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8 (목)

  • 흐림동두천 22.1℃
  • 흐림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23.4℃
  • 구름많음대전 26.6℃
  • 구름조금대구 28.5℃
  • 구름많음울산 24.3℃
  • 구름조금광주 28.0℃
  • 구름조금부산 23.8℃
  • 구름많음고창 22.5℃
  • 구름많음제주 24.8℃
  • 구름많음강화 20.6℃
  • 구름많음보은 26.3℃
  • 구름많음금산 28.7℃
  • 맑음강진군 25.7℃
  • 구름많음경주시 28.6℃
  • 구름조금거제 24.0℃
기상청 제공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클럽 ‘버닝썬’에 경고하는 공자의 삼불망(三不忘)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중국 고대 하나라의 걸(桀)왕과 은나라 주(紂)왕은 여자, 술, 고기로 온갖 향락과 탐욕으로 나라를 망친 임금으로 유명하다.

 

걸왕은 오랑캐가 바친 말희에게 은나라 주왕도 오랑캐가 바친 달기에게 빠져 화려한 궁전을 짓고 매일 방탕한 잔치를 열고 술을 마시고 놀았다. 심지어 연못을 파 술로 연못을 채운 다음 배를 띄워 술을 마시게 하고 연못 둘레의 나무에는 고기를 걸친 숲을 만들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질탕하게 미친 듯이 즐겼다.

 

이로 인해 백성들의 곡식과 보물을 모두 빼앗아 나라 전체가 국력이 고갈되었고 민심이 이반되어 멸망하였다.

 

여기에서 주지육림(酒池肉林)이라는 고사성어가 유래되었다. 또한 음란무도한 폭군의 대명사로 ‘걸주(桀紂)와 같다’라는 표현이 생겨났다. 걸주와 같으면 반드시 망한다는 뜻도 내포되어 있다.

 

현대 21세기에 버닝썬이라는 해괴망측한 술집에서 이와 유사한 온갖 작태가 벌어졌다는 사실은 우리가 자못 심각하게 봐야 할 것이다. 돈, 술, 성폭행, 동영상유포, 마약, 탈세까지 곁들인 방탕한 파티는 그야말로 걸주와 같다.

 

고대 걸주의 연회와 21세기 버닝썬의 파티는 닮은꼴이 있어 더욱 경계심이 더해진다.

첫째, 제일 중요한 국가권력이 내재되었다는 점이다. 걸주의 경우 통치권자였지만 버닝썬은 국가권력이 뒷배를 봐줬다는 것이다.

 

둘째, 상상도 못 할 음란무도의 극치를 보였다는 점이다.

 

셋째, 소수의 부유층이 재물을 독점한 반면 일반 백성들의 경제는 피폐해지는 현상을 보여 민심의 이반을 가져왔다는 점이다.

 

이 버닝썬에서 벌어진 해괴망측한 음란무도를 발본색원하지 않으면 다시 이런 아류의 클럽이 쥐도 새도 모르게 우후죽순 생겨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인류역사에 인간의 본능을 자극하는 방탕과 음란무도는 아무리 국가가 규제하더라도 절대 근절되지 않는다. 잠시 규제를 피해 땅 밑으로 모습을 감출뿐이지 규제나 관심이 느슨해지면 또 다시 싹을 틔우는 암세포와 비슷하다.

 

이 버닝썬의 세태가 근본 해결이 안 되고 잠시 지하에 숨어버리면 그 후유증은 뻔하다. 일반 서민들의 민심이 이반되고 사회체계가 붕괴, 나아가 국가체계의 근간을 훼손하는 총체적 위기가 올 수도 있다는 점을 가볍게 봐서는 안 될 것이다.

 

아직도 남북 간에 총구로 대치하고 있는 상황, 북한의 우방국인 중국, 한국의 우방국인 미국 간의 미중 무역분쟁이 해결되지 못하고 서로 패권다툼에 한 치의 양보도 없는 상황, 일본과의 우호는커녕 상호 혐오배척주의가 더 심해지는 상황, 이런 불확실한 벼랑 끝 국제상황에 국내 상황도 설상가상이다.

