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3 (목)

  • 흐림동두천 13.5℃
  • 흐림강릉 14.2℃
  • 흐림서울 16.4℃
  • 대전 13.7℃
  • 대구 14.8℃
  • 울산 14.4℃
  • 광주 15.3℃
  • 부산 15.0℃
  • 흐림고창 12.6℃
  • 제주 16.2℃
  • 흐림강화 12.7℃
  • 흐림보은 14.7℃
  • 흐림금산 14.4℃
  • 흐림강진군 15.1℃
  • 흐림경주시 14.5℃
  • 흐림거제 15.1℃
기상청 제공

사회

[기자수첩] 尹정부의 합리성과 MBC 살일경백(殺一儆百)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어떠한 국가도 대립 없는 나라는 없다.

 

오히려 많은 대립이 있어야 국가는 성장한다.

 

확실한 근거에 바탕을 둔 합리적 주장과 상대를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은 나라를 살 찌우고 풍성하게 한다.

 

낙인 찍기에는 대화도 토론도 이해도 없다. 상대를 멸망시켜야 끝장을 본다. 그럴 때 국가는 전체주의로 나아간다.

 

보수 정부는 과거 최승호 사장 체제 시기 부글부글 끓었던 기름을 퍼붓고 있다.

 

MBC가 나쁜 언론이라며 낙인을 찍고 있다.

 

하나 묻고 싶은 게 있다.

 

한국 주요 언론 대부분은 신뢰성 면에서 바닥을 치고 있다.

 

[그런데 누가 누구를 편향이라 몰아갈 수 있단 말인가.]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 얼마 안 됐던 2017년.

 

한 MBC 기자 입에서 날선 비난이 튀어나왔다.

 

“역시 문빠 XX들이죠? 또, 그 X들이라니까요.”

 

왜 그런 비난을 하는지 이유가 알고 싶었으나, 아무리 들어봐도 기대했던 합리적 근거는 없었다. '범인은 역시 그 놈들이야, 그러니까 나쁘다'의 되풀이였다.

 

 

위기에는 늘 극단주의가 부상한다.

 

복잡한 담론과 토론보다는 나와 적을 나누고 대립에 몰두한다. 그래서 극단주의의 담론은 저급하다. 

 

나는 극단주의가 승리하지 않을 거라 믿지만, 극단주의가 승리할 수 있다는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

 

상대방을 파멸시킬 수 있다고 치자.

 

그 후에는 나와 나의 집단만 남는다.

 

하나의 체제가 지배하는 사회.


우리는 그 사회를 무엇이라 부르는 가.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하나의 지도자.

(Ein Volk, ein Reich, ein Führer.)

 

하나는 전체를 위하여, 전체는 하나를 위하여.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인물탐구] 이환주 KB라이프생명 대표, ‘7년 약속’ 지킬 묘수는?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이환주 대표가 이끄는 KB라이프생명이 올해 1월 본격 출항을 알렸다. KB라이프생명은 KB금융그룹의 생명보험회사인 KB생명보험과 푸르덴셜생명보험의 통합법인으로 이를 이끌 초대 수장으로 선임된 이 대표의 어깨가 무겁다. 이 대표의 행보에 기업의 백년대계가 달렸다. 물리적 결합이 실현됐으니 앞으로 중요한 과제는 화학적 결합이다. 작은 조직이 큰 조직에 통합 흡수되는 형태가 아니고 덩치가 큰 두 조직이 합쳐진 만큼 유기적인 결합이 승부를 좌우할 키포인트다. 그런 만큼 이 대표의 행보 또한 ‘화합’에 방향이 맞춰져 있다. 그는 KB라이프생명 대표 후보이던 시절부터 KB생명과 푸르덴셜생명 임직원들에게 “‘다르다’와 ‘틀리다’는 다른 말이다. 양사 임직원은 지금까지 서로 달랐음을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누누이 강조했다. 자세를 낮추고 임직원 말에 귀 기울이는 ‘스킨십 경영’을 통해 대등한 규모의 두 조직이 물리적 결합을 넘어 화학적 결합에 성공하게 하는 것, 임기 내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이 대표의 발걸음이 분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표는 7년 후인 2030년 ‘생보업계 3위 달성’을 약속했다. 두 계열사 간 통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