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16.3℃
  • 맑음강릉 24.7℃
  • 맑음서울 20.6℃
  • 맑음대전 16.9℃
  • 맑음대구 19.6℃
  • 박무울산 17.9℃
  • 맑음광주 19.3℃
  • 구름조금부산 20.1℃
  • 맑음고창 16.2℃
  • 맑음제주 19.5℃
  • 맑음강화 18.1℃
  • 맑음보은 14.0℃
  • 맑음금산 14.1℃
  • 맑음강진군 16.3℃
  • 맑음경주시 17.4℃
  • 맑음거제 16.6℃
기상청 제공

문화

[클래식&차한잔]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 중 “평화로운 숲”

Les Indes galantes, ‘Forets paisibles’

 

(조세금융신문=김지연 음악전문기자) 시야를 두는 곳 어디를 보더라도 초록이 싱그러운 5월입니다.

 

일 년 중 가장 온화한 기후와 선선한 바람, 따스한 햇살이 함께하는 좋은 계절입니다. 모든 작가와 예술가들의 푸근한 행복 감성을 자극시키는 계절의 여왕 5월을 ‘장 필립 라모’의 곡과 함께 열어봅니다.

 

소개해드리는 곡은 바로 ‘장 필립 라모(Jean Philippe Rameau)’의 오페라 발레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 중 ‘평화로운 숲’입니다.

 

“라모는 음악에서 일으킨 혁명을 춤에서도 일으켰다.”

‘라 디스므리’

 

바로크 음악의 거장으로 이탈리아에 비발디, 독일에 바흐가 있다면 프랑스에는 바로 ‘라모(Jean-Philippe Rameau)’가 있습니다.

 

프랑스의 바로크 음악가 라모가 작곡한 이 곡은 리드미컬한 반주와 합창이 특징인, 경쾌한 매력을 발산하는 곡으로서 프랑스 바로크 음악을 대표하는 명곡입니다.

 

라모가 활약하던 시기의 프랑스에서는 발레를 좋아하는 국민답게 오페라와 발레가 합쳐진 오페라 발레가 유행했답니다.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도 이러한 오페라 발레 중 하나입니다.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은 프롤로그와 다음과 같은 총 4개의 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막 관대한 터키인(1re entrée: le Turc généreux)

2막 페루의 잉카인들(2e entrée ; les Incas du pérou)

3막 꽃-페르시아의 축제(3e entrée: les Fleurs fete persane)

4막 야만인들(4e entrée: les Sauvages)

 

이렇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번에 소개하는 ‘평화로운 숲’은 ‘야만인들의 춤’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여기서의 ‘인도’라는 의미는 단순히 한 국가를 칭하는 단어가 아니라 당시에 유럽 이외의 나라들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음을 인식하는 것이 좋습니다.

 

18세기의 이들은 프랑스를 제외한 다른 나라들에 대해 은근히 미개한 나라로 치부하는 뉘앙스가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런 인식과 동시에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과 호기심 또한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오페라 발레에서 유럽이나 북미의 세계를 다룬 작품들은 늘 인기가 있었답니다.

 

장 필립 라모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은 이국적인 분위기를 좋아하던 프랑스인들의 취향에 맞추어 무대 배경을 인도양의 섬, 페루의 잉카, 페르시아과 북아메리카 등 변화를 주며 화려한 무대와 줄거리로 재미를 한껏 더했습니다.

 

라모는 이 작품을 통해 다소 가볍게 취급받던 오페라 발레에 대한 인식을 각각의 막에서 비극적이고 드라마틱한 장면을 연출함으로써 한층 더 승격시켰다는 평을 받습니다. 음악가로서 라모는 이미 능력을 인정받던 성공한 인물이었지만, 50대가 되어서야 오페라 작곡이라는 장르를 시작한 것인데 결국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 곡은 그 절정에 있는 작품입니다.

 

라모는 탁월한 화성이론가로서 작품마다 수준높은 화성의 진행과 독창적인 선율의 진행을 포함시켰기 때문에 그의 오페라 작품 ‘이폴리트와 아리시’를 두고 작곡가 캉프라는 “여기에 오페라 열 편에 맞먹는 음악이 들어 있다”라고 극찬을 하기도 했습니다.

 

기본이 탄탄한 곡인 만큼 마음에 안정을 주는 것도 없겠지요, ‘평화로운 숲’ 감상하시면서 정돈된 마음으로 5월 맞이하시길 바랍니다.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 중 ‘평화로운 숲’ 듣기

 

[프로필] 김지연

•(현)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외래교수

•(현)이레피아노원장

•(현)레위음악학원장

•(현)음악심리상담사

•(현)한국생활음악협회수석교육이사

•(현)아이러브뮤직고양시지사장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정치인의 경계선, 정치꾼과 정치가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제 22대 국회의원선거가 끝나고 여소야대의 틀을 만들고 새로운 정치판을 개장했다. 투표율 67%로 국민 대다수가 참여하여 새로운 정치갈망을 표현했다. 정치에 투표하는 것은 모든 국민들이 나보다 못한 사람에 의해 지배받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라는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말이 새삼 생각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누가 나보다 나은 사람인지 아니면 못한 사람인지,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과 같이 구분이 어렵다는 사실이다. 듣도 보도 못한, 아닌 밤중에 갑자기 나타난 사람의 정체, 특히 감춰진 내면의 인성, 이념, 철학을 알 수가 없다. 겉으로 번지르르한 가면을 덮어쓴 그의 진정한 모습은 하늘이 아닌 다음에 어찌 알 방법이 있겠는가? 오로지 그가 내세운 탈가면을 쓴 그의 탈춤을 보고 찍는 수밖에 없다. 당선된 후에 그는 탈가면을 벗고 탈춤을 추지 않는다. 필요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의 진정한 얼굴은, 그동안 우리가 보지 못했던 생면부지의 얼굴로 되돌아가 그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그래서 기대했던 것보다 실망이 배가 되는 법이다. 초선 의원수가 전체의 44%, 4년마다 교체되는
[인터뷰] 4선 관록의 진선미 의원 “3高 시대, 민생·국익중심 경제정책 전환 시급”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현재 고물가와 고환율, 고금리 상황을 국내 변수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모든 측면에서 국제 경제 상황과 닿아 있는 문제이며, 따라서 철저하게 국익을 위한 외교・통상・안보 정책을 꾀하지 않으면, 우리 국민들이 아무리 노력한다 해도 그 결실을 향유할 수 없습니다.” 지난 4월10일 제 22대 총선거에서 당선돼 4선 국회의원이 된 ‘경제통’ 진선미 의원이 22일 <조세금융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총선이 끝나자 정부의 가스요금 인상 움직임을 비롯하여 시장의 생필품과 식품 등 주요 소비재들이 줄줄이 가격인상을 예고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4선 의원이 된 진선미 의원은 제21대 국회에서 하반기 기획재정위원으로 활동했다. 조세와 금융, 환율 등 국가 재정정책과 금융정책 전반에 대한 시의적절한 문제제기와 해법을 제시, 소속된 더불어민주당에서 국정감사 우수 국회의원으로 선정됐다. 뿐만아니라 국회 예산정책처와 국회 입법조사처 등 국회의 양대 싱크탱크가 선정한 의정활동 우수의원으로 뽑히는 영예를 안았다. 지난해 국정감사 기간 중 개최된 국회 예산정책처 설립 20주년 행사에서 정책활동 우수 국회의원으로 선정돼 상을 받는 자리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