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무리=관세청 유니패스 통관시스템]](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416/art_17445912322189_db989f.jpg)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관세청이 총 1060억 원을 투입해 구축한 ‘차세대 유니패스(UNI-PASS)’가 개통 한 달을 맞았다.
관세청은 지난 3월 15일 노후 전산시스템을 전면 교체하고 신형 전자통관시스템을 본격 가동했으며, 개통 이후 4월 15일 현재까지 운영 안정화를 성공적으로 이어가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유니패스는 수출입 통관, 물류, 세금 징수, 위해물품 차단 등 관세청의 핵심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국가 무역·물류 인프라다.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135개 기관과 26만여 개 수출입기업 및 운송사가 연계된 디지털 플랫폼으로, 이번 전면 개편은 관세청 정보시스템 역사상 가장 대규모 사업으로 꼽힌다.
통관 처리속도·데이터 분석 성능 ‘비약적 향상’
관세청에 따르면 차세대 시스템 개통 이후 통관 업무 처리 속도가 대폭 향상됐다. 수입신고서 자동처리는 기존 평균 24.1초에서 9.7초로 단축돼 2.5배 빨라졌으며, 수출신고서는 1.8배, 환급신청서는 1.6배 향상됐다.
공공데이터 동시 제공량도 기존 분당 10만건 30만건으로 3배 늘어났다.
또한 빅데이터 기반의 데이터 분석 처리 성능은 2.7배 개선돼, 밀수·관세포탈·불법무역 등 각종 위법 행위에 대한 정보 분석 및 대응 체계도 한층 정밀해졌다는 평가다. 예를 들어 50만건의 데이터 추출 시간은 기존 11분에서 4분으로 단축됐다.
특히 이번 시스템에는 인공지능(AI) 기술도 적용돼, 마약류 등 위해물품 판별 분야에서 AI 기반 선별 기능이 시범 도입됐다.
관세청은 향후 AI 활용 범위를 더욱 확대해 첨단기술 기반의 스마트 관세행정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대규모 시스템 전환에도 ‘무장애 개통’
이번 전환 사업은 2023년 5월부터 2년에 걸쳐 진행됐으며, 노후 장비 305식과 상용 소프트웨어 80종이 교체됐다. 관세청은 개통 전 7차례의 통합 테스트와 5차례의 대외기관 연계 테스트, 5회의 리허설을 거쳤으며, 개통 직전 2주간은 24시간 대응 체제로 전환해 장애 없는 개통을 실현했다.
고광효 관세청장은 “무역·물류 산업의 중추인 유니패스 시스템이 한층 스마트하고 안정적인 플랫폼으로 재탄생했다”며 “앞으로도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효율적인 행정 서비스를 통해 관세청이 산업 현장의 든든한 동반자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