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권영지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지역 특별군사작전으로 에너지 공급망 위기가 심화되며 새로운 에너지인 청정수소 확보 경쟁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정부가 2030년까지 수소차를 3만 대까지 보급하고 수소전문기업 600개를 육성하는 등의 보다 구체적인 수소경제 활성화 전략을 제시했다.
정부는 지난 9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새정부 첫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이러한 수소산업 성장전략을 제시했다. 회의 안건은 크게 세가지로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방안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 전략 ▲수소기술 미래전략이 논의됐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회의에 대해 “기존의 그레이수소와 국내 중심의 수소 생태계를 글로벌 청정수소 생태계로 확장하기 위해 열렸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산업 육성을 위해 제도와 인프라 구축, 규제개선 방안들을 발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도하는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방안’에는 대규모 수소 수요를 창출해 이를 기반으로 한 유통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또 국내외 청정수소 공급망을 구축하고 수소시장에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등의 과제가 추진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는 2030년까지 수소차를 3만 대,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를 전국에 보급하고 2036년까지 청정수소 발전 비중을 7.1%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30년까지 47조1000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9만80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온실가스를 약 2800만톤 감축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산자부가 주도하는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 전략’에는 수소전문기업 600개를 육성하고 선진국 수준의 수소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등의 방안이 담겼다. 수소차와 발전용 연료전지 등 일부 활용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보급 실적을 보이고 있지만 여타 분야에서 선진국과 격차를 보이고 있는 한국 수소산업의 현실을 반영한 계획이다.
특히 해당 전략에는 불합리한 규제를 수시로 발굴·개선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어 그간 기업들이 각종 규제로 인해 새로운 기술을 시도하는 데 겪었던 어려움을 적극 해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신기술 비중이 높은 수소산업의 특성상, 아직 안전기준이 없는 분야는 안전성 검사를 거쳐 신속하게 안전기준을 마련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하는 ‘수소기술 미래전략’에는 국산화가 시급한 기술을 우선 개발하기 위한 방안이 담겼다. 현재 60%에 불과한 수전해 기술 국산화율을 2030년까지 100%로 높이고 도전적인 차세대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해 민간기업이 지는 기술개발 불확실성 부담을 정부가 나누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 수소 생산기술 가운데 기술 성숙도가 높은 알칼라인 수전해, 고분자전해질(PEM) 수전해 기술 위주로 국산화를 우선 추진하고, 수전해 성능과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그간 1위 자리를 지켜온 수소 활용 분야를 공고화하기 위해 민간기업과 함께 연비와 내구연한, 주행거리 개선 연구를 적극 지원한다. 현재 수소트럭의 내구연한인 16만㎞를 2026년까지 50만㎞로, 2030년에는 80만㎞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다.
한편 정부는 수소경제위원회 개최에 앞서 수소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는 삼성, SK, 포스코, 롯데, 한국석유공사, 한국남동·서부발전 등과 ‘서해안권 청정 암모니아 공급망 구축 협약’을 맺었다. 청정수소 생산과 유통, 활용 전주기에 걸친 기업들이 합심해 해외에서 대규모 청정 암모니아를 생산하고 국내로 도입한 뒤 서해안권에 이를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