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치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마땅히 걸어야 할 길을 버린 한 정치인과 우화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3월에 치러진 20대 대통령선거와 관련하여 국민들의 시선을 따갑게 받은 독특한 후보가 한 명 있어 필자의 눈길을 끌었다. 그 정치인은 우리나라 정치의 오랜 폐단인 양당체제를 종식하고 다당체제의 정치개혁을 부르짖으며 이를 관철하기 위해 필사의 완주를 천하에 공언한 안철수다.

 

그 덕분에 양당의 혐오를 느낀 국민들의 성원에 힘입어 소기의 효과를 거두기도 하는 등, 사리사욕을 버리고 정치개혁을 위한 한 정치인의 진심을 높게 평가하는 분위기도 있었다.

 

그러나 그 정치인은 그의 정치개혁을 지지하던 국민을 외면하고 한순간 그 가치를 헌신짝같이 버렸다. 정권교체, 통합정부를 위한 변명이었지만 이것이 정치개혁의 근본적인 그가 주장해온 가치를 무너뜨릴만한 대의명분이라 하기에는 너무나 개인적인 합리성을 배제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로 인해 그를 지지하던 국민들은 상당한 충격을 받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정치는 개인적인 합리성보다 국민적인 합리성을 추구해야할 절대적인 이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 정치판에 벌어진 일련의 사태를 보고 예전에 들었던 호랑이동물의 우화가 생각나 소개하기로 한다.

 

숲에서 왕자로 군림하며 포효하여 온갖 동물을 떨게 했던 한 마리의 호랑이가 잡혀와 조련사에게 훈련을 받는다. 호랑이는 본연의 야수성으로 으르렁대며 끈질기게 창살을 물어뜯고 조련사에게 대든다. 이에 조련사는 호랑이에게 먹을 것을 일체 주지 않고 굶긴다. 얼마 후 호랑이는 배가 고파 기운이 빠진 채 고기를 달라고 연신 으르렁댄다.

 

조련사는 호랑이에게 조건을 건다. 으르렁 대신 고양이처럼 야옹한다면 고기를 주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호랑이는 내가 호랑이인데 어찌 고양이가 될 수 있겠나하며 따르지 않는다. 며칠이 지나 너무 배가 고픈 호랑이는 고기를 먹기 위해 야옹하며 달라한다. 그럼에도 조련사는 고기를 주지 않고 이번에는 당나귀처럼 힝힝거려 보라고 한다. 호랑이는 내가 당나귀가 될 수 없다고 거절하지만 너무 배가 고파 결국 힝힝거리며 울었다.

 

이에 조련사는 고기가 아닌 건초를 던져준다. 왜냐하면 이제 호랑이는 더 이상 호랑이임을 잊어버리고 당나귀가 되어 버린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그 호랑이는 건초를 입안에 씹다가 아무 저항도 힘도 없이 호랑이로서의 생애보다는 당나귀로서의 생애를 맞이한다는 얘기다. 그나마 당나귀로서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무릎을 꿇은 것이다.

 

모습은 호랑이지만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마음은 당나귀이어야 한다는 겉과 속이 다른 표리부동의 전형적인 형태다. 그 정치인은 이 우화대로 처음에는 밀림의 숲속에서 천하를 호령하고 싶은 야망을 가지고 호랑이로서의 본연의 자세를 구현했다. 즉 다당체제의 정치개혁을 부르짖었다. 그 부르짖음은 호랑이처럼 으르렁대며 세상을 다소 떨게 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그러나 국민들이 고기를 주지 않자 그는 고기를 받기 위해 고기를 주는 조련사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앞으로 그 조련사가 과연 호랑이를 호랑이로 키우려하는지 아니면 지시를 따르며 먹이를 먹는 당나귀로 키우려하는지는 오로지 조련사와 호랑이의 태도에 달린 것이다.

 

그리고 장차 어떤 모습으로 정치판에 나타날지는 오롯이 이를 심판하는 국민의 선택에 달린 것이다. 정치에서 가장 존중받고 배려 받아야 할 부분은 국민이 대부분 공감하는 이데아인 것이다.

 

※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프로필] 김우일 대우김우일경영연구원 대표/대우 M&A 대표

•(전)대우그룹 구조조정본부장

•(전)대우그룹 기획조정실 경영관리팀 이사

•인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서울고등학교, 연세대 법학과 졸업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통화 주권 넘보는 스테이블코인, 한국은 준비됐는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한국 정치가 마침내 디지털 자산에 손을 댔다. 그것도 단순한 규제 강화를 넘어서 산업 진흥과 생태계 육성까지 겨냥한 ‘판 뒤집기’ 수준의 입법이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제도화 시도다. 법안은 ▲디지털자산의 법적 정의 정립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금융위원회를 통한 인가·등록·신고제 도입 ▲스테이블코인 사전 인가제 ▲불공정거래 금지 및 이용자 보호 ▲자율규제기구 설립 등을 담았다. 단순한 제도 마련을 넘어, ‘한국형 디지털금융 패러다임’의 설계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주목할 대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이다. 현행법상 민간의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은 법적 공백에 놓여 있었지만, 이 법안이 통과되면 자기자본 5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법인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준비금 적립, 도산 절연, 환불 보장 등 안전장치를 전제로 하긴 했지만, 통화 주권을 관리하는 한국은행에는 꽤나 위협적인 메시지다. 민 의원은 이 법을 “규제가 아니라 가드레일”이라고 표현했다. 규제를 통해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탐방]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 AEO 공인부터 사후관리까지 ‘토탈케어’ 실현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오전 9시, 여느 사무실이라면 나른한 공기만이 가득할 시간이지만, 서울본부세관 심사1국 AEO(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심사팀 사무실엔 벌써부터분주함이 가득 들어차 있다. 이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회의실에서는 갱신심사 대상업체에 대한 점검계획을 두고 실무진들의 회의가 분주히 진행되고 있었다. 각자의 노트북 화면에는 통관자료, 자율점검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분석 보고서가 정리돼 있었고, 침착하면서도 치밀한 분위기 속에서 기업의 수출입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에서는 관할 수입AEO 기업의 갱신 신청이 있을 경우, 통관적법성 분야에 대한 정기 심사를 수행한다. 또한 기업상담전문관(Account Manager, 이하 AM)을 통해 위험 정보를 상시 제공하고, 기업의 자율적 법규준수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AEO 공인 이후 공인 유지와 법규 위반 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컨설팅까지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그들의 철칙, AEO심사팀을 민관 협력 기반의 관세행정을 실현하는 ‘토탈케어 조직’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정기 심사일지 하나에도 기업 맞춤형 리스크 분석과 전략을 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