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5 (수)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막말정치인의 구화지문(口禍之門)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요사이 SNS와 언론에 떠도는 정치인들의 도를 넘은 막말이 홍수같이 국민들 사이에 범람하고 있다. 전장의 총알처럼 여기저기 빗발친다. 이 빗발치는 총알을 본 국민들은 머리에 총알 맞은 것처럼 잠시 두뇌 회로가 정지되고 스트레스 받는다.

 

세월호, 5·18 등 국가재난이 정치권에 회자될 때는 자신의 정략에 따라 달라지는 폄훼 비난 발언이 피해자들의 아픈 가슴에 더 생채기를 내고 이를 듣는 국민들에게는 과연 이들이 내가 뽑은 선량들인가 하는 의구심을 주게 한다.

 

빨갱이, 토착왜구, 심지어 청와대를 다이너마이트로 폭파해야한다는 극언도 서슴지 않는 보수, 진보 양당의 정치인들의 막말은 인륜과 도덕의 경계선을 이미 넘어선 술주정뱅이의 말과 다름없다.

 

국가와 사회체계를 설계하고 리드해야 하는 정치인들이 이런 말잔치를 예사처럼 죄의식 없이 막 대중 속에 쏟아냄은 더욱더 어려운 경제난에 열심히 살아가는 주권자인 국민들에 대한 모독이다.

 

주권자인 국민들로부터 대리권을 위임받은 정치인들이 그 권력을 맡겨준 국민들을 향해 눈 부릅뜨고 들으란 듯이 온갖 눈살 찌푸리는 막말을 해대는 것은 누가 봐도 국민들에 대한 반역이

나 다름없다. 그 막말의 상처는 국민 모두가 받고 있는 셈이다.

 

한 나라의 경제 및 문화번영의 척도를 재는 데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 산출근거도 애매한 복잡한 통계수치를 내세우지 않더라도 정치지도자들이 구사하는 화술의 정도를 보면 현재 당면한 그 나라의 정치, 도덕, 경제, 문화전반에 관한 국가위험치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혼란스럽고 불안정한 국면일수록 정치지도자들의 막말이 심해지고 안정을 찾을수록 화술도 부드러워지는 법이다.

 

그러면 왜 정치인들이 그토록 막말을 선호하는 것일까 하는 점이다.

 

첫째, 자신의 존재감을 노이즈마케팅 하는 것이다.

 

정치인에게는 존재감이 생명이다. 자신의 존재를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국민들 누구에게나 자극돼는 막말만한 것이 없다. 호기심을 부추기면서 이목을 현혹시켜 인지도를 늘리는 셈법이다.

 

둘째, 중우(衆愚)정치이다. 자고로 권력을 쟁취하는데 제일 효과적인 것이 중우정치이다.

 

다수의 어리석은 민중이 이끄는 정치를 앞세우려면 대중적 인기에 집중하고 시민적 덕목을 경시하고 방종으로 치달을수 있도록 막말로 유혹함이 필수이다.

 

필자(김우일 전 대우그룹구조조정본부장)는 이 정치인들의 막말이한 사람의 입에서만 맴돌지 않고 온 국민들에게 전염병이 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다. 온 국민들이 대화할 때마다 막말이 쏟아진다면 상상만 해도 소름끼칠 일이다. 이로 인한 다툼, 무질서와 혼란은 사회체계를 붕괴시킬만한 핵폭탄급이다.

 

당나라말기에 풍도란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당나라가 멸망한 후 어지러운 세상에도 다섯 왕조에 걸쳐 벼슬살이를 살면서 73세까지 장수를 누렸다. 그 비결을 풍도는 설시(舌詩)라는 시에 남겨 놓았다.

 

입은 재앙의 문이요(口是禍之門)

혀는 몸을 자르는 칼이라(舌是斬身刀)

입을 닫고 혀를 감추면(閉口深藏舌)

가는 곳마다 몸이 편하다(安身處處牢)

 

사람의 입으로 들어가는 것은 대부분 깨끗하고 입을 소중히 여긴다. 그러나 입에서 나오는 것은 더럽고 내뱉으려고 한다.

 

설(舌)이란 천개의 입을 뜻한다. 대부분의 재앙은 입에서 나오는 것임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우리 국민들은 중우정치에 휘둘릴 만큼 어리석지 않다. 오히려 속속들이 현명하게 판단할 것이다.

 

한번 내뱉은 말은 주워 담기 어렵고 천리를 눈 깜짝할 사이에 떠다닌다. 내뱉은 말은 부메랑처럼 비수가 되어 도로 본인에게 꽂힌다.

 

※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프로필] 김 우 일

•대우김우일경영연구원 대표/대우 M&A 대표

•전)대우그룹 구조조정본부장

•전)대우그룹 기획조정실 경영관리팀 이사

•인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서울고등학교, 연세대 법학과 졸업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통화 주권 넘보는 스테이블코인, 한국은 준비됐는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한국 정치가 마침내 디지털 자산에 손을 댔다. 그것도 단순한 규제 강화를 넘어서 산업 진흥과 생태계 육성까지 겨냥한 ‘판 뒤집기’ 수준의 입법이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제도화 시도다. 법안은 ▲디지털자산의 법적 정의 정립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금융위원회를 통한 인가·등록·신고제 도입 ▲스테이블코인 사전 인가제 ▲불공정거래 금지 및 이용자 보호 ▲자율규제기구 설립 등을 담았다. 단순한 제도 마련을 넘어, ‘한국형 디지털금융 패러다임’의 설계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주목할 대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이다. 현행법상 민간의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은 법적 공백에 놓여 있었지만, 이 법안이 통과되면 자기자본 5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법인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준비금 적립, 도산 절연, 환불 보장 등 안전장치를 전제로 하긴 했지만, 통화 주권을 관리하는 한국은행에는 꽤나 위협적인 메시지다. 민 의원은 이 법을 “규제가 아니라 가드레일”이라고 표현했다. 규제를 통해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탐방]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 AEO 공인부터 사후관리까지 ‘토탈케어’ 실현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오전 9시, 여느 사무실이라면 나른한 공기만이 가득할 시간이지만, 서울본부세관 심사1국 AEO(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심사팀 사무실엔 벌써부터분주함이 가득 들어차 있다. 이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회의실에서는 갱신심사 대상업체에 대한 점검계획을 두고 실무진들의 회의가 분주히 진행되고 있었다. 각자의 노트북 화면에는 통관자료, 자율점검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분석 보고서가 정리돼 있었고, 침착하면서도 치밀한 분위기 속에서 기업의 수출입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에서는 관할 수입AEO 기업의 갱신 신청이 있을 경우, 통관적법성 분야에 대한 정기 심사를 수행한다. 또한 기업상담전문관(Account Manager, 이하 AM)을 통해 위험 정보를 상시 제공하고, 기업의 자율적 법규준수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AEO 공인 이후 공인 유지와 법규 위반 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컨설팅까지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그들의 철칙, AEO심사팀을 민관 협력 기반의 관세행정을 실현하는 ‘토탈케어 조직’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정기 심사일지 하나에도 기업 맞춤형 리스크 분석과 전략을 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