 싫어서 6개의 소리로 시도하고 있는데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힘이 든다’
차이콥스키가 이 곡을 작곡하면서 당시 오페라의 대본 작업을 담당하던 동생 모데스트에게 보낸 편지의 내용입니다.
차이콥스키는 ‘플로렌스의 추억’을 흔치 않은 구성인 현악 6중주, 즉 기본 현악 4중주에 비올라, 첼로를 한 대씩 추가하여 6대의 현악기의 형태로 작곡하였습니다. 덕분에 한층 더 저음부가 강조되고 중후한 곡이 완성되었지요.
‘작품을 써 내려가는데 무시무시할 정도로 어려운 부분이 많다. 여섯 개의 성부를 실제로 갖고 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아서 관현악용으로 쓴 다음, 6대의 현악기로 끊임없이 재편곡하고 있다.’
단순한 관현악곡을 작곡하는 것도 보통의 에너지를 요하는 것이 아닌데, 관현악곡으로 첫 탄생을 시키고 한 번 더 편곡 과정을 거쳐서 그것을 3종류 6대의 현악기의 곡으로 다시 구워냈습니다.
차이콥스키의 나이 50에, 음악가로서 충분히 숙성된 상황에서 만들어진 그의 인생 후반부의 고집스런 결실입니다.
그가 머리와 가슴에 상상했던 음악을 그대로 고스란히 끌어내기 위해 독특한 조합을 선택하고 일부러 어려운 길을 자청해서 걸었던 결과물이었습니다.
‘6중주, 이 푸가적인 엔딩까지, 내 스스로 얼마나 기쁜지 끔찍할 정도야. 점점 더 난 이 곡에 매료되고 있어!’
예술가가 자기 자신이 만든 작품에 대해 이렇게 ‘매료된다’는 표현을 할 정도로 자긍심이 있다는 것. 참 부럽고 박수치고 싶은 일입니다.
장인정신으로 걸작을 만들어 낸 차이콥스키에게 존경을 표합니다.
[프로필] 김지연
•(현)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외래교수
•(현)이레피아노원장
•(현)레위음악학원장
•(현)음악심리상담사
•(현)한국생활음악협회수석교육이사
•(현)아이러브뮤직고양시지사장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