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02 (월)

  • 맑음동두천 21.9℃
  • 맑음강릉 22.2℃
  • 맑음서울 22.6℃
  • 맑음대전 21.8℃
  • 맑음대구 22.8℃
  • 맑음울산 22.3℃
  • 구름조금광주 22.5℃
  • 구름많음부산 23.0℃
  • 맑음고창 22.6℃
  • 맑음제주 24.3℃
  • 구름조금강화 22.6℃
  • 맑음보은 21.5℃
  • 구름많음금산 21.6℃
  • 구름조금강진군 23.7℃
  • 맑음경주시 23.0℃
  • 구름조금거제 21.5℃
기상청 제공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증자(曾子)의 모(母)를 교란시키는 나치 괴벨스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요새같은 정치판은 처음본다’라는 말이 대중의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다. 국민을 위한 미래의 정책대결보다는 상대방을 모함하여 국민을 선동하는 정치가들의 망동이 온 세상을 뒤덮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치판에 떠오르는 인물이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독일 나치 히틀러의 최측근으로, 국가선전 장관의 자리에 앉아 나치 선전 및 미화를 책임졌던 괴벨스와, 공자의 제자 증삼의 어머니다. 때는 2000년 이상의 시공을 초월하고 서양과 동양의 무대를 달리하지만 두 경우 모두 변치 않는 진리의 교훈을 후세에 던져주고 있다.

 

독일국민들이 나치 정권을 광신적으로 받아들이고 반인류행위에도 서슴지 않고 일심단결로 전쟁을 수행해나간 것도 바로 괴벨스의 정력적인 선동 덕분이었다.

 

결국 괴벨스는 베를린의 벙커 안에서 아내와 6명의 아이들을 데리고 동반자살을 함으로써 연출을 끝냈지만 이 괴벨스의 선동에 따라 독일이 전쟁을 일으키고 2차 세계대전의 참극을 빚어냈다.

 

또한 어질기로 유명한 증삼이란 아들을 두고 침착하고 믿음이 강한 증삼의 어머니도 아들이 살인을 했다는 이웃사람들의 말에 처음에는 믿지 않다가 거듭된 말에 벌떡 일어나 뛰어나가 아들이 살인한 것으로 믿게 됐다는 것이다. 결국 아들이 아닌 동명이인의 살인이었다고 알려지지만 이렇게 거짓이 거듭되면 착한 아들을 철석같이 믿은 착한 어머니도 거짓을 믿게 된다는 무서운 심리변화를 보여준다.

 

괴벨스의 선동 세 마디가 침착하고 어진 증자의 어머니도 혼란에 빠지게 한다는 일종의 요괴의 혓바닥인 셈이다. 이런 거짓 선동을 받는 대부분의 사람이 다음과 같은 인식전환의 과정을 거친다고 한다.

 

처음에는 ‘절대 그럴 리가 없다’고 믿는다.

두 번째에는 ‘혹시 그럴 수도 있겠네’하고 의심하는 마음이 든다.

세 번째에는 ‘진실이겠구나.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나랴’하는 심리적 인식의 고착화에 빠지고 이 인식의 뒤바뀜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독일 괴벨스가 지적하는 거짓 선동의 특징을 보면 아래와 같은 양상을 보인다고 한다.

 

첫째, 좌절과 증오의 심리에 가장 잘 뿌리내리고 기생한다.

둘째, 문장 하나로도 충분히 효력을 나타내고 이것을 해명하는 자료와 증거는 아무리 많아도 믿지 않는다.

셋째, 작은 거짓말보다는 큰 거짓말이 더 효과적이다.

넷째, 100%의 거짓말보다 99%의 거짓말과 1%의 진실의 배합이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한다.

다섯째, 진실이냐, 거짓이냐를 판별하기보다는 신뢰할 만하냐, 안하냐의 잣대로 판가름한다.

여섯째, 거짓 선동의 난무에는 결국 이를 치유할 영웅 출연을 기다리게 된다.

 

작금의 대선 정치판에 일어나는 상황이 위 6개의 상황과 매우 흡사하다고 필자는 보고 있다. 아니 실제로 너무 흡사하다. 6개의 상황 중 우리가 가장 중요시하게 봐야 할 점이 바로 마지막 영웅 출연이란 점이다.