 

국내 경제 침체에 따른 소득양극화와 민생의 위험이 커지고 이를 둘러싼 보수, 진보의 정치판의 이전투구는 더욱 국민의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필자는 이런 사태에 공자의 삼불망(三不忘)을 경고로 던지고 싶다. 첫째, 안이불망위(安而不忘危), 평안할수록 위험을 잊어서는 안 되고 둘째, 존이불망망(存而不忘亡), 보유하고 있을 때 잃어버릴 수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되고 셋째, 치이불망난(治而不忘亂), 치안이 잘 될수록 혼란스러워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역사는 되풀이된다’는 말이 있다. 인류역사의 사소한 지엽적인 형태는 달리하지만 크게 보아 일종의 패턴을 보이며 움직이고 있다. 과거의 일어난 사건을 망각하기에 또 다시 일어난 동일한 상황에 대비하지 못해 재차 일어난 것에 불과하다.

 

역사는 되풀이된다라는 말보다 ‘역사는 새롭게 된다’라는 말이 가능한 점이다. 망위(忘危), 망망(忘亡), 망난(忘亂)이라는 단어에 꼭 불(不)자를 붙여야 하겠다.

 

※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프로필] 김 우 일

•대우김우일경영연구원 대표/대우 M&A 대표

•전)대우그룹 구조조정본부장

•전)대우그룹 기획조정실 경영관리팀 이사

•인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서울고등학교, 연세대 법학과 졸업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칼럼] 히로시마 G7 정상회담 초청받은 한국, 진짜 실리는 지금부터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선진 7개국 정상회담(G7)이 일본 히로시마에서 지난 21일 막을 내렸다. 예상대로 국내에서는 여야가 상반된 평가를 내렸다. 집권 국민의힘은 ‘실리외교를 위한 윤석열 정부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이 다자회의에서 G7과의 협력을 통해 취약국과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기로 하는 등 글로벌 중추국가 위상을 보여줬다는 것이다. 반면 야당은 ‘그림자에 그친 들러리 외교’였다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이 후쿠시마 오염수와 수산물 문제에 침묵했다는 지적이 비판의 주된 초점이었다. 여야 각각의 평가에서 한걸음 물러나 G7 회원국 전체의 성과를 보자면 국제관계의 진영화를 돈독히 해서 ‘신냉전’의 공고화를 꾀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한때 지구촌 의제를 이끌던 G7이 2023년에는 크게 저하된 모습이다. 우선 금융 및 경제 안정을 위해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자임했던 G7 국가들은 2023년에 찾아 볼 수 없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극명해진 것처럼, 회원국 내의 의견 불일치는 명백히 드러나 버렸다. G7은 최근 몇 년간 경제는 물론 국제정치, 외교 영역에 그다지 큰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했다. 중국과 인도 등의 급성
[초대석] 정재열 제27대 신임 한국관세사회장, "관세사 업무영역 확대에 총력"
(조세금융신문=대담 이지한 편집위원, 촬영 김종태 기자) 한국관세사회는 지난 3월 29일 개최된 47차 정기총회에서 서울본부세관장 출신의 정재열 후보를 제27대 회장으로 선출했다. 정재열 회장은 한국관세사회 역대 최대로 5명의 회장 후보가 치열한 경쟁을 벌인 끝에 35.9%의 득표율로 다른 후보들을 제치고 회장에 당선됐다. 정 회장은 회원들을 만나 많은 의견을 나누고 있다면서 회원들의 가장 큰 고충은 무엇보다 관세사 업역과 시장 규모의 확대라고 말했다. AI 등의 출현으로 관세사업계에도 큰 변화가 다가오면서 회원들은 절박함 속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어 기존 관세사 업무 외에 영역으로의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다짐이다. 한국관세사회관을 찾아 정재열 회장을 만났다. <편집자주> Q. 먼저 제27대 한국관세사회장으로 당선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회원과 독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해주시죠. A. 축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당선 이후 정말 많은 분께서 축하해 주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관세사업계가 처한 여러 현안이 많고 어려운 시기에 회장을 맡아 개인적으로 영광인 반면 동시에 막중한 책임감도 느끼고 있습니다. 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