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윤석열 X파일’이 노리는 술수의 배경과 영향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대통령선거를 지척에 앞둔 지금 유력 대권후보자인 윤석열에 관한 ‘찌라시’ 하나가 어느 정치평론가의 입을 통해 거론되자 정치계는 물론 온 국민의 이목과 흥미를 촉발시키며 ‘진짜냐 혹은 거짓이냐’하며 입 도마질에 오르고 있다.

 

찌라시는 본래 언론기관 또는 정보기관 등에서 흘러나온 정보가 정보시장에서 서로 전달 교환되면서 누군가의 짜깁기를 통해 더 그럴듯하게 포장되어 입을 통해 퍼진다.

 

당연히 복수의 관계자 혹은 익명의 관계자라는 출처가 불분명한 것이 그 태생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다음 대통령을 선출할 막중한 시기에 유력후보자에 관한 중요한 사생활에 관한 찌라시가 퍼지고 있음에 필자는 그 술수의 배경과 영향에 대해 고찰해보기로 한다.

 

첫째, 그 술수는 100% 반대세력에 의한 윤석열 후보자의 지지도 하락과 낙마를 노리는 것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게 진실이든 아니면 거짓이든 일단 세간의 입방아에 올려 부정적 선입견을 주입하는 데는 특효약임은 확실하다.

 

그것을 믿는 이는 “아닌 땐 굴뚝에 연기 나랴”하는 인과성을 철저히 신봉하는 성향이고 그 것을 믿지 않는 자는 “아니 땐 굴뚝에도 연기 난다”라는 조작설을 철저히 신봉하는 성향인바 대체로 이분법의 카테고리로 나누어진다고 볼 수 있다.


후자의 조작설을 믿는 이도 어느 정도 후보자에 대한 신뢰도에 의문이 가는 사고의 연상은 지울 수가 없는 법이다. 절대적으로 신뢰했던 이로부터 신뢰의 배신자라는 정서적 분위기가 발호되기 때문이다.

 

내가 몰랐던 이중성격의 소유자일 수도 있다는 생각과 열길 물 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의심이 마음속 한 켠에 자리 잡게 된다. 사람의 머리란 끊임없이 이것이 생각나면 저것이 생각나는 연기론(緣起論)이란 시스템에 의해 가동되기 때문이다.

 

당연히 이것은 지지도의 하락을 가져올 것임은 불을 보듯 뻔하다. 사법기관에 의해 진위여부를 조사한다 하더라도 본래 ‘거짓이다, 아니다’라는 증빙은 실체를 보여주기 어렵다.

 

단순 명예훼손에 해당될 뿐이다. 그렇다면 출처의 최초 작성자는 밑져도 본전이다. 손해 안 보는 장사인데 권력쟁탈의 앞마당에 누가 그 술수를 활용 안 하겠는가? 윤석열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도만 떨어트리기만 하면 된다는 목적에 가장 부합한 술수가 바로 이 찌라시다.

 

둘째, 그 영향은 중구난방(衆口難防)과 중구삭금(衆口鑠金)이다. 중구난방은 주나라 여왕(厲王) 때, 여왕 폭정에 비방하는 자는 죽였는데 중신 소공이 간언했다.

 

백성의 입을 막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뜻으로 뭇사람의 얘깃거리가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중구삭금은 주나라 경왕때 화폐를 녹여 거대한 종을 만들려고 했는데 모든 백성이 반대하자 대부 단목공이 간언했다. 백성들의 말은 쇠도 녹인다는 뜻으로 뭇사람의 말은 합치면 엄청난 힘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찌라시의 영향은 그 내용이 빠르게 전파되어 뭇사람이 알게 됨을 막을 수가 없고, 알게 되면 진실도 거짓말로, 거짓말도 진실로 믿게 하는 가공할 힘을 발휘하는 연쇄적인 영향력을 가진다. 특히 한 국가의 미래를 좌우할 대통령을 뽑는 선거시점에서는 더욱 그 영향력에 대한 중요성이 크다 하겠다.

 

그래서 찌라시가 진실인 경우 비적절한 대통령을 배제할 수 있는 기회를 국민들의 알 권리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거짓인 경우는 국민들의 선택권리를 훼손, 오도하여 비적절한 대통령이 탄생되는 허점이 있어 이 두 양면을 배척되어서는 안 된다.

 

과연 이 찌라시에 관한 법의 울타리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고민해야 할 것이다.

 

 

※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프로필] 김우일 대우김우일경영연구원 대표/대우 M&A 대표

•전)대우그룹 구조조정본부장

•전)대우그룹 기획조정실 경영관리팀 이사

•인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서울고등학교, 연세대 법학과 졸업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통화 주권 넘보는 스테이블코인, 한국은 준비됐는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한국 정치가 마침내 디지털 자산에 손을 댔다. 그것도 단순한 규제 강화를 넘어서 산업 진흥과 생태계 육성까지 겨냥한 ‘판 뒤집기’ 수준의 입법이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제도화 시도다. 법안은 ▲디지털자산의 법적 정의 정립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금융위원회를 통한 인가·등록·신고제 도입 ▲스테이블코인 사전 인가제 ▲불공정거래 금지 및 이용자 보호 ▲자율규제기구 설립 등을 담았다. 단순한 제도 마련을 넘어, ‘한국형 디지털금융 패러다임’의 설계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주목할 대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이다. 현행법상 민간의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은 법적 공백에 놓여 있었지만, 이 법안이 통과되면 자기자본 5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법인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준비금 적립, 도산 절연, 환불 보장 등 안전장치를 전제로 하긴 했지만, 통화 주권을 관리하는 한국은행에는 꽤나 위협적인 메시지다. 민 의원은 이 법을 “규제가 아니라 가드레일”이라고 표현했다. 규제를 통해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탐방]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 AEO 공인부터 사후관리까지 ‘토탈케어’ 실현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오전 9시, 여느 사무실이라면 나른한 공기만이 가득할 시간이지만, 서울본부세관 심사1국 AEO(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심사팀 사무실엔 벌써부터분주함이 가득 들어차 있다. 이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회의실에서는 갱신심사 대상업체에 대한 점검계획을 두고 실무진들의 회의가 분주히 진행되고 있었다. 각자의 노트북 화면에는 통관자료, 자율점검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분석 보고서가 정리돼 있었고, 침착하면서도 치밀한 분위기 속에서 기업의 수출입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에서는 관할 수입AEO 기업의 갱신 신청이 있을 경우, 통관적법성 분야에 대한 정기 심사를 수행한다. 또한 기업상담전문관(Account Manager, 이하 AM)을 통해 위험 정보를 상시 제공하고, 기업의 자율적 법규준수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AEO 공인 이후 공인 유지와 법규 위반 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컨설팅까지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그들의 철칙, AEO심사팀을 민관 협력 기반의 관세행정을 실현하는 ‘토탈케어 조직’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정기 심사일지 하나에도 기업 맞춤형 리스크 분석과 전략을 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