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19.7℃
  • 구름많음강릉 19.9℃
  • 구름많음서울 20.5℃
  • 흐림대전 20.3℃
  • 흐림대구 22.0℃
  • 구름많음울산 21.0℃
  • 흐림광주 21.4℃
  • 구름많음부산 22.9℃
  • 구름많음고창 20.1℃
  • 흐림제주 24.3℃
  • 구름많음강화 20.0℃
  • 맑음보은 19.3℃
  • 흐림금산 18.9℃
  • 흐림강진군 21.7℃
  • 구름많음경주시 20.0℃
  • 구름조금거제 20.9℃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긴급' 빠진 긴급재난지원금…기재부는 왜?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지난주 정부가 긴급재난지원금 선별지원 방침을 밝혔다.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을 선별적으로 주기로 했다면, 지원방법은 두 가지밖에 없다.

 

건강보험료 아니면 세금정산이다.

 

그런데 정부가 택한 건강보험료를 통한 산정방식은 긴급재난지원금과 맞지 않는다.

 

긴급재난지원금의 목적은 소비시장에 현금을 ‘당장’ 펌프질하고, ‘현재’ 직장을 잃거나 장사가 안되는 사람들을 지원하는 것이다.

 

그런데 건강보험료는 지난해 소득을 기준으로 산정하고, 여기에는 재산까지 합쳐서 산정한다. 현재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도 민원을 받겠다는 것 외에 방법이 없다. 민원창구가 대상자가 아닌지 문의하는 사람들로 터질 것은 안 봐도 뻔하다.

 

세금정산 방식으로 하면 ‘당장’, ‘현재’, ‘현금’ 세 가지 문제가 단번에 풀린다. 먼저 지원금을 빈부 상관없이 고르게 뿌리고 올해 연말정산할 때나 내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때 소득에 따라 정산하는 방식이다.

 

기재부는 세금정산 방식을 선택하지 않았다. 세금정산 방식을 하려면 당장 사람들에게 돈을 줘야 하는데 그러면 국채발행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국가채무비율을 올리지 않으려는 ‘국가’에 대한 충정은 이해한다.

 

“정치권에서 무슨 이야기가 나오든 관료는 국가를 위한 소신(기준)을 지켜야 한다”며 거듭 다짐해왔다.

 

그런데 지금 그 충정의 대상인 ‘국가’와 그 ‘국민’이 고통받고 있다.

 

기재부는 금융이나 기업 운영하듯 정부가 레버리지 효과를 끌어당기는 것은 장담할 수 없는 모험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돈을 풀음으로써 물가상승률 하락을 붙잡는 데 도움이 전혀 없다고 단언하기 힘들다. 그 돈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그 규모가 크다면 단순히 국민 부조로서의 역할만 생각할 수 없게 된다. 미국이나 독일 등 몇몇 선진국들의 조치를 단순히 기축통화국이니까 가능하다는 식으로 몰아 부칠 수 있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최근 급변하는 경제전선은 과거처럼 몇몇 경제이론을 고집한다고 풀릴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주력 무기 외에 다양한 무기도 갖춰야 한다. 코로나19 역시 전염성과 치명률은 반비례한다는 기존 이론을 깨버리지 않았는가.

 

국내 자영업자가 560만명 중 연매출 1억 이하가 100만명이 넘는다. 이 사람들은 소비위축 시기가 오면 당장 폐업의 위기에 내몰린다. 관련 종사자들이나 경제사슬은 말할 것도 없다.

 

기재부는 늘 정부 제1부처로 존중받아왔다.

 

국가통수권 부재 시 권력 승계 순위도 국무총리 다음이다. 그 자부심으로 밤낮으로 고생한다. 그런데 그 기재부 공무원들의 노력이 충정의 대상과 멀어지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지금 기재부에 필요한 것은 제1부처로서의 용기가 아닌가 싶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팔꿈치 절단 딛고 '요식업계 큰손 등극' 백세장어마을 윤명환 대표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무더운 여름을 지내면서 몸에 좋다는 여러 보양식을 찾게 된다. 장어도 그중 하나다. 부천에서 꽤 많은 손님이 찾는 ‘백세장어마을’은 상동 웅진플레이도시 워터파크 앞에 자리하고 있다. 평일 점심에도 꽤 많은 손님이 이곳을 찾고 있었다. 사업가 윤명환 대표 이야기 백세장어마을 윤명환 대표는 현재 7년째 이곳을 운영하고 있다. 이전 창업자가 5년간 운영한 것을 이어받았으니 합치면 12년째다. 이곳뿐 아니다. 같은 웅진플레이도시 내에 자리한 중식집 ‘The 차이나’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인천광역시 삼산동에는 고깃집 ‘백세미소가’를 창업해 현재 아들이 운영을 맡고 있다. 요식업계에 발을 디딘 지는 벌써 16년째다. “요식업 창업을 하는 사람들의 70%는 망하고, 20%는 밥벌이 정도 하고, 10%는 성공한다.”라는 말이 있다. 그런 걸 보면 윤 대표는 요식업계에서 나름 성공한 CEO다. 처음 요식업을 시작한 것은 한창 한일월드컵으로 ‘대한민국~’을 외치던 2002년이다. 윤 대표는 당시 매우 절박한 마음으로 요식업계에 첫발을 내밀었다. 이전에 큰돈을 모아 투자했던 의료사업에서 실패한 이후다. 처음에는 직장인으로 출발했다. 인천전문대 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