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11 (월)

  • 맑음동두천 7.3℃
  • 맑음강릉 13.9℃
  • 맑음서울 11.1℃
  • 맑음대전 8.2℃
  • 흐림대구 9.4℃
  • 맑음울산 12.5℃
  • 맑음광주 11.1℃
  • 맑음부산 13.9℃
  • 맑음고창 8.0℃
  • 구름조금제주 16.5℃
  • 맑음강화 9.2℃
  • 맑음보은 5.4℃
  • 맑음금산 5.6℃
  • 구름조금강진군 9.5℃
  • 구름조금경주시 8.6℃
  • 맑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사회

[기자수첩] ‘행정망 마비 해법은 대기업?’ 엘리트 만능주의에 숨긴 정치적 속셈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정부가 최근 행정망 장애를 명분 삼아 정부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 대기업 제한을 전면 해제하는 시늉을 하려는 모양이다.

 

올초 국무조정실 규제혁신추진단은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의 대기업 참여 제한 제도를 규제 개선 과제로 선정했고, 지난 6월 토론회에서 과기부가 1000억원 이상 사업에 대해 대기업 참여를 허용한다는 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리고 최근에는 행정망 장애를 빌미로 1000억원 미만 사업까지 대기업에 풀어주려는 안까지 검토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원인을 알아야 해결한다. 아주 기초 상식이다.

 

관리‧운영에서 사고가 터진 걸 가지고 왜 시스템 구축을 두드리는지 이해가 안 간다.

 

정부 고위 관료들은 모를 수도 있겠으니 설명해드리겠다.

 

정부 시스템 사업은 시스템 구축(SI, System Integration)과 시스템 유지‧보수(SM, System Maintenance) 사업으로 나뉜다.

 

시스템을 처음 가동하면 초반 한두 달 정도는 장애와 오류가 발생하고, 이때 수정 보완을 통해 시스템을 안정화한다.

 

이 안정화 기간 후 발생하는 문제는 유지‧보수에서의 문제다.

 

큰 문제 없이 운영되던 행정망이 운영자 바뀌고 박살 났다?

 

거의 99%, 지금 운영자들이 문제인 거다.

 

조달청에 1년마다 정부기관들이 뭐라고 발주했는지 보라.

 

지난 25일 고기동 행안부 차관이 뭐라고 발표하셨나.

 

시스템 설계 결함이라고 하셨나? 네트워크 장비가 뭐라고 하지 않으셨나.

 

묻겠다. 작금의 행정망 사태.

 

SI가 터졌나, SM이 터졌나.

 

그리고 대기업이면 다 잘하는가.

 

지난 5월 우정사업본부 차세대 금융시스템 접속 장애(SK C&C). 지난해 10월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카카오 먹통 사태(SK C&C), 지난해 9월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오류(LG CNS)은 어느 중소기업들이 하셨나.

 

시스템 구축-유지‧보수 사업은 철저한 원하청 구조다. 대기업이 일감을 따도 짜고 붙이는 건 어차피 중소기업들이다.

 

대기업이 하청을 아주 조이면 아무리 잘난 대기업, 똑똑한 하청이 붙어도 순살자이를 모면할 수가 없다.

 

하나 더 살펴보자.

 

2013년 박근혜 정부에서 정부 SW사업 대기업 입찰 제한이 왜 생겼나.

 

일 하는 건 똑같은 데 원청-하청-재하청-재재하청 단계에 단계를 두며 말단 하도급을 착취하는 구조를 개선해보고자 윗선 단계를 하나 없앴다.

 

부작용이 없는 건 아니지만, 조금이라도 한 발자국을 내딛었다.

 

여기에는 속기록에 나오지 않았던 이유도 하나 있다.

 

대기업이 정부 사업을 하다보면 대기업 관계자와 공무원이 엮이게 되고, 대기업 임원을 정부 고위공무원에 파견으로 내보내는 일도 생긴다. 이 과정에서 무슨 일이 발생할지는 미지수다.

 

정부-대기업 대놓고 유착을 다시 한번 해보실 생각이신가? 그렇지는 않으실 것이다.

 

여기서 아주 근본적인 질문을 하나 해보자.

 

과기부가 ‘정부SW 대기업 입찰 제한해제’를 푸는 개정안을 내놔봤자 여소야대 상황에서 법안이 통과될 가능성은 없다.

 

그렇다면 최근 과기부가 언론에 흘려주고 있는 ‘정부SW 대기업 입찰 제한해제’ 메시지는 무엇일까.

