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1 (화)

  • 맑음동두천 16.6℃
  • 맑음강릉 16.9℃
  • 맑음서울 16.7℃
  • 맑음대전 18.8℃
  • 맑음대구 19.0℃
  • 구름많음울산 14.3℃
  • 맑음광주 18.4℃
  • 구름많음부산 14.5℃
  • 맑음고창 13.6℃
  • 구름조금제주 15.9℃
  • 맑음강화 9.7℃
  • 맑음보은 18.1℃
  • 맑음금산 17.2℃
  • 흐림강진군 16.3℃
  • 맑음경주시 15.7℃
  • 흐림거제 15.1℃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되팔이 잡으랬더니 해외직구 막겠다는 관세청…아, 쫌!

제보 포상금…행정력 소요는 최소, 효과는 최대될 수 있어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해외직구 되팔이 문제는 매년 국정감사 단골 아이템이다.

 

현행 관세법에서는 ‘자신이 쓸 물건’에 한해서 거래 1건당 150달러(미국은 200달러) 이하 해외직구는 관세와 부가가치세를 면세해주고 있다.

 

면세 요건은 내가 쓸 물건인데, 이 내가 쓸 물건이란 요건을 관세청이 확인할 방법이 없다. 관세당국은 건당 150달러만 안 넘으면 면세처리를 해왔다.

 

그랬더니 이 면세품을 가지고 용돈벌이 삼아 되파는 사람들이 생겼다. 이 되팔이는 현행법상 밀수다. 면세한도를 넘지 않기 위해 쪼개기 직구까지 하는 ‘꾼’들도 생겼다.

 

관세청에게도 되팔이는 골칫거리다. 개인 간 거래라서 사전방지가 어렵다. 잡아도 대부분이 과태료 감도 안 되는 잡범들이다.

 

그래서 적발해도 대부분이 주의에서 그친다. 관세청이 되팔이에게 주의를 준 사례는 2017년 260건에서 2019년 9214건으로 35배나 늘었지만, 과태료 부과는 지난해 이후 197건에 불과하다. 이러니 단속 실익이 거의 없을 수밖에.

 

연간 해외직구 이용을 제한하자는 노석환 관세청장의 심정은 이해된다.

 

하지만 이 방법으로는 못 막는다. 저 대안은 ‘되팔이를 막는 방법’이 아니라 ‘되팔이 일정 수준으로 억제하는 방법’에 불과하다. 건수를 줄일 지언정 내년 국감 지적을 피할 수 없을 듯 보인다.

 

그러면 해법은 없나?

 

부족하나마  제안이 하나 있다. ‘되팔이 제보 포상금’이다.

 

되팔이는 돈이 된다는 욕심, 약한 제재, 광활한 되팔이 창구(온라인) 세 가지가 합쳐서 태어났다. 세 가지 요인을 동시에 잡지 못하면 무슨 대안이든 미봉책이다.

 

되팔이 제보 포상금에는 저 세 가지를 봉쇄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거래 시도’를 ‘첫 제보’한 사람에게 물품 가격의 10~20%의 제보포상금을 주고, 제보포상금 재원은 전액 되팔이들에 과태료로 물려서 충당하는 것이다. 거래 성사는 무관하다. 되팔이 여부와 첫 제보 여부만 확인하면 된다.

 

돈이 된다는 욕심을 역이용(세파라치)하고, 약한 제재를 보완하며, 되팔이 창구를 불특정 다수에 의한 감시망으로 바꾸자는 것이다. 이러면 행정력 쓸 일도 줄어들고 되팔이들도 위축될 수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인물탐구] 이환주 KB라이프생명 대표, ‘7년 약속’ 지킬 묘수는?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이환주 대표가 이끄는 KB라이프생명이 올해 1월 본격 출항을 알렸다. KB라이프생명은 KB금융그룹의 생명보험회사인 KB생명보험과 푸르덴셜생명보험의 통합법인으로 이를 이끌 초대 수장으로 선임된 이 대표의 어깨가 무겁다. 이 대표의 행보에 기업의 백년대계가 달렸다. 물리적 결합이 실현됐으니 앞으로 중요한 과제는 화학적 결합이다. 작은 조직이 큰 조직에 통합 흡수되는 형태가 아니고 덩치가 큰 두 조직이 합쳐진 만큼 유기적인 결합이 승부를 좌우할 키포인트다. 그런 만큼 이 대표의 행보 또한 ‘화합’에 방향이 맞춰져 있다. 그는 KB라이프생명 대표 후보이던 시절부터 KB생명과 푸르덴셜생명 임직원들에게 “‘다르다’와 ‘틀리다’는 다른 말이다. 양사 임직원은 지금까지 서로 달랐음을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누누이 강조했다. 자세를 낮추고 임직원 말에 귀 기울이는 ‘스킨십 경영’을 통해 대등한 규모의 두 조직이 물리적 결합을 넘어 화학적 결합에 성공하게 하는 것, 임기 내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이 대표의 발걸음이 분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표는 7년 후인 2030년 ‘생보업계 3위 달성’을 약속했다. 두 계열사 간 통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