 

거짓 선동에 길들어진 국민이 뽑은 새로운 영웅은, 히틀러 같은 영웅이 초래되지 말란 법은 없다. 좌절과 증오에 가득찬 국민들 심리에 온갖 도배되어온 거짓 선동의 색깔을 말끔히 지우고 새로운 경제안정과 대외리스크를 관리해야 할 리더가 필요하다.

 

우리는 영웅의 출연보다는 서민들의 불공정과 불편함을 해소해 ‘소확행’을 안겨주는 따뜻한 리더의 출연을 기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하는 필자의 생각이다.

 

※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프로필] 김우일 대우김우일경영연구원 대표/대우 M&A 대표

•(전)대우그룹 구조조정본부장

•(전)대우그룹 기획조정실 경영관리팀 이사

•인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서울고등학교, 연세대 법학과 졸업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잼버리대회의 성공 실패를 가른 ‘준비’의 뜻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지난 1991년 강원도 고성에서 성황리에 마친 세계잼버리대회의 경험이 있었지만 32년 만에 열린 전북의 새만금에서 열린 잼버리대회는 온갖 불명예를 안고 오욕스런 대회를 치러야 했다. 세계잼버리대회는 세계 각국의 청소년들이 호연지기를 키우고 우의를 다지는 국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행사로 주최국의 명예가 걸린 문제다. 2025년 아태잼버리대회가 또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관계로 국민들의 관심이 자못 팽배하다. 필자는 같은 국가에서 성공을 경험한 똑같은 행사가 32년 만에 실패로 마무리된 그 까닭을 곰곰이 생각해보았다. 물론 고성은 숲과 산인 반면, 새만금은 매립지인 다른 상황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실패의 원인은 100% 인재다. 인재를 들라면 지휘탑 부재, 담당조직의 비대화, 예산 낭비, 솔선수범과 책임의식 결여 등을 들 수 있지만 이 FACTOR들은 겉으로 나타난 형상에 불과하다. 내면의 더 진정한 답은 간단하다. 바로 “준비” 부족이다. 사전에 “준비” 과정만 철저히 세밀히 거쳤다면 성공했을 것이다. 세상사의 준비라는 과정이 얼마나 잘 효율적인가에 따라 성공 실패가 판가름나는 법이다. 그러나 이 과정이 털끝만치도 거치지
[인터뷰] 팔꿈치 절단 딛고 '요식업계 큰손 등극' 백세장어마을 윤명환 대표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무더운 여름을 지내면서 몸에 좋다는 여러 보양식을 찾게 된다. 장어도 그중 하나다. 부천에서 꽤 많은 손님이 찾는 ‘백세장어마을’은 상동 웅진플레이도시 워터파크 앞에 자리하고 있다. 평일 점심에도 꽤 많은 손님이 이곳을 찾고 있었다. 사업가 윤명환 대표 이야기 백세장어마을 윤명환 대표는 현재 7년째 이곳을 운영하고 있다. 이전 창업자가 5년간 운영한 것을 이어받았으니 합치면 12년째다. 이곳뿐 아니다. 같은 웅진플레이도시 내에 자리한 중식집 ‘The 차이나’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인천광역시 삼산동에는 고깃집 ‘백세미소가’를 창업해 현재 아들이 운영을 맡고 있다. 요식업계에 발을 디딘 지는 벌써 16년째다. “요식업 창업을 하는 사람들의 70%는 망하고, 20%는 밥벌이 정도 하고, 10%는 성공한다.”라는 말이 있다. 그런 걸 보면 윤 대표는 요식업계에서 나름 성공한 CEO다. 처음 요식업을 시작한 것은 한창 한일월드컵으로 ‘대한민국~’을 외치던 2002년이다. 윤 대표는 당시 매우 절박한 마음으로 요식업계에 첫발을 내밀었다. 이전에 큰돈을 모아 투자했던 의료사업에서 실패한 이후다. 처음에는 직장인으로 출발했다. 인천전문대 기계