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구름많음서울 12.5℃
  • 맑음대전 11.9℃
기상청 제공

문화

[클래식&차한잔] 라 파로마 La paroma(The Dove)

 

(조세금융신문=김지연 음악전문기자) 

 

“당신의 창문에 비둘기가 온다면

사랑으로 다뤄주세요. 그건 내 자신입니다.

당신의 사랑을 잘 이야기 해주고

꽃들로 장식 해주세요. 그것은 나의 것입니다.”

 

흰색의 비둘기에게 마음을 실어 보낸다

 

기원이 되는 이야기는 바야흐로 B.C 492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고대 페르시아의 다리우스(Darius)왕은 아테네 정복이라는 꿈을 안고 야심차게 그리스침공에 들어갑니다.

 

당시 최대강국으로 떠오르고 있던 페르시아의 군사력이었기 때문에 그들은 승리를 확신하며 그리스에 쳐들어갑니다. 하지만 예상이 여지없이 빗나가고, 보잘 것 없어 보이던 그리스군에 그만 패배하는 치욕을 당하고 맙니다. 피격을 받아 바다에 침몰하기 시작한 페르시아의 함대와 바다에 빠지게 된 군인들.

 

그때, 페르시아군이 출정할 때 함께 승선시켰던 통신용 흰 비둘기들이 침몰하는 배에서 탈출하며 하늘로 날아오릅니다. 그 흰 비둘기들이 바다에 표류하던 안타까운 선원들의 소식을 고국에 있는 가족들에게 전달해준다는 이야기. 입으로 입으로 전해 내려오던 이 이야기가 바로 이 곡의 모티브가 됩니다.

 

후에는 하바네라 항구에서 비둘기에게 순정을 담아 전달한다는 의미도 실려 다소 낭만적인 이야기로 진화하기도 했습니다. 이 이야기에 영감을 받아 작곡가 이라디에르는 곡을 만듭니다. 그리고 이 선율이 세계적으로 전달되면서 다양한 나라에서 다양한 언어로 가사를 붙여 수많은 사람들의 입에서 불리어지게 되었습니다.

 

라 팔로마 (La Paloma)

 

이 곡은 스페인 바스크 지방 출신의 작곡가 ‘세바스티안 이라디에르(Sebastian Yradier 1809~1865)’가 1861년 쿠바 여행 중에 작곡했습니다. <라 팔로마>는 아바네라 리듬의 반주 위에 얹은 셋잇단음표의 선율이 흥겹고 재미있는 곡입니다.

 

사용된 리듬인 ‘아바네라(Habanera)’는 쿠바의 민속리듬으로 에스파냐에 전해져 유행하게 되었고, 아르헨티나 탱고의 구성요소가 되기도 했습니다.

 

프란시스코 데 아시스 타레가 이 에익세아(Francisco de Asís Tárrega y Eixea, 1852~1909)
▲ 프란시스코 데 아시스 타레가 이 에익세아(Francisco de Asís Tárrega y Eixea, 1852~1909)

 

지어진 지 160년이 넘는 이 곡은 멕시코와 에스파냐을 시작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누리며, 무려 커버 버전이 2000곡이 넘어서게 됩니다. 음악사에서 가장 많이 커버된 곡이라는 영예를 누리기까지 하고 있지요.

 

유명가수들의 앨범과 수많은 영화의 사운드 트랙에 노래와 연주로 사용되었고, 때로는 춤곡으로도 연주가 되고 있는 라 팔로마, 하지만 수많은 예술작품이 그러했듯 이 곡도 작곡가인 이라디에르(Yradier)의 살아 생전에는 빛을 보지 못하다가 그의 사후에서야 유명세를 타게 되었습니다.

 

여러 편곡 버전 중에서도 스페인의 기타 연주가이자 작곡가인 ‘타레가(Tarrega)’의 기타버전을 소개해 올립니다.

 

다소 소박하면서도 기타의 멋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낭만의 흰 비둘기 ‘라 파로마’. 감상해보시죠.

 

타레가의 ‘라 파로마’ 듣기

 

[프로필] 김지연

•(현)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외래교수

•(현)이레피아노원장

•(현)레위음악학원장

•(현)음악심리상담사

•(현)한국생활음악협회수석교육이사

•(현)아이러브뮤직고양시지사장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성질이 고약하다”에서 본 리더의 그릇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국가, 지지체, 법인, 단체 가족 등 인간사회를 구성하는 요소들에는 CEO, 즉 조직의 장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조직의 장이 유능하냐 무능하냐에 따라 그가 이끄는 조직은 백만대군을 가지고도 고구려의 소수 군사에 패한 당나라의 지리멸렬한 군사조직이 되기도 하고 임진왜란 시 10척의 배로 일본의 수백 척 왜선을 물리친 연전연승의 조선수군이 되기도 한다. 그만큼 조직의 장의 위치는 그가 가지는 재주와 기질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질 수밖에 없는 조직의 미래와 운명을 불가역적으로 결정하게 만든다. 필자는 우연히 물개영화를 보다 한 내레이션의 문구가 인상에 남았다. 관광객들에게 주의를 주는 멘트였는데, 물개가 얼굴은 귀엽게 생겼지만 성질이 고약해 쓰다듬지 말라는 말이었다. 여기서 ‘성질이 고약하다’는 어원의 출처를 캐보면 옛날 우리나라 최대의 성군이라 일컫는 조선의 세종대왕이 등장하게 된다. 한글을 창제하고 영토를 확장하고 장영실 같은 천민을 발굴해 과학 창달을 이뤄 당대에 태평 치세를 이룬 그에게 ‘성질이 고약하다’라는 어원의 출처가 등장하다니 뭔가 재밌는 일화와 후대들에게 시사하는 레슨이 있음은 분명해보였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