 

이 메시지는 세 가지 가능성으로 읽힌다.

 

첫째, 현 운영자들이 사고 친 것에 대해 시선을 돌려보자.

 

두 번째, 전 정부들이 대기업을 자유경쟁에 못 넣게 해 사고가 쳤다고 인식시킴으로써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해보자. 대기업에는 우리 동기 동창생들이 임원으로 근무한다.

 

세 번째, 현 정부는 박근혜‧문재인 정부에 시행되었던 자유경쟁을 저해하는 그릇되며 과도한 중견‧중소기업 보호를 철폐하는 진정한 자유 보수 정부로서 내년 총선에서 지지받아 마땅하다는 명분을 만들 수도 있다.

 

위의 추정은 가정으로 얼마든지 틀릴 수 있다.

 

정부 내에서 ‘뭘해도 대기업이 하면 좋지 않나’에 대해 나름 진지하게 생각하셨을 수도 있다.

 

하지만 민주주의는 ‘네 멋대로 해라’가 아니다.

 

‘네 멋대로 하지 말라’를 전제로 출발한 정치체제다.

 

행정망 마비라는 대형 사고를 친 분들에게 아무 자유나 주면 얼마나 안심될지 모르겠다.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

책임 없는 자유는 방종이다.

 

존 스튜어트 밀.

고등학교 윤리 시간에 배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아이 낳고 싶지 않은 여성이 대부분인 나라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1년 가까이 저출생 문제를 장기 취재하면서 줄곧 든 생각이 한국의 미디어 환경이다. 방송카메라는 온종일 독신 유명 연예인의 일거수일투족, 연예인 가족의 일상을 샅샅이 훑는다. 시청자들은 간간이 미소 짓고, 자주 한숨 짓는다. 저소득 노동자들의 일상은 대략 비슷하다. 택배상자를 뜯어 찰나의 소소한 행복감에 젖고, 대기업의 반제품 요리재료꾸러미(meal kit) 포장을 뜯어 백종원의 지침대로 요리도 해먹는다. 다국적 미디어 플랫폼 N사의 영화를 보다가 잠든다. 침대에 누워 SNS를 뒤적일 시간도 사실 그리 넉넉하지는 않다. 그저 그런, 그냥 일상의 연속이다. 바다가 보이는 별장에서 진짜 정성을 기울여 만든 요리를 함께 모여 먹는 장면을 보면서 컵라면을 먹는다. 1인당 입장료가 15만원인 호텔 수영장에서 아이와 신나게 물장난을 치는 장면을 보면서 한숨을 쉰다. 아이를 태운 유모차 값이 850만원짜리라는 걸 결혼한 친구로부터 들었기 때문에 한숨은 잠시 분노 섞인 탄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TV나 유투브를 보는 동안 내 인생과 연예인의 인생은 그럭저럭 공존한다. 폼나는 부분은 연예인 인생을 보면서 대리만족을 느낀다. 궁색하고 구질
[인터뷰] 인성회계법인 이종헌 회계사 “세무회계 전문가, AI활용으로 더욱 고도화된 역할 감당해야”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지난 8월 26일 홀리데이인 인천송도 호텔에서는 ‘2024 인천지방세무사회 회직자 워크숍’이 열렸다. 상생과 화합을 다짐하는 이 자리에서는 ‘회직자가 알아야 할 회무 관련 규정’, ‘온라인 전자투표’ ‘GPT를 활용한 전문직의 미래’ 등의 다양한 주제 발표도 이어졌다. 이날 취재를 하면서 생성형 AI를 대표하는 ChatGPT 등을 세무회계 전문가들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고, 또 앞으로 어떤 또 다른 미래가 다가올까에 관심이 더해졌다. 이날 ‘GPT를 활용한 전문직의 미래’ 강의는 인성회계법인 이종헌 회계사가 맡았다. 가장 먼저 소개한 것은 AskUp(아숙업)이다. 카카오톡 채널인 아숙업을 통해 ChatGPT 무료 버전을 활용할 수 있었다. 필자도 바로 채널을 추가해서 활용해 봤다. 변화하는 세상이 한 걸음 더 다가간 느낌이 들었다. 이종헌 회계사를 만나 워크숍 참석한 세무사들의 반응과 함께 세무회계 전문가들이 앞으로 어떻게 AI를 대비하는 게 좋을까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강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습니다. 많은 세무사가 AI, 특히 GPT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셨어요. 질의응답 시간에는 실제 업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