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유럽중앙은행(ECB)이 지난 6일(현지시간) 기준 금리를 5년만에 처음으로 0.25%p 인하하면서 시장에서는 이번 ECB의 금리 인하가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금리 인하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경우에는 빨라야 '9월 이후'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ECB가 주요 경제주체로서는 처음으로 약 2년만에 정책 방향을 바꿨지만 미국 연준이 이를 따라 곧바로 금리를 내릴 것으로 단정하기란 힘든 상황이다.
◇ 미국의 금리 인하 시기는?
현재 미국 노동시장은 가장 낮은 수준으로 침체기에 들어서고, 경기침체 우려 확산까지 제기돼 미국 연준으로서는 금리를 내리기가 한결 편해졌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지난 4일 미국 노동부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서 4월 구인 건수가 805만9000건으로 2021년 2월 이후 3년 2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오기도 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페드워치 자료에 따르면 5일 기준으로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도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35.1%였다. 나머지 64.9%는 이때까지 한 번 이상 내릴 것으로 봤다.
11월까지도 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보는 이는 23%다. 77%가 한번 이상 내린다고 보고 있는데 한번 내린다'가 48.3%, '두 번 내린다'가 25.4%이며, '세 번 내린다'는 3.3%에 그쳤다.
12월이 되면 이때까지도 금리를 안 내릴 가능성은 8%로 줄어든다. 92%가 한 번 이상 내릴 것으로 보는 셈이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IB 7곳 가운데 5곳은 3분기부터, 2곳은 4분기부터 미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내다봤다.
바클레이즈와 HSBC는 연준이 3분기 들어 처음으로 금리를 0.25%p 인하한 뒤 연말까지 5.2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씨티와 골드만삭스, JP모건 역시 나란히 3분기 금리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지만, 연말 금리 수준을 각 4.50%, 5.00%, 4.75% 등으로 다르게 봤다.
향후 임금이나 소비 관련 지표가 갑자기 악화한다면 7월 인하 가능성도 대두될 수도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소폭 증가해 Fed의 금리인하 여지가 다소 커졌지만 국채금리는 상승하고 있다. 벤치마크인 10년물 금리가 연 4.299%로 올랐기 때문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앞으로 수개월간 금리 움직임이 글로벌 주식시장이나 채권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KPMG의 야엘 셀핀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유로존 경제는 물가가 높고 재정정책도 다소 느슨한 미국과는 다르다"면서 "유럽에서는 가계 실질소득이 줄어 생활비 위기를 겪고 있는 반면 미국에서는 내수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 향후 우리나라 행보는?
우리나라의 경우 주거비는 안정적인데 반해 외식비가 5%대로 높게 유지돼 2.7%의 물가상승률을 기록중이다.
최근 한국은행이 올해 3분기 중 기준금리를 인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으면서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분기 마지막 달인 9월께 금리를 인하하면 한은은 10월이나 11월께 뒤따라 금리를 내릴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지난 5일 보고서에서 "한은이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올해 4분기까지 늦출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히기도 했다.
연구소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부실 등에 따른 내수 부진 우려에도 미국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 약화, 예상을 상회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원화 약세 부담 등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